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기타
중국, 상업용 선도…미국, 민간용 시동…한국, 걸음마 단계
반 세기 전만 해도 드론(무인 항공기)은 공상과학 영화에나 나올법한 비행물체였다. 기술이 진화하면서 드론은 군사용에서 상업용으로 그 쓰임새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드론은 미국과 중국이 주도하고 있다. 정보기술(IT) 강국으로 불리는 한국은 드론분야에선 후진국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드론산업에서도 자동차나 스마트폰 못지않은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보고 있다. 출발이 늦었지만 이제부터라도 관련 규제를 풀고 단단히 준비해야 드론산업의 낙오자가 되지 않...
-
커버스토리
AI 4차 산업혁명…규제가 성패 가른다
드론 시장을 중국이 석권하고 있다? 미국, 일본, 독일이 아니라 중국이? 사실이다. 세계 상업용 드론시장의 70%를 중국 DJI라는 회사가 꽉 잡고 있다. 중국의 기술력이 다른 나라 보다 월등하기 때문일까? 그렇지는 않다. 전문가들의 분석은 이렇다. “중국 드론 시장이 다른 나라의 드론 시장보다 자유롭기 때문이다.” 중국이 보다 더 유연한 시장 창출 정책을 쓰고 있다는 이야기다. 자유 속에 훨훨 나는 중국 드론 중국의 ...
-
경제 기타
혼자 사는 '1인 가구' 500만명 넘었다
◆ 홀로 사는 1인 가구 비중 급증 홀로 사는 1인 가구 비중이 25년 새 세 배로 늘어나며 한국에서 가장 흔한 가구 형태가 된 것으로 조사됐다. 7일 통계청의 ‘2015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2015년 11월1일 기준 국내 총가구 수는 1956만603가구로 5년 전인 2010년(1796만3816가구)보다 8.9% 늘어났다. 지난해 1인 가구는 520만3000가구로 전체의 27.2%를 차지했다. 25년 전인 1990년...
-
교양 기타
(36) 나스메 소세키 '마음'
험난한 삶을 산 작가 일본의 셰익스피어라 불리는 나스메 소세키. 그의 대표작 <마음>은 일본 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렸으며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졌다. 판매부수 1700만 부를 돌파할 정도로 대중의 사랑을 받아 일본에서는 그를 ‘국민 작가’로 부른다. <마음>은 근대소설의 규범이 되었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나스메 소세키는 1914년에 이 책을 발간하면서 ‘자신의 마음을 ...
-
경제 기타
한국도 핵무장해야 할까요?
북한이 5차 핵실험을 강행함에 따라 한국도 핵무장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고개를 들고 있다. 이전까지는 매우 신중했던 핵무장론자들이 더 이상 북한을 좌시할 수만은 없다고 들고 일어선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반대론도 거세다. 한반도 비핵화 원칙을 줄곧 견지해온 우리 정부의 기존 방침에 어긋날뿐더러 핵에 핵으로 맞서는 것은 불행을 자초할 뿐이라는 것이다. 북한 견제를 위한 핵무장을 둘러싼 찬반 논란을 알아본다. ○ 찬성 새누리당 의원 모임인 &l...
-
경제 기타
인류의 전략적 선택, 결혼
최근 익살스러운 문구로 사람들의 시선을 끄는 광고 중 하나로 결혼정보회사의 광고를 흔히 볼 수 있다. 광고를 보면 마음에 드는 배우자를 찾아준다는 서비스가 매우 흥미로워 보이는데, 그 서비스를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결혼정보회사에 일정 금액을 내고 가입하게 되면, 가입한 당사자는 외모, 직업, 자산 규모 등 여러 항목별로 등급이 매겨진다. 그리고 본인처럼 등급이 매겨진 다른 회원 중, 자신의 취향을 충족시키며 본인과 비슷한 등급을 가...
-
교양 기타
(34) 원나라의 일본정벌
전체를 조망해야 진실이 보인다. 고구려와 백제 멸망 이후 나당엽합의 당사국 신라와 당나라는 한반도의 지배권을 놓고 전쟁을 벌인다. 670년부터 6년간 이어진 나당전쟁이다. 당나라는 옛 백제지역에 웅진도독부를 설치해 한반도 직할통치 의사를 분명히 하고, 백제왕자 부여융을 웅진도독으로 임명해 신라와 맞선다. 신라가 당나라를 물리친 이유 부여융은 백제에 우호적이었던 일본에 파병을 요청하고 지원군을 받을 만큼 세력이 탄탄했다. 고구려, 백제의 멸망...
-
경제 기타
'한경 생글 NIE 경진대회' 9월30일 접수 마감해요 ^-^
‘한경 생글 NIE 경진대회’ 참가 신청 마감이 9월 말로 다가왔다. 한국경제신문사가 한국언론진흥재단 후원으로 개최하는 이번 경진대회는 초·중·고·대학생이 경제신문과 친숙해져 올바른 경제지력을 갖출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것으로 △경제신문·시사경제 스크랩 △경제신문 만들기 △NIE 경제과목 우수 지도안 등 3개 분야로 나뉘어 진행된다. NIE(Newspaper In E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