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학 길잡이 기타
올해 수시모집 선발인원 64%…내게 맞는 전형 찾아라
2015학년도 대입 전략- 수시 (상) 지난해 수시모집 원서접수는 9월과 11월 2회에 걸쳐 실시했지만 올해부터는 9월6일부터 14일까지 1회만 실시한다. 수시모집 선발인원은 작년보다 약 2% 축소된 전체의 64%를 모집한다. 하지만 수시 미등록으로 인한 결원 발생으로 수시모집 실질 선발인원은 소폭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대학별로 공지한 올해 전형계획을 살펴보면 수시에서는 지난해와 마차가지로 논술, 면접 등 대학별고사와 학생부종합전형 위주...
-
학습 길잡이 기타
(34) 함께 말할 만한데도 말을 하지 않으면 그 사람을 잃게 된다
▶ 공자가 한 말이에요. “함께 말할 만한데도 말하지 않으면 사람을 잃게 되고, 함께 말할 만하지 못한데도 말한다면 말을 잃을 것이니, 지혜로운 사람은 사람도 잃지 않고 말도 잃지 않는다”라는 구절의 일부로 『논어』의 '위령공'편에 실려 있어요. 가끔 내 마음을 온전하게 털어놓아도 될 사람에게 침묵을 지키다 그 사람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있어요. 또 반대로 믿지 못할 사람인데 철석같이 믿고 모든 것을 털어놓아 낭패를 보는 경우도 있고요. 그만큼 ...
-
학습 길잡이 기타
자연의 섭리가 숨어있는 '피보나치 수'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 - 자연의 섭리가 숨어있는 '피보나치 수' 1, 1, 2, 3, 5, 8, 13, 21, 24, 34…과 같이 '이웃하는 두 항의 합이 그 다음 항의 값과 같다'는 규칙으로 진행되는 수열을 피보나치 수열이라고 한다. 이는 '피사의 레오나르도 다빈치'라 불리는 이탈리아 수학자 레오나르도 피보나치에 의해 처음 제기됐는데 따져볼수록 다채로운 자연현상이 그 안에서 나타나는 신비로운 수열이다. 신의 비율인 황금...
-
학습 길잡이 기타
자기소개서…성장과정과 환경문항 접근법
현민의 스토리면접 (6) 면접이란 무엇일까? 이에 대한 답으로 최근 중국에서 일어난 일을 소개해 보겠다. 지난 5일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중국 최고 감찰기구인 중앙기율검사위원회의 왕치산 서기의 말이 화제가 되고 있다. “사실 나는 한국드라마('별에서 온 그대')가 왜 중국을 점령하게 됐는지, 또 왜 바다를 넘나들며 미국 심지어 유럽에서까지 유행하고 있는지 깊이 생각해봤다. 한국드라마의 핵심과 정신은 바로 전통문화의 승화...
-
학습 길잡이 기타
<20> 논술 유형 탐구 (3) - 설명하기
새 교실과 새 친구들에 적응이 되셨겠지요? 이번 주부터 이 연재의 제목답게 첨삭을 해드리려고 합니다. 학교에서 논술 수업을 듣는 학생들의 경우 첨삭에 대한 갈증이 심한 것 같더군요. 논술은 무엇보다 첨삭이 중요한데 말이지요. 지면 관계상 문제를 지면에 제공해드리진 못하지만, 연재 말미에 나와 있는 이메일 주소로 첨삭을 신청하시면 제가 문제를 보내드리겠습니다. 이메일 주소에 <첨삭 신청>이라고 적어주세요. 그 문제를 1주일 동안 푸신 ...
-
학습 길잡이 기타
<228> 이항정리의 확장
최준원 < S·논술 자연계 논술팀장 vach2357@gmail.com >
-
진학 길잡이 기타
서울 주요대학 정시 수능반영 비율 90% 이상
▷ 2015학년도 대입 주요특징- 총괄 (8) 3월말 평가원 홈페이지에 '수능 출제메뉴얼' 발표 예정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은 11월13일(목)에 치러진다. 수능은 정시에서 대입 합격의 당락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발휘하지만 수시모집에서도 최저학력기준으로 적용되어 최종 불합격여부를 결정한다. 고3 및 재수생을 포함한 수험생들은 정시는 물론 수시기간에도 수능시험에 대한 시간 안배를 적절히 하고 지속적으로 꾸준히 대비해야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
학습 길잡이 기타
(33) (사람은) 잃을 것을 걱정한다면 못하는 짓이 없게 된다
▶ 공자가 비루한 사람과는 함께 임금을 섬길 수 없다며 한 말이에요. “부귀를 얻기 전에는 얻을 것을 걱정하고, 이미 얻고 나서는 잃을 것을 걱정하니, 만일 잃을 것을 걱정한다면 못하는 짓이 없게 된다”는 구절의 일부로 『논어』의 '양화'편에 실려 있어요. 우리는 가끔 '저리도 많이 가진 사람이 어찌 저런 나쁜 일을 서슴지 않고 하지?'라고 생각할 때가 있어요. 이 의문에 '부귀에만 뜻을 두는 자는 못하는 짓이 없다.'라는 옛말이 어느 정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