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 학습·진로 기타
-
학습 길잡이 기타
<35> 입에는 꿀이,배에는 칼이
口 蜜 腹 劍 입 구 꿀 밀 배 복 칼 검 입에는 꿀이 있으나 뱃속에는 칼이 있음. 겉으로는 친절하지만 속으로는 해칠 마음을 품고 있음. 당(唐)나라 현종(玄宗) 때 매우 교활한 이임보(李林甫)라는 재상이 있었는데,자신보다 뛰어난 사람이 나타나면 온갖 술수를 동원해 제거해 버렸다. 당시 사람들은 "이임보의 입에는 꿀이,배에는 칼이 있다."고 말했다. 겉으로는 꿀같이 달콤한 감언이설(甘言利說: 비위를 맞추는 달콤한 말과 이로...
-
진학 길잡이 기타
② 목표대학에 갈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수능에 임하자
새 문제집 풀기보다 평가원 기출문제·오답노트 중심으로 정리 '수능' 결전의 날이 다가왔다. 수능을 치르는 고3 및 수험생들은 수능 당일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해야 함은 물론 남은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수능 시험은 모든 수험생에게 1년에 단 한 번의 기회가 주어지는 매우 중요한 시험이다. 단 한 번의 실수로 재수를 선택하게 되는 불상사가 없도록 만전을 기해야 한다. 보통 수능은 '운'이 따라야 고득점을 받을 수 있다는 속설이 ...
-
학습 길잡이 기타
41. 프랜시스 후쿠야마「트러스트」
“사회 구성원간의 신뢰가 경제 발전을 이끈다” 번영하는 국가는 왜 창창히 뻗어나가고,못 사는 국가들은 도대체 왜 제대로 살지 못하는가? 비록 같은 지구에 발을 디디고 있다 하더라도 어느 국가에 속해 살아가느냐에 따라 세상살이 모양새가 현격하게 다른 만큼 이 질문은 누구나 한번쯤 품어보는 의문이다. 가족의 식수를 마련하려고 하루에도 수십㎞를 걸어 흙탕물을 퍼오는 사람들도 있지만,손가락만 까딱하면 깨끗한 수자원을 문자 그대로 '물 쓰듯이' 펑...
-
학습 길잡이 기타
제8회 생글 논술경시대회 문제
범죄자들을 어떻게 처벌해야 할까? 가 "인간의 행위는 자유로울 수 있는가?"라는 물음을 사람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이유 중의 하나는 행위가 자유로워야 인간에게 그의 행위에 대한 책임을 귀속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많은 학자들은 '행위의 자유로움'이라는 개념의 의미 자체를 '책임을 귀속시킬 수 있는 조건이 충족됨'으로 규정한다. 그러므로 책임귀속에 있어서 '자유'라는 조건이란 행위가 그르다는 것을 근거로 행위자도 그르다(도...
-
학습 길잡이 기타
제8회 생글 논술경시대회 해제
“헛다리 짚지 말고 써달라는 내용을 써야” ⊙ 주제 설명과 출제의도 범죄에 대해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는 철학의 오래된 논쟁 주제이자 항존하는 정책적 고민거리이다. 범죄의 원인을 진단하고 범죄인을 평가하는 데에는 다양한 접근방식이 존재한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범죄 책임'의 문제를 둘러싸고는 무수한 격론이 오갔다. 사회적으로 지탄을 받는 범죄가 발생하였을 때 그 책임 소재를 어떻게 파악해야 옳은가,범죄인에게 어느 정도의 책임을 어...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희연의 자연계 논술 노트 <36>
암호문의 해독 〔2009학년도 한양대학교 자연계 수시 2-2 논술문제 〕 S·논술 자연계 논술 팀장 ximpson@hanmail.net
-
학습 길잡이 기타
'코오롱'에 담긴 우리말 변천사
"나는 지금 일본에서 생산된 나이롱실을 한국으로 수입해 직조업자에게 공급하고 있지만 곧 나이롱실을 한국에서 만들겠습니다. 우리가 죽어라고 일해서 남의 나라 장사만 시켜주어서 되겠습니까?" 지금의 코오롱그룹을 세운 고 이원만 명예회장(1904~1994)은 한국에 나일론사(絲)를 들여와 화섬산업을 일으킨 주인공이다. 그가 처음 나일론을 접한 것은 1952년 말,일본에서 삼경물산을 세워 사업하던 시절이다. 그는 한눈에 나일론이 요샛말로 '대박'...
-
학습 길잡이 기타
117. 윗옷-웃옷-웃통
'윗옷'은 상의, '웃옷'은 겉옷 "윗니, 아랫니가 있듯이 건물에도 위아래 층이 있잖아. 그러니까 윗층, 아랫층이라 하면 되는 거지?" '윗'은 '윗물/윗마을/윗목/윗도리'처럼 위아래 대립이 있는 말 앞에 붙어 상대적으로 더 위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이다. 이에 비해 '웃통/웃어른/웃돈'같이 위아래 대립이 없는 말에는 일관되게 '웃'을 붙인다. 하지만 '윗층/아랫층'에서는 염두에 둬야 할 게 하나 더 있다. '윗~/아랫~'으로 쓰는 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