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프로덕트 오너(PO) 서승환 씨
소비자 분석·서비스 전략 등 기획
사업목표 달성 위한 문제 해결 역할
스타트업 생존부터 매출까지 책임
지속가능한 성과 내기 위해서는
커뮤니케이션 능력·투지 등 필수
전략적 사고 할 수 있으면 금상첨화
요즘 같은 불황이 지속되는 상황 속에선 각각의 프로젝트를 이끄는 팀 리더의 역량이 스타트업의 성패를 가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스타트업의 성지 실리콘밸리에서 부각된 ‘프로덕트 오너(Product Owner)’(이하 PO)는 스타트업이 구성하는 각 프로젝트를 총괄하는 ‘미니 CEO’로 불린다. 알람 서비스로 글로벌 시장을 공략 중인 ‘알라미’의 구독 매출 그로스 프로덕트 오너를 맡고 있는 서승환 PO를 만났다. 수많은 그로스 실험(가설 검증)을 통해 월 구독 매출 4억 원에서 6억 원으로 끌어올린 그에게 프로덕트 오너의 세계를 들어봤다.소비자 분석·서비스 전략 등 기획
사업목표 달성 위한 문제 해결 역할
스타트업 생존부터 매출까지 책임
지속가능한 성과 내기 위해서는
커뮤니케이션 능력·투지 등 필수
전략적 사고 할 수 있으면 금상첨화
▷최근 스타트업에서 PO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어요. 그 이유는 뭐라고 생각하나요?
“최근 들어 유니콘기업이 많아지면서 매출을 담당하는 PO들의 역할이 중요해졌고, 프로젝트마다 PO의 중요성이 부각됐어요. 스타트업의 생존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더불어 얼마나 수익을 낼 수 있는지에 대한 키(key)를 PO가 쥐고 있는 셈이죠.”
▷PO가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하는지 소개해주세요.
“쉽게 말해 기업의 비즈니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문제를 찾아 해결하는 역할입니다. 그 안에서 비전과 전략을 수립하고 개발, 마케팅,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를 컨트롤하면서 팀을 이끄는 역할이에요.”
▷‘미니 CEO’로 불리는 이유가 있군요. 그에 걸맞은 권한도 부여되나요?
“그렇죠. 알라미의 경우 매출 발생 방식이 제품이 유저한테 어떤 가치를 전달하면서 수익을 내는 구조거든요. 그렇다 보니 PO의 권한이 클 수밖에 없어요.”
▷알라미에서는 어떤 파트를 맡고 있나요?
“구독 매출 그로스의 PO를 맡고 있습니다. 저희 팀의 역할은 구독 매출을 더 증대시키기 위해 다양한 제품 내 그로스 전략들을 시도하고,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제품에 적용하는 역할이에요. 구독 가격의 변화를 비롯해 월 구독과 연 구독 등 구독 상품 자체의 변화, 구매 화면(paywall) 내 정보값들의 변화, 구매 화면이 노출되는 시점의 변화 등 굵직한 전략들을 서비스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매출을 높이는 전략이 무수히 많을 텐데, 전략 기획은 어떻게 이뤄지나요?
“예를 들어 무료 체험 전환율이나 구독 결제로의 전환율, 구독 유지율 등과 같은 목표 지표를 높일 수 있는 가설 전략을 수립하고, 그중 우선순위대로 디자인하고 개발해 서비스에 반영하죠. 그 전략이 맞는지를 분석하고, 후속 가설을 수립하는 일련의 과정을 끊임없이 반복하는 과정을 거쳐요. 그 하나의 과정은 2주 단위 스프린트로 진행하고요.”
▷그런 전략은 경험이 많을수록 노하우가 생기나요?
“두 가지인 것 같아요. 하나는 결국 제품에 대한 이해, 이용자에 대한 이해는 경험치에서 직관이 생기는 듯해요. 두 번째는 여러 가설을 세우고 실제 서비스에 반영했을 때 경험이 많은 PO는 시행착오와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것 같아요. 예를 들어, 10개의 가설을 적용한다고 했을 때 경험이 많은 PO는 2주 안에 10개를 다할 수 있지만 미숙련된 PO는 더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어요.”
▷경험치 외에 PO가 갖춰야 할 자질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프로덕트 오너는 결과적으로 지속 가능한 성과를 내야 합니다. 그걸 해내기 위해서는 문제 정의, 개별화, 커뮤니케이션, 성공을 향한 투지(grit), 오너십이 필요합니다. 이 중 한 가지라도 결여된다면 PO의 역할을 해내기가 쉽지 않을 거예요. 하나 더 덧붙이자면, PO는 학습 능력이 좋아야 해요. 그리고 변화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도 필요합니다. 이를 통칭해 전략적 사고를 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더할 나위 없죠.”
▷요즘 MBTI가 인기인데, PO와 잘 맞는 영역이 있을까요?
“전 ESFJ인데, 저 스스로는 이 직무와 잘 맞는다고 생각해요. ESFJ의 특징이 다른 사람하고 대화하는 데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갈등이 생겼을 때 그걸 해소하는 걸 즐기는 부류예요. I와 E의 차이는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 에너지를 뺏기느냐 얻느냐의 차인데, 개인적으로 프로덕트 오너는 ‘E(Extrovert, 외향적, 외부, 다수의 폭넓은 관계, 말과 행동으로 표현)와 J(Judging, 판단형, 계획적, 조직화, 구조, 마감, 정돈 등)’가 필요하지 않을까 싶어요.
▷‘프로덕트 오너’의 비전은 어떻게 보시나요?
“앞으로의 기업 문화는 더 수평적으로 바뀌고, 애자일한 문화가 확산할 것으로 보여요. 그렇게 되면 분야별 프로젝트가 중요해지면서 PO의 역할과 권한은 더욱 커질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