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커버스토리
우리나라 내년 예산이 '슈퍼 예산'이 된 이유
정부는 내년 예산안을 올해보다 9.7% 늘어난 470조5000억원으로 짰다. 올해 증가율(7.1%)과 내년 경상성장률(실질성장률+물가상승률) 전망치(4.4%)를 훌쩍 웃돈다. 경제가 성장하는 속도 대비 두 배 이상으로 나랏돈(재정)을 푸는 셈이다.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씀씀이를 가장 크게 늘린 ‘슈퍼 예산’이라는 평가다. 예산 편성은 고용과 복지 분야에 집중됐다. 일자리 예산은 사상 최대인 23조5000억원으로 ...
-
진학 길잡이 기타
인문 논술은 인문사회계열과 경제경영계열로 구분해 출제하죠
서강대 인문 논술은 인문사회계열과 경제경영계열로 구분해 출제합니다. 2문항으로 구성되며 각 문항의 주제가 다르므로 답안 작성 시 시간 배분이 용이합니다. [문제 1] (800-1,000자) [가]의 최저임금제 실시로 인한 영향을 [나]~[라]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이 제도 실시 이후 [마]의 현상이 일어나면 장기적으로 어떤 변화가 나타날지 [바]를 통해 설명하시오. ■ 문제 분석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두 가지입니다. 먼저 최저임금제가 실...
-
테샛 공부합시다
제로금리·양적완화·추가경정예산·USMCA…시사경제용어는 경제지식 쌓기의 기본이죠
테샛(TESAT)을 공부하는 고교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영역은 시사경제다. 시사 영역은 범위가 넓고 최근 시사경제 이슈를 꾸준히 이해하고 습득하고 있어야 풀 수 있는 문제들이다. 2018년 마지막 정기시험인 51회 테샛시험(11월18일)을 앞두고 최근 가장 많이 등장하고 있는 시사 경제용어를 정리해보자. 제로금리·양적완화 =미국 중앙은행(Fed)이 기 미국 중앙은행(Fed)이 기준금리를 차근차근 올리고 있다. 2008년 글로벌...
-
진로 길잡이 기타
은행권 취업 시험은 NCS 방식이 대세…제10회 한경금융NCS로 미리 준비를
하반기 은행권 채용에서 ‘금융NCS’가 단연 이슈였다. 대부분의 은행이 은행연합회의 모범규준 채용 매뉴얼에 따라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방식의 채용을 전면 도입하면서 금융NCS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수험생들의 관심도 자연스럽게 NCS를 공부해야 할 필요성을 극대화했다. 2년 전인 2016년 금융NCS는 특성화고와 전문대에 한정된 이슈였다. 하지만 올해부터 일반 대학생에게까지 NCS가 확대됐다. 이번 호는 이...
-
생글기자
'꼰대'라는 이미지에 대한 위험한 편견
최근 한 케이블방송 채널에서 젊은 연예인들을 출연시켜 그 사람에게 ‘꼰대’ 기질이 얼마나 있는지를 몰래카메라 방식으로 촬영한 후 10대, 20대, 30대 대표로 참석한 패널단에 보여주고 그들의 투표 결과를 통해 출연자가 꼰대인지 아닌지를 판명해보는 오락프로그램이 방송되고 있다. 꼰대는 표준국어대사전을 찾아보면 늙은이를 이르는 은어, 또는 선생님을 이르는 학생들의 은어로 표기돼 있다. 요즘 학생이나 젊은 층은 자신의 경험을...
-
생글기자
'헨리 조지'식의 '토지 공유화' 경계해야
옛날에 ‘하늘 아래 왕의 땅이 아닌 곳이 없다(普天之下莫非王土·보천지하 막비왕토)’는 말이 있었다. 과거에 국가는 토지를 국민 전체의 복리 증진을 위한 공동 기반으로서 공적 재화임을 고려해 그 소유와 처분에 대한 적절한 유도와 규제를 가할 수 있었다는 뜻이다. 하지만 오늘날은 극소수 사회주의 국가를 제외하고는 토지를 공적 재화가 아니라 사적 재화로 규정하는 토지사유화를 인정하고 있다. 진보성향의 국내 지식인들...
-
테샛 공부합시다
코즈의 정리
문제 다음 ( A )에 알맞은 용어를 고르시오. [( A )은(는) 다국적 기업이 국가 간 세법의 차이, 조세조약의 미비점을 이용해 소득을 고세율 국가에서 저세율 국가로 이전하는 세금 회피 전략을 의미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 A )을(를) 방지하기 위한 일련의 조치(action plans)를 제시했으며, OECD와 G20 소속 국가가 중심이 돼 OECD의 권고에 따라 자국 세법과 조세조약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① Worl...
-
경제 기타
'폴더블폰 시대' 열렸다…화면 접으면 스마트폰, 펴면 태블릿
화면 중간을 접었다 펼 수 있는 ‘폴더블(foldable) 스마트폰’ 시대가 열렸다. 지난달 중국의 한 디스플레이 전문업체가 세계 최초로 폴더블폰을 공개했다. 삼성전자, 화웨이 등 글로벌 스마트폰 업체들도 잇따라 비슷한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이 멈춘 가운데 폴더블폰이 시장을 반등시킬 수 있을지 관심사다. 접으면 스마트폰, 펼치면 태블릿 폴더블폰은 단어 그대로 접을 수 있는 휴대폰이다. 과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