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독립신문, 띄어쓰기를 말하다 “우리신문이 한문은 아니쓰고 다만 국문으로만 쓰난거슨 샹하귀쳔이 다보게 홈이라. 또 국문을 이러케 귀졀을 떼여 쓴즉 아모라도 이신문 보기가 쉽고 신문속에 잇난 말을 자세이 알어 보게 함이라.”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신문인 독립신문의 창간사설에 나오는 대목 한 부분이다. 1896년 4월 7일 첫 호를 냈으니 지금으로부터 꼭 120년 전 글이다. 독립신문은 언...

  • 학습 길잡이 기타

    한무제는 신선을 좋아해 황금을 태웠지만 자줏빛 연기만 얻었네. - 전당시

    ▶ 27세에 요절한 이하(李賀)는 상상력이 풍부하고 귀기(鬼氣)어린 시를 지었어요. 사람들은 이하의 시를 사랑했고 그를 귀재(鬼才)라 불렀어요. 이 시구는 이하의 ‘마시이십삼수(馬詩二十三首)’ 중 마지막 수로 ‘한무제는 신선을 좋아해 황금을 태웠지만 자줏빛 연기만 얻었고, 마구간에는 모두 살찐 말뿐이라 푸른 하늘에 오를 방법을 알지 못했네’의 일부예요. 한무제는 오래 산 황제에 속하지만 불로장생에 관심...

  • 학습 길잡이 기타

    완화된 최저학력 기준…생글논술대회로 명문대 가자!

    제21회 한국경제신문 생글생글 논술경시대회가 오는 5월29일(일) 열린다. 생글논술대회는 10년이라는 시간이 흐르는 동안 국내 최대의 논술대회로 자리매김했다. 지난 10년간 누적 응시자는 9만명에 달한다. 10년을 넘긴 생글논술대회는 그동안의 노하우를 토대로 대입 논술수시 전형에 맞춤한 문제를 출제해 평가, 분석할 예정이다. 요즘 일각에선 논술전형으로 뽑는 신입생 정원이 줄었다는 시각이 있으나 반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수능 최저등급이 대학별...

  • 학습 길잡이 기타

    산업혁명, 교육의 또 다른 기능을 부여하는 기회

    산업혁명이 경제적으로 가장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다 준 시기라는 사실은 많은 사람들이 익히 알고 있다. 하지만 산업혁명으로 인해 교육의 기능과 역할이 크게 변화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은 듯하다. 전통적으로 교육은 국가 구성원들의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여 국가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기능을 담당하는 데 주력해 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국가 구성원들에게 공통된 도덕적 기반과 가치를 형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가 체계...

  • 진학 길잡이 기타

    선배나 외국의 소논문 통해 연구주제를 찾아라

    Ⅰ. 들어가며 고교생들 사이에 소논문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힘들다는 표현도 있지만, 막연하고 어려워만 보이던 소논문 활동이 이젠 도전해볼 만한 것으로 느껴진다는 표현도 많아졌다. 논문으로서의 가치도 중요하지만 객관적으로 자신의 주장을 증명하려는 과정이 더욱 중요함을 알아가는 것 같아 뿌듯하다. 초등학교때부터 탐구하는 자세로 책을 읽어가고 이를 실험·정리하며 논문화하는 외국의 사례들을 볼 때, 우리나라도 이런 환경이 ...

  • 학습 길잡이 기타

    접선의 방정식 / 정적분의 성질 2016

    S·논술 자연계 논술팀장 vach2357@gmail.com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검은돈'과 '눈먼 돈'의 차이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ICIJ)가 이달 초 폭로한 ‘파나마 페이퍼스’란 자료가 큰 파문으로 번지고 있다. 각국 유력인들의 조세 회피 의혹이 담겨 있어 전·현직 지도자들과 정치인, 유명인사들이 전전긍긍하고 있다고 한다. 전 세계 언론을 달구는 관련 보도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핵심어 세 개가 있다. ‘...

  • 학습 길잡이 기타

    호랑이와 표범의 아름다운 무늬는 사냥꾼을 부른다. - 장자

    ▶ 『장자』의 ‘응제왕’편에 나온 글이에요. 양자거가 자신의 기준에서 훌륭한 제왕에 대해 말하자 노담이 말했어요. 호랑이와 표범이 아름다운 무늬 때문에 사냥꾼을 만나고, 원숭이가 민첩함 때문에 묶임을 당하는 것처럼 우리 눈에 능력 있어 보이는 사람도 이 같은 처지가 되기 쉽다고 말이죠. 또 진정 제왕이 될 만한 사람은 공적이 천하를 뒤덮어도 그것을 자기가 한 일로 생각하지 않고 교화가 만물에 베풀어져도 백성들이 느끼지 못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