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진학 길잡이 기타

    'No'라고 말하려는 대입면접관을 'Yes'로 바꾸는 비결…'전달의 기술' 을 익혀라!

    ▶▶ ‘서프라이즈’ 말 넣기 깜짝 놀라고 싶은 욕구를 채워라 상대에게 말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서프라이즈 말을 넣어 문장을 만드는 방법이다. 사람은 서프라이즈에 약하다. 깜짝 놀랄 무언가를 보고, 체험하고 싶은 욕구가 있다. 알고 받는 장미 100송이보다는 갑자기 ‘이거, 선물!’하고 내미는 장미를 받고 싶어 한다. 회사의 신제품 발표회에서도 그렇다. 신형 자동차를 발표할 때 왜 천을 씌...

  • 경제 기타

    격돌 ! 최저임금 인상 지상논쟁 등

    ‘최저임금 인상’을 두 학생이 ‘1대1’ 찬반논쟁을 벌였다. 각자의 주장에 일리가 있다. 두 사람의 의견은 독자 여러분의 생각을 정리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능력없는 영세사업장 많아…오히려 일자리 줄일 수도” 2014년 현재 최저 시급은 5210원이다. 매년 물가가 상승한 추세에 맞춰 최저시급제의 기준도 4580원, 4860원 등으로 계속해서 인상됐다. ...

  • 학습 길잡이 기타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 - 실생활의 ‘원뿔곡선’ 원뿔을 밑면과 평행하게 자르면 원, 원뿔의 모선보다 작은 기울기로 비스듬하게 자르면 타원, 원뿔의 모선과 평행하게 자르면 포물선, 그리고 이중원뿔에서 밑면과 수직으로 자르면 그 단면은 쌍곡선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아이스크림 콘과 같은 원뿔을 여러 각도로 자를 때 생기는 이러한 도형을 conic section, 우리말로 원뿔곡선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원뿔곡선...

  • 경제 기타

    (12) 조선왕조의 건국…단절과 연속

    국가는 사회 구성원들의 경제적 선택을 제약하는 ‘제도’를 만들고 유지하며 바꿀 수 있는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다. 경제학에서 말하는 ‘제도’(institution)란 사회구성원이 지켜야 할 ‘경기규칙’(rule of the game)으로서 공식적 제도와 비공식적 제도가 있다. 공식적 제도는 헌법을 비롯한 법률과 같이 명시적으로 제정된 규칙이며, 비공식적 제도는 도덕이나 관습과 같은...

  • 경제 기타

    (15) 탄력성과 비탄력성

    “탄력이 좋은데.” 바닥이나 벽에 공을 던졌을 때 잘 튀어 오르면 우리가 하는 말입니다. 공마다 탄력성은 제각각입니다. 테니스공이 골프공이나 탁구공에 비해 탄력성이 좋습니다. 또 우리는 어린이의 피부를 보고 탄력이 좋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경제학에서도 탄력성이란 말을 씁니다. 경제학에서의 탄력성이란 무엇일까요? 그리고 어떤 경우에 탄력적이라고 말하고 있을까요? 가격변화에 ‘수요량 반응’ 학교 앞 분...

  • 테샛 공부합시다

    국내 최고 경제·경영 동아리 가린다

    테샛(TESAT) 동아리대항전은 국내 최고 권위를 가진 경제·경영 동아리 경시대회다. 시험마다 수많은 동아리가 출사표를 던진다. 대학은 물론 고등학교 동아리도 대거 참가한다. 동아리 활동을 통해 갈고닦은 실력을 점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취업 면접이나 대학 입시에도 큰 도움을 얻을 수 있어서다. 지난 2월 치러진 22회 테샛에서 대학 부문 최우수상을 받은 연세대 경제동아리 ‘복어’ 회원인 정수진 씨는 &ldqu...

  • 학습 길잡이 기타

    학생부 종합전형 : 면접 채점요소·특징

    현민의 스토리면접 (13) Ⅰ. 들어가며 면접이란 무엇일까? 우리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이 글을 읽고 있다. 이번 호의 답변으로는 “면접이란 자신의 스토리를 열정과 논리로 설득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왜 그럴까. 이에 대한 이유로 고려대가 밝힌 내용이 도움이 될 것이다. ‘입학사정관제가 기대하는 바람직한 고교생활이란’ 질문에 대하여 고려대는 “창의와 인성을 소홀히 다...

  • 학습 길잡이 기타

    <27> 논술 유형 탐구 (5) 복합문제유형 ②

    지난 시간에 말씀드린 복합문제유형의 기본 형태에 따른 문제를 하나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문제를 보시지요. 복합문제유형의 경우, 문제조건을 보는 것만으로 제시문의 관계를 파악하는 능력이 매우 중요합니다. 문제. 제시문 (마)와 (바)는 기술 발전에 따라 나타나는 새로운 경제 현상에 대한 설명이다. (마)와 (바)를 비교하여 논하고, (마) 또는 (바)를 활용하여 제시문 (사)를 분석하시오. (700±100자)(2013학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