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糟糠之妻 (조강지처)

    ▶한자풀이 糟 : 지게미 조 糠 : 겨 강 之 : 갈 지 妻 : 아내 처 지게미와 쌀겨를 함께 먹어온 아내 가난을 같이 견뎌낸 본부인을 이름 - 《후한서(後漢書)》 송홍(宋弘)은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를 섬겨 대사공(大司空)에까지 올랐다. 그는 성품이 온후하고 강직했다. 어느 날 광무제가 미망인이 된 누님 호양공주에게 신하 중 누구를 마음에 두고 있는지 의중을 떠봤다. 호양공주가 송홍을 칭찬했다. “송공의 위엄...

  • 커버스토리

    가뭄·장마 겪어보면…물 가치 알게 되지요

    “우물이 말라봐야 물의 가치를 알게 된다.” 벤저민 프랭클린(1706~1790)은 26세 때 만든 달력(가난한 리처드의 달력)에 이런 문구를 적었습니다. 그는 25년 동안 매년 달력을 만들면서 여백에 부자가 되는 법, 건강하게 사는 법, 행복에 이르는 길, 속담과 우스갯소리를 써넣었습니다. 그중 하나가 물을 소중하게 다뤄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때도 지금처럼 물이 귀했던 모양입니다. 물을 잘 관리하라는 뜻이겠지요. 장마...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영부인'은 의미변화 중일까?

    ‘나랏말싸미 둥귁에 달아···마침내 제뜨들 시러 펴디 몯할 노미 하니라···.’ 모두 108자로 이뤄진 훈민정음 언해본 서문의 한 대목이다. ‘나랏말이 중국과 달라 … 마침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노라’라는 뜻이다. 세조 5년인 1459년 간행된 《월인석보》에 실린 언해본은 우리말 역사를 살펴보는 데...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본질과 웃개념을 담은 표준 형식으로 바꾸자

    비타민 K는 혈액이 응고되도록 돕는다. 지방을 뺀 사료를 먹인 병아리의 경우, 지방에 녹는 어떤 물질이 결핍되어 혈액 응고가 지연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그 물질을 비타민 K로 명명했다. … 카르복실화는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중 글루탐산이 감마-카르복시글루탐산으로 전환되는 것을 말한다. 이처럼 비타민 K에 의해 카르복실화되어야 활성화가 가능한 표적 단백질을 비타민 K-의존성 단백질이라 한다. 비타민 K는 식물에서 합성되는 비타...

  • 영어 이야기

    from the get-go는 준비를 마치고 출발한다는 의미

    Thanks to what some economists dub a borderless economy, more South Korean startups than ever before are looking beyond the peninsula. Seoul-based accelerator Startup Alliance interviewed 164 startup founders and 90%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are...

  • 생글기자

    새로운 산업과 시장 창출할 인공 고기

    소, 돼지 등 동물을 사육해 얻는 것이 아닌 실험실에서 세포를 배양해 만든 고기. 인공 고기는 아직 많은 사람에게 익숙하지 않은 개념이다. 그러나 미래 어느 시점엔 인공 고기가 현재 우리가 먹고 있는 육류를 상당 부분 대체할 것이라는 전망이 점점 힘을 얻고 있다. 어쩌면 인공 고기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일지도 모른다. 현재의 축산업이 지속 가능성이라는 면에서 한계에 이를 수 있기 때문이다. 같은 양의 고기를 생산할 때 인공 고기는 지금의 축산...

  • 생글기자

    엄하게 다스려야 할 군내 폭력

    얼마 전 해병대 최전방 부대인 연평부대에서 선임병 3명이 후임병 1명을 상습적으로 구타하고 성고문까지 한 사건이 밝혀졌다. 가해자들은 심심하다는 이유로 폭행을 가하는가 하면 입에 담기도 어려운 모욕적 발언을 했다고 한다. 시대가 지나면서 군대 문화도 예전과 많이 달라졌다. 하지만 폭력과 가혹 행위가 완전히 근절되지는 않고 있다. 대한민국 헌법 제39조 제2항에는 ‘누구든지 병역의무의 이행으로 인하여 불이익한 처우를 받지 아니한다&r...

  • 과학과 놀자

    멜라토닌 분비되고 아데노신 쌓이면 잠에 빠져들어

    여름이다. 장마와 폭염, 열대야 등으로 잠 못 이루는 밤이 찾아올 것으로 예상된다. 열대야를 극복하기 위해 대다수의 사람은 시원한 생맥주나 청량음료를 찾지만, 이는 잠시 더위를 쫓을 뿐 오히려 깊은 잠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건강한 수면을 취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우리 몸에는 언제 잠을 자야 하는지, 언제 깨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주된 요인이 두 가지 있다. 첫 번째는 멜라토닌이라는 호르몬이다. 멜라토닌은 척추동물의 경우 뇌 속에 위치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