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나무보다 아름다운 시를
내 다시 보지 못하리.
허기진 입을 대지의 달콤한 젖가슴
깊숙이 묻고 있는 나무
온종일 앞에 덮인 두 팔을 들어 올린 채
하늘을 바라보며 서 있는 나무
그 가슴에 눈이 내리면 쉬었다 가게 하고
비가 오면 다정히 말을 건네주는 나무
시는 나 같은 바보들이 만들지만
나무는 하나님만이 만들 수 있다네
* 조이스 킬머(1886~1918): 미국 시인
나뭇가지는 하늘을 향한 고성능 안테나다. 두 팔을 힘껏 벌리고 섬세한 촉수로 지혜의 빛을 잡아낸다. 광합성 과정에서 새로운 영감을 포착하면 푸른 잎사귀를 차르르 흔든다. 그럴 때 나무의 두 발은 더 깊은 땅속으로 뿌리를 뻗는다.
대지에 발을 딛고 서 우주로 팔을 벌린 형상이 곧 나무[木]다. 그 밑동에 ‘한 일(一)’ 자를 받치면 세상의 근본[本]이 된다. 나무는 이렇게 평면과 입체의 경계를 넘나들며 지상과 천상을 연결한다.
나무는 뛰어난 인재(人材)를 의미한다. 목조건축이나 기구를 만드는 데 쓰는 나무를 재목(材木)이라고 한다. 이 또한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거나 어떤 직위에 합당한 인물’을 가리킨다. 예부터 될성부른 떡잎과 들보로 쓸 만한 동량(棟梁)을 나무에 비유했다. 떡잎부터 나이테까지 결정짓는 ‘부름켜 경영’나무가 가장 바쁜 시기는 봄부터 초여름까지다. 날마다 새순을 밀어 올리느라 쉴 틈이 없다. 줄기를 살찌우며 몸집을 키우는 것도 이때다. 새로운 세포로 줄기나 뿌리를 굵게 만드는 식물의 부위를 ‘부름켜’라고 한다. 불어나다의 어간인 ‘붇’과 명사형 ‘음’, 층을 뜻하는 ‘켜’가 합쳐진 순우리말이다. 형성층(形成層, cambium)이라고도 한다.
부름켜는 나무줄기의 물관과 체관 사이에 있다. 물관은 뿌리에서 흡수한 물과 양분을 보내는 길이고, 체관은 잎에서 만든 영양분을 줄기와 뿌리로 보내는 길이다. 두 갈림길 사이에 있는 부름켜는 나무의 성장과 생육 속도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부름켜는 나무 안쪽에 목재를 만들고 바깥쪽에는 껍질을 만든다. 봄과 여름에는 세포분열이 활발한 까닭에 크고 연한 세포를 많이 생성한다. 식물호르몬도 그만큼 왕성하게 분비한다. 가을에는 호르몬 분비가 줄어 세포가 작고 단단해진다. 이 두 세포층이 줄기 안에서 겹겹이 교차하며 매년 만들어내는 경계가 바로 나이테(연륜)다.
자세히 살펴보면 잎이 지는 데에도 차례가 있다. 성장호르몬 분비가 끝나는 순서에 따라 가장 먼저 돋아난 잎이 가장 늦게 떨어지고, 가장 늦게 돋은 잎이 제일 먼저 떨어진다. 신기한 일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오 헨리 소설 <마지막 잎새>는 지난봄 맨 먼저 나온 잎일 가능성이 크다. 시성(詩聖) 괴테의 뿌리도 ‘식물의 인문·과학’독일 문호 괴테는 소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으로도 유명하지만, 1만2000행으로 이뤄진 장시 ‘파우스트’ 등 많은 명시를 남긴 시성(詩聖)이다. 그의 시적 감수성은 어릴 때 관심을 가진 식물학에서 싹텄다. 나무와 숲을 유난히 좋아한 그는 온갖 뿌리와 줄기, 잎, 꽃이 변하는 모양을 관찰하고 스케치했다. 요즘 컴퓨터로 확대해야 보이는 미세한 잎맥까지 그려냈다.
<식물변형론>이라는 책에서는 식물 잎의 변화를 세분화하고 ‘꽃을 이루는 기관은 잎이 변해서 만들어졌다’는 점을 밝혔다. 이런 노력 덕분에 그의 이름을 딴 ‘괴테 식물(Goethe plant)’이 등장했다.
그는 이런 식물의 인문·과학 정신을 시로 융합해냈다. 그러면서 “다들 과학이 시에서 태어났다는 것을 잊어버리고, 시대가 바뀌면 두 분야가 더 높은 차원에서 친구로 만날 수 있다는 사실을 내다보지 못한다”고 말했다. 시와 과학을 접목한 그의 사상은 근세 서양철학과 음악, 미술의 자양분이 됐다. 헤겔과 쇼펜하우어 등 사상가와 모차르트·베토벤·슈베르트 등 음악가, 세잔·모네 같은 화가들도 그에게서 영감을 받았다.
괴테는 독일을 대표하는 대문호이면서 바이마르공화국의 재상으로 나라를 이끈 국가 경영자이기도 했다. 이 모든 게 식물의 생태 인문학에서 시작됐으니, 나무와 숲에서 얻은 영감과 지혜가 얼마나 소중한지 모른다. 테슬라, 나무 아래 시 암송하다 ‘전기 혁명’ 영감또 하나. 20세기의 천재 전기공학자 니콜라 테슬라도 나무 아래에서 엄청난 영감을 얻었다. 어느 날 그는 퇴근길에 공원 나무 아래를 거닐며 괴테의 시를 암송하다가 자기장과 교류발전에 관한 아이디어를 발견했다. ‘파우스트’의 “날개가 있어 밤을 따라갈 수만 있다면” 구절을 읊조리는데 ‘그래, 태양처럼 전류를 먼 곳까지 보낼 수 있는 교류발전기를 만들면 얼마나 좋을까’라는 생각이 떠올랐다.
이때의 나무야말로 ‘전기 혁명’의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제공한 영감의 안테나다. 그 테슬라의 이름이 전기자동차와 우주산업의 신기원을 열고 있는 일론 머스크의 회사 이름으로 이어지고 있으니 더욱 놀라운 일이다.
√ 음미해보세요 나무가 가장 바쁜 시기는 봄부터 초여름까지다. 날마다 새순을 밀어 올리느라 쉴 틈이 없다. 줄기를 살찌우며 몸집을 키우는 것도 이때다. 새로운 세포로 줄기나 뿌리를 굵게 만드는 식물의 부위를 ‘부름켜’라고 한다. 불어나다의 어간인 ‘붇’과 명사형 ‘음’, 층을 뜻하는 ‘켜’가 합쳐진 순우리말이다. 형성층(形成層, cambium)이라고도 한다. 부름켜는 나무줄기의 물관과 체관 사이에 있다. 물관은 뿌리에서 흡수한 물과 양분을 보내는 길이고, 체관은 잎에서 만든 영양분을 줄기와 뿌리로 보내는 길이다. 두 갈림길 사이에 있는 부름켜는 나무의 성장과 생육 속도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