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잘생기다'는 형용사 같지만 동사예요
' 잘생기다 '가 동사라고 해서 ' 잘생겨지는 중이다 ' ' 잘생겨라 ' 같은 표현이 허용되는 것은 아니다. ' 잘생기다 '는 형태상 동사에 해당하지만 전형적인 동사의 특징을 갖추지는 않았다. 지난 4일 국립국어원이 올해 3분기 표준국어대사전 정보수정 사항을 공개했다. 그중 인터넷에서 화제가 된 것은 단연 ‘잘생기다’였다. 품사를 형용사에서 동사로 바...
-
테샛 공부합시다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TESAT 맛보기
문제 경기가 불황일 때 낮은 가격으로 사치를 즐기기에 적당한 저가 제품의 매출이 증가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마태 효과 ② 립스틱 효과 ③ 역핀볼 효과 ④ 밴드왜건 효과 ⑤ 피그말리온 효과 해설 립스틱 효과는 경기가 불황일 때 립스틱 같이 낮은 가격으로 사치를 즐기기에 적당한 저가 제품의 매출이 증가하는 현상이다. 저가이지만 그럭저럭 소비자의 효용을 만족시켜 줄 수 있는 상품의 경우 호황기보다는 불황일 때 오히려 더 잘 팔린다...
-
테샛 공부합시다
"테샛 덕분에 경제공부에 흥미 갖게 됐어요"
“경제를 공부하고 싶었지만, 대학 서적은 내용을 이해하기 힘들고 의욕도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테샛을 알게 되면서 경제 공부에 흥미를 갖게 됐어요. 첫 발판이 테샛이라고 할 수 있어요.” 제45회 테샛 정기시험 고교 개인부문에서 수석을 차지한 황인건(인천하늘고 1년·사진) 학생은 경제 분야에 흥미를 갖게 된 계기를 이렇게 말했다. 황군은 300점 만점에 274점(S등급)을 받아 전체 고교생 중 1등에 올랐다. ...
-
진로 길잡이 기타
수시 입출금식예금은 자유롭게 입·출금 할 수 있죠
여러분이 은행에 가는 주된 목적은 바로 예금통장을 만들기 위해서다. 예금통장을 개설하고 부모님에게서 용돈을 받아 저축하고 수시로 필요할 때마다 입출금해 사용하고 있을 것이다. 해당 예금상품을 은행에서는 수시 입출금식 상품이라고 칭한다. 오늘은 이러한 예금상품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자. 예금상품은 크게 요구불 예금과 저축성 예금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저축성 예금은 다시 거치식 예금과 적립식 예금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요구불 예금은 언제든지 예...
-
생글기자
'클라우스 슈밥의 4차 산업혁명'을 읽고
4차 산업혁명이란 무엇인가.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은 이런 의문을 풀어나가게 한다. 먼 이야기 같았던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시작됐고, 우리는 아직 이 새로운 혁명의 내용과 깊이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혁명의 속도는 빠르고, 규모 또한 놀라운 수준으로 성장했다. 이를 따라가기 위해서는 4차 산업혁명의 이해가 필요하다. 이 책이 그 길잡이 같은 책이다. 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b)은 스위스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 회장이며...
-
생글기자
한국과 미국의 대학 입시는 어떻게 다를까...
12월은 한국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기쁘고 슬픈 달이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로 이어지는 힘든 청소년 시절이 끝남과 동시에 사회로 나가는 대학 입학이 이뤄지는 달이기 때문이다. 어느 나라든지, 대학은 중요한 곳이다. 자신이 평생 공부할 학문을 배우고, 평생 교류할 친구를 만나는 등 대학은 사람의 인생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런 대학에 입학하는 방법은 나라마다 각양각색이다. 한국은 한국의, 일본은 일본의, 미국은 미국의 방법이 있다....
-
생글기자
낙태는 남녀 모두의 책임이다
12월2일 오후 2시 서울 세종로 공원 앞에서 낙태죄 폐지 시위가 열렸다. 이들은 ‘낙태가 죄라면 범인은 국가다’ ‘그러니까 낙태죄 폐지’ 등이 적힌 피켓을 들었다. 그들은 낙태죄는 임신 중절을 줄이는 게 아니라 여성 책임으로 가두는 부당한 법이라고 주장했다. 낙태죄는 임신한 부녀가 약물을 이용하거나 기타 부적절한 방법으로 스스로 낙태한 때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
-
12월 18일 <579>
1. 미국 시카고옵션거래소에서 지난 10일 이것의 첫 선물 거래가 시작됐다. 대표적 가상화폐이자 최근 투기 열풍이 불었던 이것은? ①블록체인 ②비트코인 ③이더리움 ④스와프 2. 17세기 네덜란드에선 이 꽃의 가격이 한 달 새 50배 급등한 뒤 수천분의 1로 폭락하는 일이 벌어졌다. 자본주의 역사상 유명한 ‘버블’ 사례로 경제학에서 널리 회자되는 이 꽃은? ①해바라기 ②물망초 ③튤립 ④라일락 3. 임직원에게 향후 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