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숫자로 읽는 세상

    '글로벌 500대 기업' 중국·일본 늘고 한국은 줄어

    주요 국가 중 한국만 글로벌 500대 기업 수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한국경제연구원은 미국 경제지 포천이 선정한 2020년 글로벌 500대 기업 순위를 분석한 결과 한국과 미국, 일본, 중국 가운데 한국 기업 수만 전년 대비 줄었다고 지난 1일 발표했다. 중국과 일본은 전년 대비 500대 기업 수가 각각 5개, 1개 늘었다. 미국은 전년과 같았다. 한국은 이 기간 16개에서 14개로 줄었다. SK하이닉스와 LG화학이 500대 기업에서 탈락한 결과다. 500대 기업 순위는 전년 매출로 결정된다.국가별 500대 기업의 매출 합계도 한국은 전년 대비 줄었다. 2019년 9094억달러에서 2020년 8004억달러로 12.0% 감소했다. 미국과 중국이 각각 전년보다 4.3%, 4.8% 증가한 것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글로벌 500대 기업의 전체 매출에서 한국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9년 2.8%에서 지난해 2.4%로 0.4%포인트 줄었다. 미국과 중국은 0.7%포인트씩 늘었다.개별 기업들의 순위도 하락한 경우가 많았다. 삼성전자는 15위에서 19위로 네 계단 떨어졌다. 2016년 경쟁사인 미국 애플에 순위 역전을 허용한 뒤 격차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다. SK㈜(73위→97위), 포스코(171위→194위), LG전자(185위→207위) 등 10곳이 전년 대비 순위가 내려갔다. GS칼텍스와 삼성생명은 순위가 각각 71계단, 41계단 떨어졌다. 순위가 올라간 기업은 현대차(94위→84위), 현대모비스(393위→385위) 등 4개 기업에 그쳤다.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국내 대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중대재해처벌법 등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하지 않는 규제를 풀어 한국 기업들이 글로벌

  • 숫자로 읽는 세상

    시멘트가 부족하다는 신호, 가격으로 나타나지요

    생글 독자들이 시멘트 동향에 관심을 둘 이유는 없습니다만, 이 기사에는 재미난 경제 작동원리가 들어 있습니다. 레미콘 차량이 전국 시멘트 공장 앞에 줄을 서고 있다는 묘사는 경제적 흥미를 자아냅니다. 레미콘 차량들은 시멘트를 달라고 합니다. 시멘트를 보내달라는 전화도 빈번하게 울린다고 합니다.시멘트 파동은 갑작스러운 수급 불균형 때문에 빚어진 듯합니다. 수급 불균형이란 수요와 공급이 어떤 이유로 어긋나 있다는 경제 신호입니다. 이 신호는 가격으로 가장 먼저 나타납니다. 시멘트 수요는 갑작스럽게 폭발했는데 공급이 못 따라가면 가격이 치솟습니다. 가격 인상은 금방 전국으로 퍼집니다. 가격만큼 정확한 신호도 없답니다. 가격은 시멘트 공장으로 하여금 더 많이 생산하라고 경쟁을 부추깁니다.이 기사에 따르면 시멘트 수요가 급증한 원인이 두 가지랍니다. 하나는 지난 겨울 비교적 따뜻한 기온이 유지되면서 공사가 다른 때보다 많아졌다는 것이죠. 원래 1~2월은 공사 비수기인데 올 1~2월은 달랐다는 겁니다. 둘째는 이런 와중에 시멘트 생산업체들이 생산설비를 보수하면서 생산량이 더 줄었다는 겁니다. 엎친 데 덮친 격이라고 할까요? 수요는 늘었는데 공급은 줄었으니 “시멘트 좀 달라”는 아우성이 울려퍼지는 것은 당연하겠습니다.불균형은 시장이 해결할 겁니다. 시장은 정부의 개입 없이도 어긋난 불균형을 바로잡을 겁니다. 가격이 이미 신호를 보냈으니, 시멘트 생산업체들은 높은 가격에 자극받아서 서둘러 생산량을 늘릴 겁니다. 밤샘 작업도 마다하지 않겠지요. 칭찬은 코끼리를 춤추게 한다지만 높은 가격은 기업을 춤추게 합니다. 생산을 늘리면 곧 가격은

  • 숫자로 읽는 세상

    배달의민족 10년…매출 '1조 클럽' 진입

    배달의민족 운영사 우아한형제들이 지난해 매출 1조원을 돌파했다. 자영업자가 배민을 통해 올린 거래액은 15조원을 넘어섰다. 창업자 김봉진 우아한형제들 의장이 2010년 국내 음식 배달앱 시장을 개척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우아한형제들은 지난달 30일 실적 공시를 통해 지난해 매출이 1조995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전년보다 94.4% 늘었다. 영업이익은 112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마케팅 경쟁과 프로모션 지출이 늘면서 2년 연속 적자를 냈지만 2019년에 비해 적자폭은 69.2% 줄었다.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은 배민의 고속 성장에 날개를 달았다. 배민은 2010년 김봉진 의장이 자본금 3000만원으로 창업했다. 20대가 핵심 이용자였던 배민은 코로나19로 배달음식 수요가 폭증하면서 사용자 연령대가 대폭 확장됐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배달음식 시장 규모는 23조원으로 추산된다. 2년 전인 2017년(15조원)과 비교하면 53% 이상 증가한 규모다.올해 배달음식 시장은 쿠팡과 배민·요기요의 정면승부가 될 전망이다. 현재 국내 음식 배달 플랫폼의 시장 점유율은 배민 63.2%, 요기요 29%, 쿠팡이츠 6.3%다. 3위지만 쿠팡의 추격세가 매섭다.올해부터 동남아 시장 개척에 나서는 우아한형제들은 독일 딜리버리히어로(DH)와의 합병 선결 요건인 ‘요기요 매각’이라는 과제를 남겨두고 있다.김보라 한국경제신문 기자 destinybr@hankyung.com

  • 숫자로 읽는 세상

    시멘트 재고 달랑 사흘치…중소 공사현장 멈추나

    최근 강원 동해·삼척·영월·강릉과 충북 단양·제천 등 전국 시멘트 공장엔 시멘트 운송차량인 벌크시멘트트레일러(BCT)들이 시멘트를 먼저 받기 위해 10~20대씩 길게 줄을 서서 기다리는 진풍경이 연출되고 있다. 시멘트업체 물류 및 영업 담당자는 “시멘트 좀 달라”는 레미콘업체들의 요구로 전화통에 불이 날 정도라고 한다. 시멘트업계가 때아닌 공급난에 빠졌다. 코로나19 사태로 지연됐던 건설 공사가 올 들어 본격화되면서 시멘트 재고가 바닥나 골조 공사 등이 중단될 위기에 빠진 것이다.시멘트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4일 기준 전체 시멘트 보유량(재고)은 약 51만t이었으나 29일 30만t으로 급감했다. 작년 3월 말 재고(120만t)에 비해 4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진 수치다. 하루 생산량(15만t)보다 출하량(20만t)이 더 많아 재고가 빠르게 소진되고 있어서다. 시멘트업계는 이번주 재고가 바닥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시멘트업체는 보통 저장능력(210만t) 대비 최소 60% 이상을 재고물량으로 확보해 놓지만 현재 일부 대형 업체는 10%도 남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시멘트 가격이 오를 조짐도 보이고 있다. 시멘트업체들은 작년 12월 t당 시멘트 가격을 7만5000원에서 최대 8만2000원까지 9%가량 올릴 것을 통보했지만 레미콘업체들이 거절한 상태다.레미콘업체 사장은 “이렇게 시멘트가 부족한 상태가 지속되면 시멘트사들이 ‘현금 결제’ 조건을 내걸거나 가격을 높여 주는 곳에 먼저 물량을 공급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시멘트 품귀 현상은 지구온난화로 겨울 날씨가 예년보다 따뜻해진 영향으로 지난 1~2월 비수기에도 건설 현장이 정상 가동되면서 예상보다 수요가 커진

  • 숫자로 읽는 세상

    쿠팡이 왜 한국이 아니라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했을까요?

    몇 개 용어를 먼저 알아볼까요? 뉴욕증권거래소는 미국을 대표하는 증권거래소입니다. 1817년 뉴욕 증권거래위원회로 등장했고 1963년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됐습니다. 한국거래소와 같다고 보면 됩니다. 거래소는 주식과 채권을 사고파는 곳입니다. 기업들은 주식을 처음 공개할 때 거래소를 이용합니다. 거래소에 기업을 공개해 자본을 유치하는 것을 상장이라고 합니다.공모가는 ‘처음 공개하는 기업의 주당 가격을 얼마로 시작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공모가는 아무렇게나 정해지는 것이 아닙니다. 기업 가치, 실적, 미래 가치 등을 감안해 결정됩니다. 쿠팡은 기업 자본을 확보하기 위해 1억3000만 주를 새로 발행했는데, 주당 35달러로 평가받은 겁니다. 쿠팡이 제시한 32~34달러보다 높게 평가된 겁니다. 좋은 기업이라는 뜻이죠.이날 쿠팡은 630억달러(약 72조원)의 가치를 지닌 기업이 됐습니다. 주당 35달러를 총 주식 수(기존 주식+신규 발행 주식)로 곱한 금액입니다. 이것을 시가총액이라고 합니다. 시가총액 순위에서 쿠팡이 삼성전자, SK하이닉스에 이어 3위로 껑충 뛰어올랐다는 것은 ‘대박 뉴스’입니다. 이날 신규 발행한 주식을 통해 5조1706억원의 자금을 조달했습니다. 기업은 주식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합니다. 투자자는 왜 주식을 살까요? 기업이 성장하고 주가가 오르면 주식투자로 돈을 벌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쿠팡은 왜 한국거래소가 아니라 뉴욕증권거래소로 갔을까요? 이것에 대해 의견이 분분합니다. 첫째 이유로는 상장 규제가 꼽힙니다. 미국 뉴욕시장은 적자 기업이어도 상장을 받아줍니다. 테슬라가 대표적인 곳이죠. 테슬라는 한국거래소에 상장할 수 없습니다

  • 숫자로 읽는 세상

    韓 나랏빚 증가 속도 OECD 4위…'재정위기' 남유럽보다 빨라

    2000년 이후 한국의 나랏빚이 불어나는 속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네 번째로 빠르다는 분석이 나왔다. 유럽의 재정 취약국인 포르투갈이나 스페인 같은 남유럽 국가보다 두 배 이상 증가 속도가 빨랐다. 그런데도 당정은 올초부터 15조원 규모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는 등 ‘나랏돈 풀기’에 속도를 내고 있어 국가신용등급 강등 사태가 현실이 될지 모른다는 우려가 나온다.기획재정부의 ‘국가부채 규모 증가 국제비교’ 자료에 따르면 2000년 111조2000억원이었던 한국의 국가채무는 2019년 723조2000억원으로 6.5배 커졌다.같은 기간 통계가 집계된 OECD 30개 회원국 가운데 네 번째로 높은 증가폭이다. 한국 앞에는 라트비아(13.6배), 에스토니아(8.8배), 룩셈부르크(8.1배)밖에 없다.한국의 나랏빚 증가 속도는 미국(3.9배), 영국(4.3배), 일본(1.9배) 등 주요국은 물론 2010년대 초반 재정 위기를 겪은 ‘PIIGS(포르투갈 아일랜드 이탈리아 그리스 스페인)’보다 현저히 빨랐다. 아일랜드는 5.4배, 포르투갈 3.1배, 스페인 3.1배, 이탈리아 1.8배 등이었다.더불어민주당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일반정부부채 비율로 따지면 한국이 OECD 평균보다 양호하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한국과 비슷한 ‘비기축통화국’끼리 비교하면 부채 비율도 안심할 수준이 아니라는 지적이다. 한국의 2019년 GDP 대비 일반정부부채 비율은 42.2%로, OECD 비기축통화국 14곳 평균(41.8%)보다 높다.서민준 한국경제신문 기자 morandol@hankyung.com

  • 숫자로 읽는 세상

    쿠팡 美 공모가 35달러…몸값 72조원 '국내 3위'

    쿠팡이 지난 11일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공모가 35달러로 입성했다. 애초 쿠팡이 제시한 희망가격(32~34달러)보다 높은 금액이다. 공모가 기준으로 630억달러(약 72조원)의 기업 가치를 인정받았다. 기업 가치가 쿠팡을 앞선 한국 기업은 삼성전자(약 489조원, 시가총액 기준) SK하이닉스(약 99조원)뿐이다.쿠팡은 미국 현지에서 공모가를 공개하며 계획(1억2000만 주)보다 1000만 주 많은 1억3000만 주(클래스A 보통주)의 신주를 발행한다고 발표했다. 쿠팡은 이번 상장을 통해 45억5000만달러(약 5조1706억원)의 신규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됐다.쿠팡은 이날 NYSE에서 종목코드 ‘CPNG’로 거래를 시작했다. 창업자인 김범석 이사회 의장 등 쿠팡 경영진은 상장 첫날 장 마감 후 현지에서 투자 계획 등을 밝힐 예정이다. 쿠팡은 상장 신청 서류에서 “8억7000만달러(약 9874억원)를 투자해 수년 내 7개 지역에 풀필먼트센터를 세우겠다”고 밝힌 바 있다.미 투자업계는 쿠팡이 아마존을 벤치마킹했지만 아마존식 물류의 한계를 극복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쿠팡은 230만㎡ 규모의 물류시설을 운영하며 세계에서 유일한 전국 하루 배송망을 구현했다. 물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자체 개발한 곳은 글로벌 기업 중에선 쿠팡 외에 아마존, 오카도(영국)뿐이다. 차상균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장은 “쿠팡은 단순 유통회사가 아니라 글로벌 빅데이터 기업”이라고 말했다.박동휘 한국경제신문 기자 donghuip@hankyung.com

  • 숫자로 읽는 세상

    1인당 국민소득 3만1755弗…대만에 추월당할 위기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1.1% 감소하며 3만1000달러대로 내려앉았다. 2019년(-4.3%)에 이은 2년 연속 감소다.한국은행이 지난 4일 발표한 ‘2020년 국민소득(잠정)’을 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3만1755달러(3747만원)로 집계됐다. 2019년(3만2115달러)보다 1.1% 줄었다. 1인당 GNI는 한 해 동안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것으로, 국민 생활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대표 지표다. 이 지표가 악화한 것은 작년 실질 경제성장률이 1.0% 하락한 영향이 컸다. 성장률 하락은 외환위기 때인 1998년(-1.5%) 이후 22년 만이다. 작년 원화 가치가 1.2% 떨어진 영향도 있었다. 원화 가치가 떨어지면 달러로 환산한 국민소득이 줄어든다.한국의 국민소득은 2017년(3만1734달러)에 3만달러 시대를 연 뒤 2018년 3만3564달러까지 올랐다. 하지만 2019년 4.3% 하락한 데 이어 작년에도 줄어 2년 연속 뒷걸음쳤다. 1인당 GNI가 2년 연속 감소한 건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2009년 이후 처음이다.최근 2년 연속 부진으로 한국의 1인당 GNI는 대만에 추월당할 위기에 처했다. 대만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대만의 1인당 GNI는 전년보다 9.9% 급증한 2만9230달러였다. 한국보다 2545달러 작다. 2018년만 해도 양국 간 차이가 7142달러에 이르렀던 것을 감안하면 턱 밑까지 쫓아온 셈이다.반면 한국이 이탈리아를 제칠 것이란 예상은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월 11일 신년사에서 “작년 1인당 국민소득이 사상 처음으로 주요 7개국(G7)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된다”고 말했다. G7 중 하나인 이탈리아는 2019년 1인당 GNI가 한국과 약 700달러밖에 차이 나지 않았는데, 작년엔 한국이 역전했을 것이란 얘기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