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강홍민 기자의 직업의 세계
내 관심사, 귀신같이 찾아내는 이 직업
"데이터가 정보가 되고 돈이 되는 시대죠" 데이터 엔지니어 정형기 “최근 데이터가 그야말로 폭증하고 있어요. 데이터를 소비하는 소비자들은 더 다양하고 빠른 데이터를 원하고 있죠. 앞으로는 데이터를 활용하는 범위가 지금보다 더 넓어질 것이고 그렇게 되면 데이터 엔지니어가 더 중요해지지 않을까요.” 바야흐로 ‘데이터 시대’다. 우리의 행동 하나 하나가 모두 데이터가 되고, 그 데이터가...
-
TESAT 공부하기 기타
A씨 年 4%, B씨는 10%…대출금리는 어떻게 정해질까
올 것이 왔다. 한국은행이 지난 13일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포인트 올렸다. 사상 첫 ‘빅스텝’ 금리 인상이다. 한은 기준금리는 작년 7월 연 0.5%에서 올 7월 연 2.25%로 1년 만에 1.75%포인트 상승했다. 기준금리가 오르면 당연히 대출 금리도 따라 오른다. 문제는 기준금리 오름폭보다 대출 금리 오름폭이 더 크다는 데 있다. 은행이 예대마진을 높여 ‘이자 장사’를 한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
성수기 가격, 바가지일까?
763호 생글생글은 성수기 물가를 커버스토리로 썼다. 한여름 해수욕장에 가면 모든 상품과 서비스 가격이 높아 짜증이 난다. 성수기에 치솟은 가격을 일컬어 ‘바가지’라고 한다. 하지만 우리는 산 정상에서 파는 아이스크림 가격은 동네보다 훨씬 비싼데도 바가지라고 부르지 않는다. 크리스마스카드 가격도 24일과 26일에 크게 다르다. 4면과 5면에서 가격의 다양한 얼굴을 만날 수 있다.
-
TESAT 공부하기 기타
기준금리
[문제1] 한국에서 각종 금리의 기본이 되는 기준금리를 정하는 은행은? (1) 산업은행 (2) 한국은행 (3) 투자은행 (4) 수출입은행 (5) 중소기업은행 [해설] 우리나라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은 1950년 6월 한국은행법에 따라 설립됐다. 한국은행은 화폐 발행과 통화 정책 수립 및 집행 등이 주된 업무다. 한국은행은 금융통화위원회를 통해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또한 통화량 조절과 자금의 효율적 분배 기능을 위해 중앙은행이 시중은...
-
커버스토리
해수욕장 물가 바가지일까요?
해수욕장 성수기, 해외여행 성수기, 논술학원 성수기…. 이럴 때마다 등장하는 말이 있습니다. “부르는 게 값이다”는 거지요. 시장 용어로 ‘바가지’라고 합니다. 한여름 해수욕장에 가면 모든 것의 가격이 치솟습니다. 자릿값, 튜브값, 밥값, 펜션값, 렌터카값. 해외로 가는 비행기표 가격도 그렇습니다. 대학 논술 코칭비도 마찬가지고요. 사람들은 희한하게 비쌀 때를 잘 기억합니다. 시장에선 반...
-
과학과 놀자
고흐 그림 '해바라기'가 갈색으로 변하는 이유
암스테르담 반 고흐 미술관에 전시된 빈센트 반 고흐(1853~1890)의 1889년작 ‘해바라기’가 노란색에서 갈색으로 변하고 있다는 말을 들어본 적 있는가? 2018년 5월 영국의 일간지 가디언에 보도된 내용에 따르면 과학자들이 엑스레이 장비를 이용, ‘해바라기’를 수년간 관찰해 그림 속 노란색 꽃잎과 줄기가 올리브 갈색으로 변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한다. 변색 원인은 고흐가 밝은 노란색을 표현...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유가급등으로 이익 증가한 정유사에 '횡재세' 부과, 문제는 없나
글로벌 공급망이 흔들리는 와중에 국제 유가가 급등하면서 국내 정유사들도 상당한 이익을 내게 됐다. 오르는 유가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유류세를 한시적으로 내렸지만 소비자들의 체감 효과는 크지 않은 것과 비교된다. 치솟는 물가 대응책의 하나인 유류세 인하가 별다른 효과를 내지 못하자 정치권에서 정유사에 대한 세금 부과 안을 내놓고 있다. 이른바 ‘횡재세(windfall tax)’다. 유가 급등으로 정유사와 주유소가 큰 이익을...
-
사진으로 보는 세상
고물가 대응 기준금리 0.5%P 인상 '빅스텝'
금융통화위원회는 13일 서울 세종대로 한국은행에서 본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1.75%에서 2.25%로 0.5%포인트 인상하는 ‘빅스텝’을 처음으로 밟았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앞으로 몇 달간은 6% 조금 넘는 인플레이션이 일어나고, 3분기 후반부터 상승세가 약간 꺾인다는 가정하에 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하면 물가 상승세 기대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인상 배경을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