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최문섭의 신나는 수학여행-박희성의 맛깔난 잉글리시

    최문섭의 신나는 수학여행 - 생활속 닮음과 수학의 닮음 “와~!! 진~~짜 똑같이 생겼다.” “워메, 어쩜 저리 닮았을까잉? 똑같네, 똑같아.” 가끔 우리는 부모님과 함께 걸어가는 가족의 생김새를 보면서 이 같은 감탄을 하곤 한다. 아마 이런 표현을 쓰게 되는 이유는 가족의 모습 속에서 크기는 다르지만 같은 모양의 어떤 닮은 것을 발견했기 때문이리라. 이와 같이 우리는 일상 속에서 다양한 닮음들을 만난다. 다만 일상에서의 닮음은 언뜻 보기...

  • 학습 길잡이 기타

    Smart한 논술의 법칙 <51> 사고의 과정을 보여주는 게 논술!

    ▧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개학한 지도 벌써 2주가 돼갑니다. 이 기사를 보고 있는 수험생들은 3월 모의고사를 보기 전이거나 혹은 모의고사를 보고 난 다음이겠지요. 전자라면 시험 잘 봤으면 하고, 후자라면 시험을 통해 자신이 약한 부분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아직도 변화된 입시 때문에 혼란스러워하는 학생들이 많지만, 전년에 비해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는 것을 잘 기억해 두었으면 합니다. 그리고 정시에 올인하는 것...

  • 학습 길잡이 기타

    <137> 기본 요약방식 두 가지 (2)

    지난주에 말씀드린 바와 같이 1번 요약 방식의 구체적인 실례를 보여 드리도록 할게요. 이번주에도 마찬가지로 PDF를 신청하실 수 있으니, 신청하셔요! 우선 1번 요약은 '제시문 (가)'를 주어로 사용하는 <외연+내연> 방식이라는 사실을 잊지 않은 채, 이 연재를 보셔야 합니다. 제시문 (가) 대통령 선거가 가까워지면 으레 대선 주자들과 명당을 결부시키는 호사가들의 입방아도 바빠진다. 대선이 가까워지기만 하면 누구는 명당을 찾아 어...

  • 학습 길잡이 기타

    <187> 자연계 논술의 기초- 표현력 및 답안 작성

    최준원 S·논술 자연계 논술팀장 vach2357@gmail.com

  • 학습 길잡이 기타

    <89> 밥을 이제 막 먹으려고 해요

    옛글자 현재글자 이어공부하기 고사성어 -일촉즉발(一觸卽發) : 한 번 건드리기만 해도 폭발할 것같이 몹시 위급한 상태. - 색즉시공(色卽是空) : 현실의 물질적 존재는 모두 인연에 따라 만들어진 것으로서 불변하는 고유의 존재성이 없음을 이르는 말. 반야심경에 나오는 말이다. 이어공부하기 한자어 -즉결(卽決): 그 자리에서 곧 결정함. 또는 그런 결정에 따라 마무리를 지음. -즉흥(卽興): 그 자리에서 바로 일어나는 감흥. ...

  • 학습 길잡이 기타

    최문섭의 신나는 수학여행-박희성의 맛깔난 잉글리시

    최문섭의 신나는 수학여행 - 안보이는 것을 보는 것이 창의력~ ! 수학의 창의력에 관해 널리 알려진 유명한 얘기들 중 다음과 같은 일화가 있다. 어느 날 왕이 신하들을 모아 놓고 벽에 선을 하나 그었다. 그러고는 신하들에게 말했다. “경들은 잘 듣거라. 지금 경들의 눈에는 내가 벽에 그어놓은 선이 보일 것이다. 이제 경들은 이 선에 절대 손을 대지 않고 짧은 선이 되도록 만들어 보거라.” 이 말을 들은 모든 신하들은 어리둥절했다. 모두들 ...

  • 학습 길잡이 기타

    Smart한 논술의 법칙 <50> 제시문 요약을 뛰어넘어라!

    ▧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이제 개학입니다. 이제 새로운 학년이 시작되었고, 다음주면 3월 모의고사입니다. 지금까지 준비한 공부 결과를 테스트하고 현재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 잘 준비하시고 시험 잘 봤으면 합니다. 새 학년을 맞이하여 오랜 침묵을 깨고 많은 대학들이 올해 수시 입시안을 내놓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봤을 때 크게 변화한 것은 없지만 특징이라고 한다면 수능최저등급을 요구하지 않는 대학이 사라지고 있다...

  • 학습 길잡이 기타

    <136> 기본 요약방식 두 가지

    지난주에 요약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몇 가지 예시문제를 통해 살펴보았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실전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아니, 기껏 연재까지 해놓고 써먹을 수 없다고 하니 놀랍지요? 그야 당연히, 실전에서는 제시문이 1개가 아니라, 여러 개이기 때문입니다. 즉, 1개가 아니기 때문에 이 제시문이 어떤 제시문인지 구체적으로 밝혀주어야 하는 것이지요. 쉽게 말해서 '제시문 (가)'에 대한 내용이라는 것을 밝혀주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