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버스토리
돈 넘치며 물가 오르는 인플레…돈 가치는 그만큼 떨어져
물가는 한 나라의 전반적인 경제 수준을 가늠해볼 수 있는 주요 잣대 가운데 하나다. 영국 이코노미스트의 지난해 9월 기준 생활비가 가장 비싼 도시 조사에서 프랑스 파리와 홍콩, 스위스 취리히가 공동 1위, 일본 오사카가 5위, 미국 뉴욕 등이 공동 7위로 나타난 게 대표적 예다. 물가의 변동은 국가의 거시경제 운영뿐만 아니라 개인의 소득과 소비생활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 오르내림은 비상한 관심을 끈다. 물가가 오르는 인플레이션 신종 코...
-
커버스토리
로마제국·16세기 스페인·짐바브웨, 모두 인플레로 파탄
정부가 쓸 돈을 더 마련하려고 세금을 올리면 대부분의 사람은 화를 냅니다. 정부가 세금을 많이 떼갈수록 쓸 돈이 줄어들기 때문이죠. 그래서 정부는 새로운 방법을 씁니다. 이 방법은 세금을 올리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면서도 사람들의 화를 당장 돋구진 않습니다. 정부가 돈을 많이 찍어내 쓰는 방법, 즉 인플레이션 수법입니다. 토머스 소웰이라는 경제학자는 《베이직 이코노믹스》라는 책에서 “인플레이션은 보이지 않는 세금”이라고 썼...
-
경제 기타
'경제야 놀자' 뉴스레터로 경제공부 하세요
수요의 가격 탄력성?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기회비용과 매몰비용? 경제용어는 언제 들어도 어렵다. 그런데 이런 어려운 경제용어를 쉽게 풀어주는 뉴스레터가 생겼다. 한국경제신문이 메일로 발송하는 ‘경제야 놀자’가 그것이다. 경제야 놀자는 ‘지니’라는 가상 연구원이 경제 용어를 설명해주고 그 용어가 사용된 기사를 연결해준다. 더 나아가 그 용어와 관련해 취업 등 시험에 나올 만한 문제까지 소개해 직접 풀...
-
숫자로 읽는 세상
국민 60% "마트 의무휴업 폐지·완화해야"
국민 10명 중 6명은 대형마트 의무휴업 규제를 폐지하거나 완화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시장 보호를 이유로 한 달에 두 번 대형마트 문을 닫도록 한 현행 유통산업발전법이 당초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소비자의 편익만 해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국회에서는 대형마트 영업시간 규제를 전면 폐지하자는 내용의 입법이 추진되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시장조사업체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발표한 ‘유통규제 관련 소비자 인식&rsqu...
-
숫자로 읽는 세상
삼성 작년 반도체 영업이익 3위…인텔·TSMC에 뒤져
지난해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의 영업이익이 인텔, TSMC에 이어 세계 3위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2019년 2위에서 한 계단 내려갔다. 삼성전자의 주력 제품인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하락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지난해 반도체부문 매출은 73조원, 영업이익은 19조원을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19년(매출 64조9000억원, 영업이익 14조원)보다 개선된 실적이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비대면 경제가 활성...
-
숫자로 읽는 세상
서울 아파트 절반, 매매가격 9억 넘었다
서울에서 매매가격 9억원을 넘는 고가 아파트 비중이 처음으로 절반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중저가 아파트의 상승세가 이어지며 9억원 이하 아파트가 점점 더 드물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부동산114는 서울 아파트 127만7000가구를 표본으로 시세를 조사한 결과 지난달 15일 기준 9억원을 초과하는 아파트 비중이 51.9%(66만3291가구)에 달했다고 밝혔다. 9억원 넘는 아파트 비중은 2017년 21.9%에서 △2018년 31.2% △...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주식 '공매도 금지' 계속해야 하나
[찬성] 개인과 기관투자가 정보 불균형…'기울어진 운동장' 바로잡는 수단 공매도 금지를 한시적으로 해왔지만 계속 유지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주식시장의 구조적인 문제로 지적되는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잡자는 취지다. 주식도 없이 빌려서 파는 공매도 제도를 실제 이용하는 쪽은 대부분 기관투자가와 외국인 투자자다. 자금력이 있는 기관과 외국인 투자자들은 공매도를 이용해 현실적으로 수익을 내고 ...
-
디지털 이코노미
웹은 군중이 만들어내는 다양하고 방대한 도서관
1993년의 인터넷 환경은 온라인에 접속하는 것 자체가 어려웠다. 오늘날과 같이 지속적으로 접속 가능한 광대역 통신은 한참 뒤에 등장했다. 당시의 어려운 인터넷 환경 속에서도 온라인 토론집답인 ‘유즈넷(Usenet)’은 매우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었다. 저술가인 로버트 라이트는 1993년 9월 《뉴리퍼블릭》에 유즈넷을 소개하면서, 네트워크는 상호작용에 존재하는 모든 제약을 바꿔놓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