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생글기자
송(宋)대 산업혁명 이후 중국 경제로 보는 혁신의 필요성
"송대 발전의 기반이 된 농촌의 소규모 생산 방식은 상업자본주의나 산업자본주의로 발아하지 못했다." 약 300년의 역사를 가진 송나라는 제2의 산업혁명이라 불릴 만큼 산업과 상업의 비약적인 발전을 이뤘다. 농업에서는 개간과 집약 농법의 발전, 소농 경영 등을 바탕으로 단위 면적당 생산성이 크게 향상됐다. 자연스레 총인구도 1억 명을 훌쩍 넘었고 북송의 수도 카이펑을 포함해 인구 백만 명 이상의 대도시도 생겼다. 농업과 광업의...
-
생글기자
군가산점제도, 합리적 대안이 필요하다
"군가산점제도는 이미 그 자체로도, 공무원 시험 시에만 가산점을 준다는 점에서 완벽하지 못하다." 군가산점제도는 군 복무의 의무를 마치고 사회로 복귀한 제대 군인에게 공무원 시험 시 가산점을 부여하는 제도다. 하지만 1999년 위헌 판결이 내려지면서 폐지돼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 제도이기도 하다. 여성이나 장애인과 같이 군대에 가지 못하는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시험에 있어서 불리해지므로 기회 균등의 원칙에 부합하지 않으며, 당연...
-
생글기자
불편 끊이지 않는 경기도의 야간자율학습 폐지
전국 8도 중 유일하게 경기도만 야간자율학습을 폐지하였는데, 나머지 도 학생들은 학교에서 야간자율학습을 한다. 대한민국에서 고등학생의 야간자율학습은 평균적으로 수업과 보충수업이 완료되는 오후 6시께 시작돼 오후 9시에서 오후 10시까지 행해진다. 학교에 따라 다르지만 정규 야간자율학습 시간이 끝난 뒤 원하는 학생은 다시 한 시간가량을 추가로 더 공부할 수 있게 된다. 경기도교육청은 올해부터 야간자율학습을 폐지하였는데, 이에 따른 불편사항은 끊...
-
7월 3일 (561)
1. 대부업체가 채무자에게 적용하는 연 이자율에는 법적으로 최고한도가 정해져 있어 그 이상은 무효다. 현행법상 최고 몇 %일까? ①22.9% ②27.9% ③32.9% ④37.9% 2. 시대 변화에 따라 부상한, 과거와 다른 ‘새로운 표준’을 뜻하는 말이다. 경제에서는 저금리·저성장이 고착화한 환경을 뜻하는 말로 많이 쓰이는 이 용어는? ①히든 챔피언 ②뉴 노멀 ③블루 오션 ④솔로 이코노미 3. &lsqu...
-
커버스토리
경유가 친환경이라더니 이젠 미세먼지 주범?…경유차 타라는 건지 타지 말라는 건지 헷갈려
우리나라 도로를 달리는 차(車) 열 대 중 네 대는 경유차다. 전체 차량의 42.7%인 927만1393대에 달한다.(올 3월 말 기준) 경유차는 차량 유지비를 아끼려는 서민들이나 소형 승합차를 모는 생계형 소상공인들이 많이 선택한다. 경유는 휘발유보다 15% 정도 싸면서 연비는 20% 이상 좋기 때문이다. 이명박 정부 때는 이른바 ‘클린 디젤’ 정책을 앞세워 정부가 구매를 권장하기도 했다. 그런데 불과 몇 년 새 경유차는...
-
경제 기타
2021년까지 원전 폐기하기로 한 독일 전기요금 2배 오르자 다시 원전 '기웃'
원전 폐기의 대가 최근 대한민국은 ‘탈(脫)원전’ 논쟁에 빠져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9일 고리 1호기 영구 정지 기념식에서 “고리 1호기 영구 정지는 탈핵 국가로 가는 출발점이자 안전한 대한민국으로 가는 대전환”이라고 말했다. 탈원전을 선언했다고 해서 모든 것이 끝난 게 아니다. 매년 여름 발생하는 전력 부족 현상을 어떻게 해결할지, 전기요금 상승은 어떻게 처리할지 등 해결할 문제는 산더미다...
-
커버스토리
에너지 가격 비율은 왜 100:85:50일까
국제 원유(原油) 가격이 큰 폭으로 떨어져도 국내 기름값은 찔끔 내려가는 데 그친다는 소리가 나온다. “배럴(159L)당 100달러 하던 국제 원유 가격이 50달러대로 떨어졌으면 국내 기름값도 절반 정도 내려가야 하는 게 아닌가?”라는 의문이다. 그렇지만 여기에는 그럴 만한 까닭이 있다. 무엇보다 기름에는 많은 세금이 붙는다. 부과되는 세금 종류도 6개나 된다. 휘발유를 예로 들면 휘발유값이 L당 1원이든 1000원이든 ...
-
커버스토리
단체급식보다야 엄마 도시락이 맛있지만…
지난 주 28일과 29일 1920여개 학교가 급식을 중단했다. 급식을 담당하는 조리사와 영양사 등 1만4000여명으로 구성된 학교비정규직 노조가 파업을 벌인 탓이었다. 이들은 비정규직 철폐와 근속수당 인상 등을 요구했다. 급식 중단사태가 벌어지자 많은 학교가 부랴부랴 급식을 빵과 우유로 대체했다. 일부 학교는 학부모에게 가정통신문을 보내 도시락을 싸서 보낼 것을 권하기도 했다. 아예 단축 수업을 하거나 밖에서 수업을 하는 현장학습으로 대체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