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존폐 위기의 '외고'… 불안감 커지는 중학생

    외국어 분야 인재를 양성하는 ‘외국어고등학교’ 존폐가 뜨거운 감자다. 특수목적고등학교 특성에서 지나치게 벗어났다는 것이 대체적 여론이다. 기존의 본질을 벗어나 오직 좋은 대학을 위해 가는 곳으로 변질됐다는 지적이다. 외고 폐지에 반대하는 학부모와 전국에 있는 외고 교장협의회가 지난달 22일 서울역 인근에서 모임을 가졌다. 그들은 “외고에 대한 여론몰이식 폐지 정책을 중지하라”고 촉구하며 학생들을 교육...

  • 커버스토리

    전력 소비 급증하자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제 또 논란

    전기요금 누진제를 둘러싼 논란이 커지고 있다. 냉방 수요가 급증하면서 ‘요금폭탄’ 우려가 높아져서다. 정부가 7~8월 요금을 한시적으로 낮추기로 했지만 역부족이란 게 국민들의 일반 정서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주택에 대한 징벌적 누진제를 다른 나라처럼 완화하거나 폐지하라”는 주장이 끊이지 않고 있다. 최고 7.6배 차이는 ‘징벌적’ 한국은 주택용에만 전기요금 누진제를 ...

  • 경제 기타

    상경대 진학 꿈 키워준 한경 고교캠프 8월 2~3일 열려… 다음 캠프는 10월 예정

    한국경제신문사가 주최하는 ‘고교 경제 리더스캠프’가 8월2~3일 연세대 국제캠퍼스(송도)에서 열렸다. 김수욱 서울대 교수, 이지만 연세대 교수, 오철 상명대 교수가 강의를 통해 경제·경영학에 대한 이해와 시야를 넓혀줬다. SKY대 선배들이 질의응답 형식으로 들려주는 ‘대입 준비 요령’을 통해 공부 방법은 물론 수시전형을 위한 스펙 관리, 자기소개서, 면접 등 입시에 관한 노하우를 배울 수 ...

  • 경제 기타

    "중 3·고1 이어 세번째 참가… 경제·경영의 꿈 밝혀줬어요"

    중3, 고1 때도 한경 경제 리더스캠프에 참가했지만, 고려대 캠퍼스에서 당일치기로 이뤄진 기존과는 다르게 1박2일로 연세대 송도캠퍼스에서 열린다는 소식을 듣고 다시 참가했다. 1박2일 일정이라 다양한 활동을 할 시간이 있다는 점이 가장 마음에 들었고, 서울에 살아서 평소엔 갈 기회가 없던 연세대 송도캠퍼스에서 캠프가 진행된다는 점도 기대됐다. 오철 교수님의 거시경제학, 이지만 교수님의 미시경제학, 김수욱 교수님의 경영학 강의는 전공을 경제와 ...

  • 학습 길잡이 기타

    별과 관련된 다양한 표현들

    Starry, starry night Starry, starry night 별이 많은 밤입니다 Paint your palette blue and gray 팔레트에 파란색과 회색을 칠하며 Look out on a summer's day 여름날을 바라보아요. With eyes that know the darkness in my soul 내 영혼 깊은 곳의 어둠을 아는 두 눈으로 Shadows on the hills 언덕 위...

  • 테샛 공부합시다

    파리 명물 공용전기차·자전거가 퇴출될 위기… "소유권 없다고 마구 쓰는 공유자원은 엉망이 되죠"

    공유자전거 ‘적자 눈덩이’ 프랑스 파리가 자랑했던 공용 전기차와 자전거가 퇴출 위기에 몰렸다. 주인이 없는 공유자원을 함부로 쓰는 사용자들의 이기적 행태에다 효율적이지 못한 관리체계로 인한 서비스 질 저하 등의 문제가 겹치면서 운영사의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이런 현상을 설명해주는 것이 바로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이다. 공유자원은 소유권이 설정돼 있...

  • 테샛 공부합시다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문제] 다음 지문을 읽고, 빈칸 (A), (B)에 들어갈 용어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930년 5월 3일 1028명의 경제학자가 뭉쳐 당시 허버트 후버 대통령에게 보호무역주의 철회를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다. 1929년 10월 29일 뉴욕증시 대폭락으로 시작된 ( A )은 1920년대 미국 경제의 거품에 근본 원인이 있었다. 하지만 당시 후버 행정부가 취한 보호무역 조치는 사태를 더욱 악화시켰다. 후버 행정부는 증시 급락이 경기 침체로 ...

  • 경제 기타

    "공부에 큰 동기 부여한 'SKY대 선배들과의 대화'"

    예전부터 막연하게 돈의 흐름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었고, 고등학교에 진학해서는 경제라는 현상이 인상 깊게 다가왔다. 최근 논란이 많은 최저임금제와 같이 정부의 작은 정책 하나가 시장 전체에 큰 영향을 주는 점이 가장 신기했다. 그리고 더욱 공부를 많이 하고, 조심스럽게 균형을 맞춰 가며 잘 다뤄야 하는 것이 경제라는 것을 깨달았다. 하지만 학교에 경제 선생님이 계시지 않아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없는 상황이었다. 그러던 중 한경 주최 경제 리더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