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한경경제체험대회에 도전하세요! 고교생이면 누구나 참가 가능…7월18~8월12일까지 진행

    ‘2016 한경 청소년 경제체험대회’가 열린다. 한국경제신문사가 주최하고 교육부가 후원하는 이번 대회는 7월18일부터 8월12일까지 4주 동안 진행된다. 한경 청소년 경제체험대회는 고등학생들이 직접 과제별 주제를 선정하고 수행하는 체험형 프로그램이다. 학생들은 기업(가) 탐구를 통한 창업계획서와 경제체험활동보고서 등 두 가지 과제 수행 후 보고서 제출을 통해 실물경제를 체험하며 배우게 된다. 이번 대회는 지도교사 1명과 ...

  • 경제 기타

    중·고교 생글기자 선발합니다~~^^

    생글생글 독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한국경제신문이 발행하는 국내 최고 중·고교 경제·논술 신문 생글생글(생각하기와 글쓰기)이 제12기 고교 생글기자와 제5기 중학생 생글기자를 선발합니다. 선발 인원은 100명으로 고교 70명, 중학생 30명입니다. 생글기자는 학창 시절의 멋진 무대입니다. 훗날 기자를 꿈꾸는 학생이라면 생글기자는 더없이 소중한 경험이자 기회입니다. 설령 기자를 꿈꾸지 않더라도 생각과 글쓰기 실력을 키우...

  • 경제 기타

    맨부커 인터내셔널상 수상한 소설가 한강 "상은 중요하지 않아…글쓰기에 전념할 터"

    “저는 글을 쓸 때 책이 나온 다음의 일은 생각하지 않아요. 글을 쓰는 사람은 그냥 글을 써야죠. 노벨문학상은 책이 완성된 뒤 아주 먼 미래에 나오는 결과잖아요. 그런 게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아시아인 첫 맨부커상 수상자인 소설가 한강 씨(46)는 지난 24일 문학상에 대한 의견을 묻자 이같이 말했다. 이날 서울 동교동 한 카페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다. 맨부커상 수상 뒤 처음으로 언론과 만나는 자리였다. 한씨...

  • 커버스토리

    효율적 독서법…요약하고 키워드를 찾아라

    ‘배우고 때로 익히면 기쁘지 아니한가(學而時習之, 不亦說乎).’ 논어 첫 장 첫 구절에 나오는 이 문구는 배움의 즐거움을 일깨운다. 공자는 “아는 사람은 그것을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고, 좋아하는 사람은 그것을 즐기는 사람만 못하다(知之者不如好之者, 好之者不如樂之者)”고도 했다. 독서 역시 즐거워야 한다. 그래야 책과 오래 벗이 된다. 시간에 쫓기는 학생들에겐 효율적 독서법도 중요하다. 같은 도구라도 ...

  • 커버스토리

    고교생들이 읽을만한 경제·경영 서적, '경제학자의 생각법' '자본주의와 자유'…

    책은 인생의 스승이다. 인류의 빛나는 지혜와 사상, 그리고 지식이 담긴 책은 내 삶의 길을 밝혀주는 등불이기도 하다. 하지만 아무 책이나 무턱대고 읽다간 자칫 잘못된 길로 빠질 위험이 있다. 그래서 책도 ‘가려서’ 읽어야 한다. 특히 가치관이 형성되는 과정에 있는 청소년층이라면 ‘올바른 책 읽기’와 함께 ‘올바른 책 고르기’가 중요하다. 좋은 책을 선정하는 기준은 인간의 보편적인 ...

  • 경제 기타

    "세상에 공짜는 없다" 경제학자의 사고법

    사람들의 경제활동을 연구하는 경제학은 ‘선택의 학문’이라고 한다. 한정된 자원을 활용해 어떻게 하면 최대의 효율(효용이나 이익)을 거둘 수 있는가라는 문제를 다루기 때문이다. 경제학을 배우는 목적은 △현실의 세계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르고 △합리적 선택의 기본원리를 익히기 위해서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경제학자들은 어떻게 세상을 바라볼까? 애덤 스미스 이래로 경제학자들의 사고법을 한마...

  • 숫자로 읽는 세상

    '차비스모 덫'에 걸린 베네수엘라 굶주린 국민 폭동에 국정 마비

    “네 살짜리 딸이 암으로 죽어가고 있는데 치료할 약이 없다.” “아이들이 먹지 못해 등교하는 학생은 60%뿐이다.” “극심한 식량 부족으로 사람들이 거리와 광장에서 개, 고양이, 비둘기를 잡아먹기 위해 사냥하고 있다.” 경제난이 악화하고 있는 베네수엘라에 대해 외신들이 잇따라 이 같은 실상을 전하고 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지난 13일 베네수엘라에서 생필품 부족에 시달리던 군중...

  • 경제 기타

    국회법 개정 '365일 청문회' 가능해져…"국회 '갑질'로 국정 위축과 기업 경영 차질 우려"

    ☞ 국회가 사회적 이슈에 대해 미국처럼 상시 청문회를 열 수 있게 하는 내용을 담은 국회법 개정안이 ‘뜨거운 감자’가 되고 있다. 수시로 국회가 청문회를 열어 이슈 관계자나 전문가들로부터 의견을 듣고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자는 데는 반대하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그런데 국회를 이미 통과한 국회법 개정안에 대해 “정부가 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는 견해도 적지 않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