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伐齊爲名 (벌제위명)

    ▶한자풀이 伐: 칠 벌 齊: 엄숙할 제 爲: 할 위 名: 이름 명 하는 척하면서 속으로는 딴짓함 명분은 그럴듯해도 실속이 없음도 비유 - <사기(史記)> 전국시대 연나라의 장수 악의(樂毅)가 제나라를 공격했다. 지략이 뛰어난 제나라 장군 전단(田單)이 이간계를 썼다. “악의가 제나라를 정벌한 후에는 제나라의 왕이 되려고 한다.” 연왕(燕王)이 전단의 반간(反間, 이간질)에 넘어가 제나라 정벌을 ...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필립스곡선

    [문제] 아래 지문의 괄호 안에 들어갈 단어를 순서대로 고르면? 장기에서 필립스곡선의 모양은 ( ) 수준에서 수직이다. 그 이유는 인플레이션의 변화에 따라 ( )도 변화하기 때문이다. ① 자연실업률, 기대 실업률 ② 자연실업률, 기대 인플레이션율 ③ 목표 인플레이션, 기대 실업률 ④ 목표 인플레이션, 기대 인플레이션율 ⑤ 기대 실업률, 기대 인플레이션율 [해설] 필립스곡선은 인플레이션율과 실업률 사이에 존재하는 역의 상관관계를 ...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에 따르면'은 어떻게 상투어가 됐나

    “야권발 가짜 뉴스에 따르면 이날 본회의장에 들어가 투표를 한 ○○○ 의원이 의총장을 뚫고 나오느라 옷이 찢어졌다고 했다.” “사측에 따르면, 동아쏘시오홀딩스는 올해 중랑천 일대 메타세쿼이아길 조성 나무 심기 행사에 참여해 동대문구의 탄소중립 실천과 녹색성장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군더더기로 쓰일 때 많아 조심해야 문장 첫머리에 나오는 ‘~에 따르면’은 자칫 군더더기로 ...

  • 대입전략

    서·연·고 최저 합격선 인문 386점, 자연 384점…의대는 수도권 408점, 지방은 402점

    2025학년도 수능 결과 국어, 수학은 지난해보다 쉽게 출제되어 표준점수 기준으로 합격선이 지난해보다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 국어는 지난해 표준점수 최고점 기준으로 11점 하락, 수학은 8점 하락했다. 반면 탐구 영역은 대체로 어렵게 출제되어 표준점수 기준으로 합격선 상승이 예상된다. 사탐 9과목 중 경제, 사회문화, 정치와 법을 제외한 6과목이 상승했으며, 이 중 생활과 윤리는 지난해 65점에서 77점으로 12점이나 올랐다. 지난해 9과목 ...

  • 대기업 인사로 엿본 경제 상황

    제875호 생글생글에서는 주요 기업 연말 인사의 특징을 살펴봤다. 삼성전자를 비롯한 주요 대기업의 연말 정기 인사는 국내외 경제 상황을 알려주는 온도계 역할을 한다. 임원 승진이 얼마나 이뤄졌는지, 성과급이 얼마나 지급됐는지 등을 통해 경제 여건을 짐작해볼 수 있다. 기업의 미래 전략도 인사에 반영된다. 대입 전략에서는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의 2024학년도 정시 추가 합격 인원을 분석했다. 2025학년도에는 의대 정원 확대 영향으로 상위권 ...

  • 나라 살림은 어떻게 정해질까

    주니어 생글생글 제140호는 국가 재정을 커버스토리 주제로 다뤘다. 정부는 국방, 치안, 교육, 복지 등 여러 분야에 돈을 쓴다. 정부의 재정 지출은 급격한 경기 침체를 막는 역할을 하지만 지나치면 국가 경제에 오히려 부담을 주기도 한다. 정부의 1년 예산은 얼마나 되는지, 어느 분야에 많은 돈을 쓰는지, 재정 지출에 필요한 돈은 어떻게 마련하는지 등을 설명했다. 꿈을 이룬 사람들에선 강철 보온 물병을 개발한 윌리엄 스탠리 주니어 스탠리 창업자...

  • 커버스토리

    기업 연말인사 '태풍'…'혁신 불꽃' 다시 지핀다

    주요 기업의 연말 인사를 보면 한 해 나라 경제가 어땠는지 알 수 있습니다. ‘역대 최대폭 승진 인사’와 같은 말이 나오면 기업 실적이 크게 개선됐고 경기도 좋았다는 뜻이죠. 반대로 승진 폭이 줄고 두둑한 연말 상여금이 없다면 한 해 경영환경이 그만큼 어려웠다는 얘기입니다. 기업의 연말 인사는 경제 상황을 보여주는 거울 같습니다. 올해는 ‘선제적 위기 대응’ ‘승진 최소화’ &l...

  • 경제 기타

    '양적 성장' 넘어 '질적 발전' 이뤄야 잘사는 나라

    지금까지 몇 주에 걸쳐 경제성장의 의미와 방법에 대해 살펴봤다. 경제학에서 말하는 경제성장은 생산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양적인 의미로만 쓰는 개념이다. 생산량의 측정은 실질 GDP로 하기에 경제성장은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증가하는 것을 말한다. 좀 더 정확히는 1인당 실질 GDP의 증가를 경제성장이라고 할 수 있다. 잘 사는 나라가 되기 위해 경제가 성장해 실질 GDP가 커지는 것이 중요하겠지만 이것만으로는 살기 좋은 나라라 평가하는 데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