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경영학 놀이터''경제학의 세계''화폐와 중앙은행'

    경제학과 경영학의 기초를 배울 수 있는 경제캠프가 내년 1월4일부터 6일까지 연세대 인천 송도 국제캠퍼스에서 열린다. 한경 겨울방학 캠프는 미래 경제·경영학도와 기업가, 금융인, 무역인을 꿈꾸는 학생들을 위한 ‘생각나무 키우기’ 프로그램이다. 쟁쟁한 강사진이 고교생을 기다리고 있다. 참가자들은 김수욱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 이승훈 전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 김정호 연세대 특임교수, 안재욱 경희대 경제학부 교수...

  • 교양 기타

    (87·끝) 알퐁스 도데 '마지막 수업'

    서정성 짙은 사실주의 알퐁스 도데의 단편소설을 읽으면 마음이 따뜻해지면서 어디선가 잔잔한 선율이 들려오는 듯한 착각에 빠진다. 짧은 얘기로 마음을 안온하게 감싸면서 깊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건 놀라운 솜씨가 아닐 수 없다. 자극적이면서 폭력적이거나, 현실과 동떨어진 이야기가 판을 치는 세상이라 알퐁스 도데의 소설이 더욱 가슴 깊이 다가오는지도 모르겠다. 알퐁스 도데의 소설이 부드러우면서도 힘이 있는 것은 순수하고 낭만적인 분위기 뒤에 강력할...

  • 경제 기타

    방탄소년단, 음악 본고장 미국 유튜브 석권

    수출액 20배 성장·유튜브 7억뷰 돌파 한국의 음악(K팝)이 모바일과 인터넷 세상을 또 한번 달구고 있다. 원더걸스, 소녀시대, 싸이가 열어 놓은 K팝의 세계적 명성이 최근 방탄소년단(BTS)의 대활약으로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다. ‘K팝 4세대’로 불리는 최근의 조류는 방탄소년단의 신곡 ‘마이크 드롭(MIC Drop)’이 이끌고 있다. 이 곡은 최근 미국 빌보드 메인 싱글차트인 &lsq...

  • 커버스토리

    건강보험 확대될수록 의료비 줄지만 재정부담 커져요

    건강보험은 국민의 의료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의료보험제도다. 정부가 개인 의료비의 일정액(비율)을 부담함으로써 국민 전체의 의료비를 낮추자는 게 근본 취지다. 물론 정부가 부담하는 의료비는 궁극적으로 국민 세금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건강보험 적용 분야가 확대되고 정부 부담률이 커질수록 국민은 세금을 그만큼 더 내야 한다. 결국 건강보험 확대는 재원을 어떻게 마련하느냐가 관건이다. 수년 내 건강보험 재정이 고갈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상황에...

  • 커버스토리

    보험수가 낮아 병원은 "환자 받을수록 적자" 하소연

    한국의 건강보험 제도는 많은 선진국이 부러워한다. 전 국민이 가입돼 있고, 누구나 병원에 가면 즉시 진료받을 수 있으며, 일반적인 질병에는 환자의 부담도 크지 않은 편이다. ‘문재인 케어’는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건강보험의 보장범위를 한층 확대하는 정책이다.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환자가 모두 부담하고 있는 비급여 진료를 대거 급여화해 건강보험의 보장성을 현행 63.4%에서 70.0%로 높인다는 것이다. 많은 국민이 ...

  • 평창 발왕산 정상의 상고대… 내년 1월29일자 생글에서 다시 만나요

    한국경제신문이 만드는 생글생글이 2017년 시즌을 마무리합니다. 18일자로 발행된 제579호가 올해 마지막 호입니다. 한경은 지난 1월16일 540호를 시작으로 2017년을 힘차게 출발했습니다. 독자 여러분! 1년 동안 생글생글을 잘 즐기셨는지요? 생글은 경제, 시사, 과학기술, 문학, 철학, 언어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교양이 듬뿍 담겨 있는 청소년 신문입니다. 겨울방학을 맞아 생글은 휴간에 들어갑니다. 2018년 1월29일자로 다시 찾아뵙...

  • 학습 길잡이 기타

    크리스마스 영어 읽기

    '크리스마스 기간'은 영어로 at Christmas 라고 합니다. on Christmas 라고 하지 않는 이유는 크리스마스를 하나의 '시점'으로 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크리스마스 당일은 영어로 on Christmas Day 라고 한답니다. You better watch out You better not cry You better not pout I’m telling you why San...

  • 디지털 이코노미

    4차 산업혁명은 기술과 환경의 변화로 촉진되죠

    언젠가부터 인류의 생산성은 기술 혁신에서 비롯됐다. 인류 역사의 초기에는 노동시간이 생산성을 높 여줬지만 더 이상 생산성은 노동시 간의 증가에 비례하지 않는다. 미 국 매사추세츠공대(MIT)의 경제학 교수인 로버트 솔로는 총산출량 증 가가 요소 투입의 증가만으로는 설 명되지 않는다는 점을 입증해 1987 년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범용기술 문제는 기술 혁신이 곧바로 생산성 향상을 담보하지는 못한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