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교육대학 면접· 자기소개서 <2>

    현민의 스토리면접 (19) Ⅰ. 들어가며 속담과 한자 표현은 과연 유용할까? 면접장에서 사용한다면 어떠한 효과가 날까? 이러한 의문에 답을 준 사람이 있다. 바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61)이다. 지난 3~4일 시 주석은 1박2일 일정으로 한국을 방문해 약 30시간30분간 국내에 머물렀다. 이때 보여준 시 주석의 언행 속에서 우리는 ‘속담’과 ‘한자 표현’의 유용성과 효율성을 확인할 수 있...

  • 학습 길잡이 기타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 - 불사조 같은 '카프리카의 불변수' 인도 어느 지역에 있는 철도 선로 옆에 3025㎞라고 쓰인 이정표가 있었다. 어느 날 심한 폭풍우로 이 이정표가 쓰러지면서 두 동강이 났다. 그래서 이정표에 쓰여 있던 3025가 정확히 절반으로 잘려 30과 25로 나뉘게 되었다. 마침 이곳을 지나던 인도의 수학자 카프리카는 쓰러진 이정표의 두 숫자를 보고 30+25=55이고 55=3025라는 사실을 ...

  • 학습 길잡이 기타

    (50) 배운 후에야 부족함을 깨닫고, 가르쳐본 후에야 곤란함을 알게 된다 - 예기

    『예기』 ‘학기편’에 실려 있는 글로, “비록 좋은 안주가 있어도 먹지 않으면 그 맛을 모르고, 비록 지극한 도가 있어도 배우지 않으면 그 좋음을 알지 못한다. 그러므로 배운 후에야 자신의 부족함을 알고, 가르쳐본 후에야 곤란함을 알게 된다”의 일부예요. ‘가르치고 배우는 것은 서로 도움을 준다’는 교학상장(敎學相長)과 관련 있는 글이에요.물어보기 귀찮아 모르는 것을 그냥 넘어...

  • 학습 길잡이 기타

    홍상수의 맛있는 과학논술 (11) 자유낙하 운동

    홍상수 < S·논술자연계논술강사 immanuel78@gmail.com >

  • 학습 길잡이 기타

    <33> 논술 유형탐구 (7) - 통계를 사용한 유형 (1)

    지난 시간까지 우리는 글로 된 제시문을 토대로 2개를 사용한 기본 유형과 3개를 사용한 복합 유형, 그리고 4개를 사용한 복수의 제시문 비교 유형까지 배웠습니다. 이번에는 글로 된 제시문뿐만 아니라 도표나 그래프 통계가 사용된 유형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역시나 대학의 수준에 따라서 문제의 유형도 크게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다. 보는 것과 같이 통계 자료를 사용하는 대학은 매우 많습니다. 오히려 쓰지 않는 대학을 찾는 것이 더 쉬울 정도...

  • 학습 길잡이 기타

    교육대학 면접 및 자기소개서

    현민의 스토리면접 (19) 대입 실전면접 문답과 평가 Ⅰ. 들어가며 요즘 선생님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하고 있다. 참으로 다행이다. 선생님처럼 좋은 직업은 없는 것 같다. 직업이란 20대에서 시작해 60대까지 30여년 이상을 함께하는 동반자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하루 10시간 이상 그 직업과 관련된 사람을 만나거나 지식을 쌓게 된다. 그러기에 직업이란 자아완성의 방향이며, 배움의 범주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선생님은 늘 미래, ...

  • 학습 길잡이 기타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 - 배열 원리 풀어주는 '비둘기집의 원리' 공원에서 비둘기 21마리가 한가롭게 놀고 있다. 밤이 되자 각자 잠을 청하기 위해 공원 한쪽에 마련된 집으로 돌아가려고 한다. 그런데 비둘기 집에는 방이 20개밖에 없다. 21마리의 비둘기 모두에게 방이 하나씩 돌아가지 않으므로 비둘기 중 적어도 2마리는 한 방에 같이 들어가 비좁게 잠을 잘 수밖에 없다. 이것은 독일의 수학자 디리클레가 수학 문...

  • 학습 길잡이 기타

    (49) 빨리 하려 하지 말고, 조그만 이익에 집착하지 말라 - 논어

    『논어』 ‘자로편’에 실려 있는 글로, “빨리 하려 하지 말고, 조그만 이익에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 빨리 하려고 하면 도달하지 못하고, 조그만 이익을 보면 큰일을 이루지 못한다”의 일부예요. 공자가 제자인 자하에게 해준 말이에요. 일을 빨리 하면서도 한 치의 오차가 없기란 여간 힘든 일이 아니에요. 서두르다 보면 분명 한두 가지 빠뜨리거나 실수하기 마련인데, 그 작은 실수가 전체 일을 망치기도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