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 맬서스의 저주 (下)
 연합뉴스
연합뉴스
평균 곡물가격은 1738년에서 1740년 사이 60%나 뛰었다. 한번 높아진 곡물가격은 1742년까지 떨어지지 않고 지속됐다. 몇몇 지역에선 곡물 가격이 두 배나 오르기도 했다.

구체적으로 네덜란드, 벨기에 등에선 1737~1738년보다 1740~1741년 곡물 가격이 77.0% 뛰었다. 덴마크에선 같은 기간 곡물가가 71.4% 올랐다. 핀란드는 67.1%, 스웨덴은 60.0%, 아일랜드는 56.7% 급등했다. 스코틀랜드(52.9%) 독일(47.6%) 노르웨이 (44.1%) 등도 식료품값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 남부 유럽은 상대적으로 타격이 적었지만 이탈리아(37.2%) 프랑스(35.7%) 오스트리아(33.7%) 잉글랜드(32.9%) 스위스(30.7%) 등도 부담이 급증하긴 마찬가지였다. 곡물가 오르며 저소득층 영양부족이처럼 곡물 가격이 비싸지면서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장기 영양부족 상태가 야기됐다. 당시 저소득층이 유럽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던 만큼 인구의 절대다수가 굶지 않을 수 없었다. 18세기 중반 유럽의 상대적으로 가난한 국가들에선 음식물과 음료 소비에 드는 비용이 가계 전체 수입의 60~75%를 차지할 정도였다고 한다.

이 같은 곡물가 상승의 여파로 1735~1739년에 비해 1740~1742년의 사망 증가율도 크게 높아졌다. 다만 곡물가 상승률과 사망자 증가율이 비례하지는 않았다. 노르웨이 사망자 수가 81% 늘어난 것을 비롯해 핀란드(51.8%)와 아일랜드(25.3%) 등의 사망률 증가율이 높았다. 프랑스도 사망자가 24.5%나 늘었고 잉글랜드는 23.4% 상승했다. 아일랜드, 노르웨이, 핀란드 등은 식량 부족 여파로 사망자 증가율이 당시 러시아와 한창 전쟁 중이던 스웨덴(22.7%)을 크게 웃돌기도 했다. 전쟁보다 굶주림이 훨씬 무서운 재앙이었던 셈이다.

당시 프로이센, 폴란드, 우크라이나 등 곡창지대에서 생산된 농작물은 발트해를 거쳐 암스테르담을 거점으로 북유럽 각국에 제공되는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안방에서 생산되는 작물량이 급감하면 대처하는 데 한계가 있기 마련이었다. 농업기술 발전이 인구감소 충격 완충곡물 공급이 원활했다 하더라도 사람들이 먹고사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40여 년 뒤인 1789년 프랑스 파리에서 공장노동자 한 사람은 매일 3.8㎏의 빵을 구입할 수 있는 소득을 올렸다. 일요일과 각종 축일 및 기타 휴일을 제외하면 하루 근로소득은 2.3㎏의 빵으로 환산된다. 4인 가족에게 생계선인 4800㎉를 공급하려면 매일 2㎏의 빵이 필요했는데, 이는 매일 실질소득의 87%를 식비 구입에 써야 했다는 얘기가 된다. 하지만 주거, 의복, 음료 등의 지출에서 적잖은 비용이 나가야 했던 점을 고려하면 제대로 곡물이 공급되더라도 입에 풀칠하는 것은 험난한 일이었던 셈이다.

18세기의 두 차례 인구 위기에 대해 역사학자 존 포스트는 “곡물가가 2년 이상 50% 이상 급
김동욱 한국경제신문 기자
김동욱 한국경제신문 기자
등할 경우 사망률과 질병 전염 비율이 따라서 급증하는 것은 명확하다”면서도 “다만 산업화 이전 시기의 전염병에 의한 사망률 증가가 주로 영양 부족에 기인한 것인지는 확실치 않다”고 말했다. 지역별로 영양 부족이 모두 똑같은 결과로 이어지진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영양 부족과 전염병 간 어느 정도 상관관계가 있는지 파악하기는 쉽지 않은데 이는 주거환경과 개인위생 수준, 주변 자연환경 차이, 국가와 사회의 대응 역량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 시기에 비약적으로 발전한 농업기술도 어느 정도 인구 감소 충격에 완충 역할을 했다. NIE 포인트1. 18세기 유럽에 대흉작이 찾아온 원인을 알아보자.

2. 식량 부족으로 대기근을 겪었던 국내외 사례를 찾아보자.

3. 세계 식량 소비량과 생산량에 대해 학습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