#생글생글
-
경제 기타
한국경제교육학회 학술대회 개최
한국경제교육학회(회장 김상규)는 오는 19일(수) 오후 2~6시 세종시 한국개발연구원(KDI) 에서 하계학술대회를 연다. 이번 학술대회의 제1세션에서는 ‘수능에서 일반사회 선택 학생들의 특성 분석(경북대 오영수 교수·박상은)’ ‘기회비용에 대한 낮은 이해도와 그 원인-TESAT 응답률과 경제교과서를 중심으로-(한국경제신문 박주병 경제교육연구소장)’ 등의 논문이 발표된다. 이어 2세션에서...
-
경제 기타
생글 4주 방학휴간 끝…반갑습니다 ^^
생글생글 독자 여러분 그동안 안녕하셨습니까?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생글생글이 4주간의 여름방학 휴간을 끝내고 480호로 다시 여러분 곁으로 왔습니다. 전국 중학교와 고교도 방학을 끝내고 새로운 마음으로 수업에 들어갔겠군요. 남은 여름도 건강하게 잘 지내시길 바랍니다. 고3 학생들은 조만간 있을 대입 수시전형을 준비하느라 바쁘겠습니다. 계획대로 잘 해서 좋은 결과가 있기 바랍니다. 다른 독자님들도 2학기를 보람 있고 알차게 보내기를 기원합니다...
-
경제 기타
제3회 전국고교생 금융경제 경진대회
안산대학과 유비온이 주최하는 ‘제3회 전국 고교생 금융경제 경진대회’가 9월5일(토) 오후 2시 안산대 에서 열린다. 금융과 경제 시사상식 등에서 총 80문항을 100분 내에 푸는 이 대회는 고교생이면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 참가비용 및 학습자료는 무료이며 개인 및 단체로 신청할 수 있다. 8월21일(금)까지 홈페이지( www.wowpass.com )에서 접수한다. 문의 안산대(031-400-7173, finan...
-
커버스토리
'한강의 기적' 빈곤의 상징국가가 세계 중심국가로 도약
광복 70년의 대한민국 발전상은 한마디로 ‘기적’에 가깝다. 경제·사회·문화적으로 반세기 남짓에 이처럼 커다란 변화를 이룩한 것은 역사적으로 유례가 드물다. 국내총생산(GDP) 세계 13위, 수출 6위, 세계에서 불고있는 한류(韓流)는 광복 70년만에 크게 높아진 대한민국 위상을 말해준다. 하지만 광복 70년은 또한 분단 70년이기도 하다. 남북이 평화적으로 통일을 이룰 때 진정한 광복이 된다는 의...
-
커버스토리
한국 독립문제 공식 논의한 카이로회담
카이로회담은 제2차 세계대전(1939~1945년) 때 이집트 카이로에서 두 차례의 걸쳐 회담이 진행됐다. 1943년 11월22일부터 26일까지 열린 1차 회담에선 연합국 지도자 윈스턴 처칠과 루스벨트는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 대해 논의했다. 연이어 2차 회담에서는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루스벨트, 영국 총리 윈스턴 처칠, 중국 총통 장제스가 참석해 대(對)일본 전쟁 수행 협력과 전후(戰後) 영토에 대한 의논을 거쳐 11월27일 ‘카이로선...
-
커버스토리
독립 선포한 이승만 대통령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이승만(1875~1965)은 어떤 인물이었을까? 1945년 일제 강점기가 끝나고 3년의 미군군정을 거쳐 1948년 8월15일 대한민국을 독립국가로 세계 만방에 선언한 대통령이지만 그를 제대로 알고 있는 학생은 드물다. 그는 한국의 갈릴레오다 이승만 대통령을 제대로 설명하려면 갈릴레이 갈릴레오(1564~1642)와 비교해 보는 것이 좋다. 이승만 대통령은 갈릴레오와 같은 천문학자는 물론 아니다. 갈릴레오와 이승만 대통령은...
-
커버스토리
광복 70주년? 광복 67주년?…왜 헷갈리나
최근 광복절 ‘주년’을 놓고 논란이 거세다. 서울대 이영훈 교수는 광복 70주년은 틀렸고 광복 67주년이 맞다고 지적한다. 이영훈 교수는 정부문서 등을 조사한 결과 광복절은 1951년과 1952년 사이에 헷갈리기 시작했다. 광복절은 독립기념일부터 말해야 이해가 된다. 대한민국은 총선거 등을 거쳐 1948년 8월15일 독립을 선포했다. 정부는 이듬해인 1949년 8월15일 제1회 독립기념일을 경축했다. 당시 1주년 포스터 공...
-
교양 기타
닫힌 사회 = 역사법칙주의, 플라톤-헤겔-마르크스…열린 사회 = 비판·토론의 자유, 소크라테스-칸트
1940년대 유럽에서는 히틀러가 오스트리아를 침략하고, 유럽이 파시즘으로 장악되고 러시아가 레닌 사후 전체주의로 치달았다. 이런 분위기에서 칼 포퍼는 ‘열린사회와 그 적들(The Open Society and Its Enemies)’을 통해 자유로운 비판과 토론이 허용되는 ‘열린사회’를 역설하였다. 포퍼는 이 책에서 우리 속에 나타난 전체주의의 뿌리가 제도, 정책, 개인이 아니라 실은 어떤 도그마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