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숫자로 읽는 세상
'안전자산' 金의 배신…올 고점 대비 19% 뚝
투자자들의 상식으로 올해 금값은 오르는 게 맞다. 주식 등 위험자산이 흔들릴 때는 보통 금 같은 안전자산 투자 수요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금은 전통적으로 ‘인플레이션 피난처’로 각광받아 왔다. 그러나 금 가격이 좀처럼 맥을 추지 못하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과 강(强)달러가 금 시세에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 19일 금 선물 12월물은 0.3%(5.3달러) 떨어진 트로이온스당 1678.2달...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간학문적 연구, 이질적인 학문의 만남
공공선택론은 정치학의 영역인 공공 부문의 의사결정에 대해서 경제학적 원리와 방법론을 적용하여 설명하려는 연구이다. 공공선택론은 기존의 정치학과는 다르게 다음 세 가지 가정으로부터 출발한다. 첫 번째 가정은 방법론적 개인주의로, 모든 사회 현상의 분석 단위를 개인으로 삼는다는 것이다. 이 가정에서는 집단을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는 유기체적 주체로 보지 않기 때문에 국가는 의사결정의 주체인 개인들의 집합체라고 본다. 따라서 정치 현상은 개인들의 ...
-
커버스토리
영국 엘리자베스 2세 별세 군주정·민주정은 무엇인가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장례식이 지난 19일 치러졌습니다. 여왕의 뒤를 이어 장남인 찰스 왕세자가 왕으로 등극했습니다. 찰스 3세입니다. 영국은 입헌군주정을 하는 나라입니다. 헌법으로 왕의 권력을 제한하는 나라라는 뜻입니다. “왕은 군림하지만 통치하지 않는다”는 거죠. 현실정치는 의회, 내각, 수상이 맡아 합니다. 70년 만에 왕이 교체된 영국에선 요즘 군주정 찬반 논쟁이 일고 있다고 합니다. “여왕, 왕,...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不恥下問 (불치하문)
▶한자풀이 不 : 아닐 불 恥 : 부끄러울 치 下 : 아래 하 問 : 물을 문 아랫사람에게 묻는 게 부끄럽지 않다 모르면 누구에게도 물어야 한다는 뜻 -<논어(論語)> 자공(子貢)이 스승 공자에게 위(衛)나라 대부인 공문자(孔文子)의 시호(諡號)가 어떻게 해서 ‘문(文)’이 되었는지를 물었다. 공자가 답했다. “공문자는 민첩해서 배우기를 좋아하고,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
-
나의 신용 점검해보기
주니어 생글생글의 이번주 커버스토리 주제는 ‘신용’입니다. 사회 구성원 서로 간의 믿음, 신용은 금융 거래에선 상환 능력을 의미합니다.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 국가에도 신용은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 중요성과 의미를 깨닫고 자기 신용도 점검해보도록 했습니다. 주니어 생글 기자단이 SPC미래창조원을 방문해 일일 제빵사가 된 소식도 실었습니다. ‘내 꿈은 기업가’에선 상상을 하나씩 현실로 바꾸며 성장한 월트...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중상주의 독일, 노동운동이 정당 설립 형태로 진화
독일은 다른 유럽 국가들과 달리 노동운동이 초기부터 정당 설립 형태로 진화한 나라다. 독일에서 노동운동이 정치운동으로 손쉽게 바뀔 수 있었던 이유로는 독일이 중상주의와 위로부터의 개혁으로 요약되는 계몽주의적 절대주의 전통이 강했던 점이 꼽힌다. ‘국가가 각종 사회문제를 해결해줘야 한다’는 국가 중심적 문화가 강했다는 설명이다. 영국이 나폴레옹의 경멸적 표현처럼 ‘소매상인들의 국가’였던 반면, 독일의 부...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쌀 의무매입법'으로 과잉생산량 시장격리, 兆예산 투입해야 하나
양곡관리법 개정안으로 2022년 정기국회가 요란스럽다. 신문 지면에는 ‘쌀 의무매입법’이라고도 나오고, ‘쌀 시장격리법’이라는 냉소 섞인 표현도 나온다. 거대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추진 중인 이 법안은 정부가 예산을 써 쌀값 수준을 어느 선에서 의무적으로 유지하라는 것이다. 쌀 생산량이 국내에서의 예상 수요량보다 3% 이상 많거나 쌀 가격이 전년도보다 5% 넘게 떨어지면 정부가 의무적으로 초과 물량을 ...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마음속 이야기를 작품으로 형상화하라
우리나라 드라마가 세계를 휘어잡고 있다. 넷플릭스에서 방영된 ‘오징어 게임’이 미국 방송계 최고 권위의 에미상 시상식에서 감독상과 남우주연상을 비롯한 6개 상을 휩쓸었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도 넷플릭스 비영어 TV부문 1위 행진을 이어가고 있고 ‘수리남’도 높은 관심 속에 방영 중이다. 지난 8월 기준 세계 3억2067만 가구가 넷플릭스에 가입했으며, 우리나라에서만 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