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 이코노미
아날로그 시대에도, 디지털 시대에도 사랑받는 기업
기업의 수명이 짧아졌다. 1950년대 기업 평균 수명은 약 60년이었다. 반면 오늘날은 20년이 채 되지 않는다. 기업이 변화하는 속도가 어지러울 만큼 빠른 탓이 아니다. 경쟁자의 엄청난 혁신 탓도 아니다. 세상에 발맞춰 미래를 준비하지 못한 근시안적 관점이 만연한 탓이다. 주주 자본주의와 근시안적 경영 비즈니스 세계에 근시안적 관점이 생겨난 것은 불과 50년 전이다. 《인피니트 게임》의 저자 사이먼 시넥은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밀턴 프리...
-
경제 기타
통계와 놀아볼까
초·중학생용 경제·논술신문 ‘주니어 생글생글’의 이번 주 커버스토리 주제는 통계입니다. ‘우리 가족의 몸무게 변화’ ‘집안일에 따른 용돈 체계’ 등 주변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숫자들을 정리하면 그것 자체로 통계가 된다는 점을 설명해 친숙하게 받아들이도록 했습니다. 주니어 생글생글 기자들도 주변에서 통계로 작성할 만한 사례를 찾아 기사로 보내왔습니다. 추...
-
커버스토리
동네가게 → 대형마트 → 모바일쇼핑…파레토·소비자 선택론으로 유통진화 보면?
‘대형마트 규제’는 생각해볼 만한 논점을 많이 제공합니다. 유통산업 진화와 파레토 효율, 월마트 효과, 선택할 자유 등의 시각으로 이 문제를 한번 들여다봅시다. 유통 진화의 과정에서 보면 오래전 우리나라엔 보부상(褓負商)이 있었습니다. 봇짐과 등짐을 지고 물건을 팔러 다니는 장사꾼을 일컫는 말입니다. 지금처럼 잘 닦인 도로도 없고, 차도 없고, 인터넷도 없던 시절, 사람들은 보부상을 통해 다른 지역에서 나는 것들을 샀습...
-
주코노미의 주식이야기
주가수익비율·주가순자산비율 등을 통해 평가…금리·회사의 신사업 진출 등도 주가 변동 요인
주가는 회사의 가치를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예를 들어 1000만 주의 주식을 발행한 주식회사의 주가가 1만원이라면 그 회사의 가치는 1000억원이 됩니다. 이를 시가총액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삼성전자는 시가총액이 약 350조원입니다. 세계 1위 회사인 애플의 시가총액은 무려 2조5000억달러(약 3500조원)에 달합니다. 발행된 주식의 가치가 상승하면 그 회사의 시가총액도 오르게 됩니다. 하지만 기업의 시가총액, 즉 주...
-
과학과 놀자
데이터 분석해보면 일어날 일 예측할 수 있어
아날로그 온도계 2개로 동시에 온도를 측정해보면 온도계 사이에 미세한 눈금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온도계를 아무리 잘 만들어도 소수점 이하의 모든 자릿수까지 일치하는 값을 나타낼 순 없다. 디지털 온도계는 차이가 생기기 시작하는 자릿수 이하의 값을 아예 표시하지 않거나 0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여러 개의 디지털 온도계가 모두 37.5℃를 가리키더라도 엄밀히 말해 다 같은 온도는 아니다. 따라서 측정 기계가 가진 한계를 넘어 보다 정밀한...
-
키워드 시사경제
취업·승진하면 "내 대출금리 깎아달라" 요구하세요
금융당국이 소비자 보호를 위해 ‘금리인하요구권’ 확대에 나서고 있지만 은행권의 수용률은 계속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은행에 접수된 금리인하요구권 행사 신청은 총 88만2047건이었고, 이 중 26.6%(23만4652건)가 받아들여졌다. 금리인하요구권 수용률은 2019년 32.8%, 2020년 28.2%에 이어 해마다 감소하고 있다. 2금융권에서는 업체별 상황이 천차만별이었다. 저축은행 중에서는...
-
사진으로 보는 세상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49만명 응시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마지막 모의평가가 8월 31일 오전 8시 40분부터 전국 2124개 고등학교와 456개 지정 학원에서 치러졌다. 9월 모의평가는 오는 11월 17일 치러지는 실제 수능과 출제 영역, 문항 수가 동일하다. 졸업생 등을 포함해 수험생 대부분이 응시하는 만큼 출제 경향과 자기 실력을 가늠해볼 수 있는 시험이다. 이번 모의평가에 지원한 수험생은 48만9370명이다. 이 중 재학생이 39만7119명이고 졸업생 등(검정고시...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영국 기관총에 아프리카 '추풍낙엽'…유럽 각국도 긴장
19세기 중반만 해도 아프리카 내륙은 ‘미지의 세계’였지만 1880년대부터 1900년 사이 수천 개의 아프리카 내륙 왕국은 40개의 국가로 재편됐고, 그중 36개는 유럽 국가의 직접 통치를 받게 된다. 아프리카는 영국에 정치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주는 지역이라기보다 알짜배기 최대 식민지인 인도로 가는 길목 내지 인도를 보호하기 위한 완충장치 역할을 했다. 인도로 가는 배들이 연료로 사용할 석탄을 보관하는 장소의 의미로도 개척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