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 길잡이 기타
(12) 경제적 세계화의 영향
▧ 들어가면서… 이번 시간에 살펴볼 논술 주제는 학생들에게 친숙하고, 그렇기 때문에 누구나 어느 정도는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또 그렇기 때문에 누구나 비슷한 상투적인 답안을 써내는 주제인 세계화이다. 세계화 문제만 나오면 거의 반사적으로 “교통과 통신의 급속한 발달로 지구촌은 하루가 다르게 좁아지고 세계인은 서로 가까워지는…” 등의 문구가 등장하는 답안이 속출한다. 이렇게 시작되는 답안이 대개 비슷하게 낮은 득점을 하는 이유는 현상의 대강만...
-
학습 길잡이 기타
화학 (3) - 물질의 구조와 특성(Ⅰ)
성열상 Sㆍ논술 자연계 대표강사 sys1040@naver.com
-
학습 길잡이 기타
<204> 곡선의 개형
볼록함수의 정의 최준원 S·논술 자연계 논술팀장 vach2357@gmail.com
-
학습 길잡이 기타
(6) '사람은 다쳤는가?' 하고 말에 대해서는 묻지 않았다 - 논어
▶공자의 마구간에 불이 났어요. 집에 돌아온 공자는 사람이 다치지 않았는가만 묻고 말에 대해서는 묻지 않았다고 해요. 어찌 말[馬]이 귀하지 않겠어요? 당연히 귀하죠. 하지만 사람보다 귀하겠습니까? 아니 귀해서야 되겠습니까? 언제부턴가 모든 것을 돈으로 환산해서 말해요. 모두가 돈으로 가치전환이 안 되는 물건이나 사람들을 무시해요. 그런데 아세요? 돈으로 바꿀 수 없는 것을 많이 가진 사람일수록 행복하다는 것을요. 여러분은 돈으로 바꿀 수 없...
-
학습 길잡이 기타
이승민의 재미난 수학세계-박희성의 맛깔난 잉글리시
이승민의 재미난 수학세계 - 영과 음수 이야기 우리는 생활 속에서 많은 숫자를 사용한다. 무심코 쓰는 0과 음수, (음수)×(음수)=(양수)임을 알아보자. ▨ 0과 음수의 발견 고대 바빌로니아에서는 수를 표기할 때 비어 있는 자리를 나타내기 위해 쐐기꼴의 기호를 사용했지만 이것을 0이라고 할 수는 없다. 기호 0은 인도에서 처음으로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텅 빈'이라는 의미의 인도어 '수냐(sunya)'에서 비롯되어 라틴어 형태인 제...
-
학습 길잡이 기타
(11) 소크라테스 "악법도 법이다"
“악법도 법이다.” 참 유명한 말이죠? 다소 불합리해 보이더라도 국가가 정한 법은 따라야 한다는 이 말의 출처는 소크라테스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소크라테스에 관련한 모든 자료를 다 찾아봐도 그가 “악법도 법이다”라는 말을 했다는 내용은 나오지 않습니다. 전문가들에 의하면, 그는 이런 말을 한 적이 없습니다. 꾸며진 말이었던 것입니다. 독재자들에 의한 날조라는 말도 있지만, 단정할 만한 증거는 없습니다. 다만 소크라테스가 한 말이 아니라는 ...
-
학습 길잡이 기타
(11) 소비 이론
▧소비하는 인간 그 사람이 누구인지 알고 싶다면 그가 무엇을 소비하는지 보면 된다. 사서 쓰고 버리거나 처박아두고 다시 사서 쓰는 것을 반복하는 현대인들에게 소비란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행위 중 하나일 것이다. 무엇을 어떻게 소비하는가의 문제는 좁게 보면 한 사람의 경제적 형편이나 취향에 달려 있는 것 같지만 넓게 보면 사회의 제도나 분위기의 문제이기도 하다. 그래서 생겨난 신조어가 소비하는 인간, '호모 컨슈머리쿠스'일 것이다. 때문에 우리...
-
학습 길잡이 기타
화학 (2) - 이상기체 운동론 (Ⅱ)
성열상 Sㆍ논술 자연계 대표강사 sys104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