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프래그머티즘(중)-제임스의 실용주의적 진리론

    역사적으로 인간은 외적인 힘이나 권위에 의존하지 않는 자유스러운 정신으로 진리를 찾고자 했다. 왜냐 하면 진리는 단순히 이론상의 문제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삶에 좌표를 제공하고 사회를 바람직한 방 향으로 이끌어가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리를 찾는 일은 어느 시대나 사회를 막론하고 인간답 게 살기를 원하는 모든 인간에게 절박하고도 공통된 과제였다 퍼스가 만들고 제임스가 꽃피워 19세기 말 미국에서 등장한 실용주의 철학, 프래그...

  • 진학 길잡이 기타

    예상문제보다 기출문제 공부가 최고의 논술 준비죠

    아무리 뛰어난 예상문제라도 기출문제보다 좋을 수 없습니다. 자신이 지원하는 대학의 전년도 기출문제를 분석해 어떻게 준비해 나갈지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시간은 그래서 중요하답니다. 따라서 논술고사 일정에 맞춰 ‘대학별 기출문제 해설 및 답안작성방향/핵심포인트’를 제시하고자 합니다. 기출문제 해설은 대학별로 2회에 걸쳐 ‘제시문 독해’와 ‘문항별 답안작성방향’으로 구분해 게재되므로 참고...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신입생 정원 못 채우는 부실 대학은 정리할 수밖에 없죠

    [사설] 급증하는 부실 대학, 퇴로 열어주는 구조조정 시급하다 교육부가 3년마다 시행하는 ‘대학 기본역량 진단’ 결과가 발표됨에 따라 부실 대학 구조조정이 현안으로 부각됐다. 이번 진단에서 ‘부실’ 평가를 받은 대학이 86곳에 달한다. 이들 대학은 부실 정도에 따라 3개 그룹으로 나뉘어 차별적 제재를 받게 되지만, 한결같이 정원 감축이 불가피해졌다. 교육부 진단에 아예 응하지 않은 30곳까지 합치면...

  • 생글기자

    인문학이 한국에서 홀대받는 이유

    인문학을 전공해서 무엇을 하려는가? 한국에서 철학·문학·사학과 등을 지망하는 학생이 가장 많이 듣는 말이다: “졸업해서 뭐 하려고?”는 철학·문학·사학·언어학 등 인문학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말이다. 인문학은 일반적으로 인간과 관련된 문제를 다루는 학문이다. ‘왜 사는가?’등 인간 본질에 대한 문제를 다루며 ‘자신’을 ...

  • 커버스토리

    금강산 관광, 개성공단… 모두 북한 도발 때문에 중단됐죠

    다음달 평양에서 열릴 제3차 남북한 정상회담을 앞두고 남북 경제협력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철도와 도로, 산림복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남북이 공동 조사작업을 진행 중이다. 개성공단 재가동과 금강산 관광 재개에 대한 전망도 나온다. 하지만 남북 경협의 역사를 돌이켜 보면 섣부르게 낙관할 수 없는 게 현실이다. 수차례 남북 경협이 북한의 도발로 결국 중단된 전례가 있기 때문이다. 반관반민(半官半民) 방식으로 개시 남북 경협은 우리 정부와 ...

  • 시사 이슈 찬반토론

    당장 내년 기업들의 사정이 좋아질 것이란 보장 없어

    [사설] "5년간 세금 60조원 더 걷힌다"니, 지나친 낙관 아닌가 내년도 정부 예산안 편성작업이 막바지 국면에 접어들면서 중장기 재정운용이 관심사로 떠올랐다. 그제 기획재정부가 국가재정포럼을 연 데 이어 어제는 보건복지부가 국민연금 재정추계와 개편안을 발표했다. 국가재정포럼에서는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5년간 세수가 예상보다 60조원 더 들어올 것”이라는 발언을 한 게 주목받았다. 기...

  • 학습 길잡이 기타

    '절실함'과 관련된 영어 표현들

    Desperado Desperado, why don’t you come to your senses? 무법자여, 이제 좀 정신을 차려요. You been out ridin’ fences for so long now 오랜 시간 방황했잖아요. Oh, you’re a hard one 당신은 대하기 힘든 사람이지만 I know that you got your reasons 나름대로 이유가 있을 거예요. T...

  • 진학 길잡이 기타

    "9월 모의고사는 수시지원전략을 세우는 데 핵심 지표죠."

    9월은 고3 수험생에게는 운명의 한 달이다. 특히 수시를 준비하는 수험생에게는 수시원서접수를 해야 하는 만큼 챙겨야 할 것이 많다. 수시·정시를 막론하고 9월에 치르는 모의고사는 대입전략에 핵심 지표가 된다. 1. 접수기간과 서류제출 기간도 함께 확인해야 수시원서접수는 전형과 무관하게 1회에 통합해 한 번에 실시한다. 몇 년 전에는 수시모집 원서를 9월 초와 11월 중순에 각각 받았다. 한 번이므로 편하지만 고려할 자료와 시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