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커버스토리
"달콤한 복지공약은 싫다"…고통분담 선택한 영국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르네 데카르트(1596~1650)는 서양 철학의 지평을 열어준 프랑스 철학자다. ‘근대 유럽 철학은 데카르트의 각주에 불과하다’(레셰크 코와코프스키)는 철학사에 미친 그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함축적으로 설명한다. 그는 인간이 다른 동물과 구별되는 핵심 근거를 ‘사고(思考)’에서 찾는다. 모든 것을 의심해 참된 진리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은 ...
-
경제 기타
생글논술대회 신청마감 '임박'
대입 논술을 실전으로 경험할 수 있는 ‘제19회 생글생글 논술경시대회’가 오는 30일 열린다. 생글논술대회는 한국경제신문이 발행하는 중·고교생 경제논술 신문 ‘생글생글’이 주최하는 국내 최대의 글쓰기 경연장이다. 대부분의 대학에서 수능 등급컷(최저학력 충족 조건)이 사라지거나 크게 완화되면서 논술전형이 올 들어 새삼 주목받고 있다. 생글논술대회는 하반기 논술전형을 앞두고 자신의 실력을 전...
-
경제 기타
학창시절의 꿈…생글기자 뽑습니다
30만 생글생글 독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드디어 '생글기자 선발시즌 11'이 돌아왔습니다. 그동안 전국에서 많은 학생과 학부모, 선생님들의 문의가 있었습니다. “생글기자 언제 선발하나요.” 생글생글은 독자 여러분의 관심에 맞춰 예년보다 앞당겨 '제11기 고교 ·4기 중학 생글기자 겸 테샛 펠로우' 100명을 선발합니다. 고교생 70명, 중학생 30명입니다. 이번 기자 선발은 생글 발행 10주년(6월7일)에 즈음해 이뤄지는 것이어서 그 어느 ...
-
경제 기타
한경·인송 장학생 36명 선발…축하합니다
제10기 한경·인송 장학생 36명이 선정됐다. 한경·인송 장학생 선발위원회는 두 차례 회의와 엄격한 심사를 거쳐 장학금 수혜자를 최종 확정했다. 장학생에게는 장학증서와 함께 1인당 100만원(상반기·하반기 각 50만원)이 전달될 예정이다. 장학금은 학생들이 고지한 은행계좌로 곧 지급된다. 한경·인송 장학제도는 대한전선을 세운 고(故) 설경동 창업주의 유지에 따라 설립됐다. 고인은 어려운 여건 ...
-
경제 기타
월가, 금융위기 이후 인기하락…금융인재들 실리콘밸리로 대이동
기술은 그 자체만으로는 가치를 갖지 못한다. 기술이 이윤을 창출할 수 있을 때 비로소 가치 있는 기술이 된다. 기술이 돈을 만들고 돈이 다시 투자되어 새로운 기술을 만드는 선순환 구조가 전 세계서 가장 효율적으로 실현된 곳이 미국의 실리콘밸리다. ‘최첨단 기술의 산파’이자 ‘혁신의 성지’라 불리는 이유다. 21세기 급격한 변화 속에서도 글로벌 트렌드를 선도하는 실리콘밸리가 월가 금융 인재들을 무섭게 빨...
-
붙임/실리콘밸리는 '마초밸리'?
실리콘밸리가 ‘마초밸리’라는 오명에 처할 위기에 빠졌다. 구글, 애플, 페이스북 등 첨단 정보기술(IT) 산업의 중심지인 실리콘밸리가 성차별 소송에 술렁이고 있다. 2012년까지 실리콘밸리의 대표적 사모펀드인 클라이너 퍼킨스 코필드 앤드 바이어스(KPCB)의 중역으로 7년 동안 일했던 엘렌 파오(45)가 성차별 소송을 제기했다. 파오는 성차별로 인한 진급 누락을 주장하며 옛 직장을 상대로 1600만달러(약 178억원)의 성...
-
커버스토리
日 민주 '무상공약 부메랑' 정권 잃고 지지율 7% 소수당 추락
일본 제1야당 민주당이 끝없이 추락하고 있다. 2012년 12월 중의원 선거 참패로 자민당에 정권을 내준 뒤 참의원과 중의원, 지방자치단체 등 세 차례 선거에서 줄줄이 패했다. 지난달 지방선거에서는 자민당에 24년 만에 광역지방의회 의석 과반을 내주고 여야 대결 구도로 이뤄진 홋카이도와 오이타현 지사 선거에서도 모두 고배를 마셨다. 지방 의석 수까지 쪼그라들면서 내년 참의원 선거에서 자민·공명 연립여당에 헌법 개정 선인 3분의 2 ...
-
커버스토리
일본 민주당 닮아가는 한국 정치권…여·야 없이 선거 때마다 '무상 경쟁'
한국 정치권도 무상복지 공약을 남발하며 복지 디폴트(지급 불능) 위기를 자초하고 있다. 무상급식, 무상보육 등 여야는 앞서거니 뒤서거니 ‘무상 공약 시리즈’를 쏟아냈다. 대부분 무상 공약은 선거 승리만을 위해 급조해 국가 재정에 대한 고민이 없다는 태생적 한계를 지니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무상복지 논란은 대부분 선거를 거치면서 확대 재생산됐다. 무상복지의 원조 격인 무상급식은 2010년 경기도에서 시작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