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기와 글쓰기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상위 20위 기업 직원들의 지난해 평균 연봉이 15.0%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간 인상률로 역대 최대 수준이라는 평가다. 이들 기업의 평균 연봉도 처음으로 1억원을 넘어섰다. 물가 상승이라는 외부 요인 외에 대기업이 직원들의 불만을 달래고, 우수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 임금 인상폭을 키웠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숫자로 읽는 세상] 20대 기업 평균 연봉 1억 넘어…1년새 15% 증가, 1.7억 카카오 연봉 1위…시총 1위 삼성전자 1.4억
지난 22일 한국경제신문이 시총 상위 20위 기업이 이달 들어 공시한 2021년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직원 평균 연봉이 1억1348만원으로 나타났다. 2020년 평균 연봉 9870만원 대비 15.0%(1478만원) 올랐다. 상당수 기업이 임금을 두 자릿수 인상했고, 창사 이후 처음으로 평균 연봉 1억원을 넘어선 기업도 많았다. 삼성SDI LG화학 기아 포스코홀딩스 등이 대표적이다. 대기업의 임금 급증을 보는 시각은 다양하다. 기업 이익이 늘어난 만큼 직원에게 적절한 보상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반면 지난해 경제성장률(4.0%)과 물가상승률(2.5%) 등을 감안하면 과도하다는 비판도 많다. 직무와 성과에 기반한 임금체계 도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임금 양극화 우려도 나온다. 이들 대기업의 인상률(15.0%)은 지난해 상용 근로자 평균(4.6%)의 네 배에 이른다. 한 경제단체 고위 관계자는 “과도한 임금 인상은 경기침체 때 기업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의 2020년 직원 평균 연봉은 1억2700만원으로 국내 제조기업 1위였다. 경쟁 업체보다 1.5배가량 높은 연봉을 지급하며 취업준비생이 가장 선호하는 기업 1위에 수시로 이름을 올렸다. 근로자 대표인 사원협의회와의 임금 협상도 매년 잡음 없이 마무리됐다.

분위기는 지난해 갑자기 바뀌었다. 네이버와 카카오 등 정보기술(IT) 기업들이 인재를 끌어오기 위해 연봉을 올리면서 제조 대기업 직원들도 “더 달라”는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이에 삼성전자도 지난해 3월 임금을 7.5% 인상했다. 2013년 후 최대 규모다. 여기에 지난해 말 특별 격려금 등이 더해지며 작년 직원 평균 연봉은 전년 대비 13.4% 상승한 1억4400만원을 기록했다.

다른 대기업 상황도 비슷하다. 지난해 주요 대기업 ‘평균 연봉 1억원 시대’가 열린 배경이다. 경제계에선 ‘적절한 보상’이라는 분석과 ‘과도하다’는 의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한국경제신문이 22일 시가총액 20위 기업의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직원 평균 연봉은 2020년 9870만원에서 2021년 1억1348만원으로, 1년 만에 15.0% 상승했다. 경제계에선 역대 최대 인상률을 기록한 것으로 보고 있다. 20개 기업 중 14곳이 직원 평균 연봉을 두 자릿수 인상했다. 삼성전자(13.4%) SK하이닉스(22.9%) 네이버(26.0%) 삼성SDI(32.5%) LG화학(10.8%) 기아(11.0%) 포스코홀딩스(11.2%) 등 업종과 상관없이 대폭 임금을 올렸다.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 행사차익까지 더하면 실제 상승폭은 더 커진다. 카카오뱅크의 지난해 스톡옵션 행사차익을 더한 직원 평균 연봉은 1억4400만원으로, 2020년(7800만원) 대비 84.6%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 임금 인상 바람은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부터 시작됐다는 분석이 많다. 경제계 관계자는 “2018년 최저임금 16.4% 인상에 따라 하위 직급부터 상위 직급까지 연쇄 인상이 이뤄졌다”고 말했다. 현대자동차마저 일부 직원의 최저임금을 맞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게임 등 IT업계가 ‘개발자 확보 전쟁’에 나서면서 임금 인상 열풍은 더 거세졌다. 넷마블, 넥슨, 크래프톤 등이 한 번에 연봉을 1000만원 안팎씩 올린 것이 시작이다. 업계 관계자는 “MZ세대를 중심으로 조금이라도 더 높은 연봉을 주는 기업으로 이직하는 현상이 강해지면서 경쟁 기업보다 더 많이 인상할 수밖에 없게 됐다”고 말했다.

김일규/도병욱 한국경제신문 기자 NIE 포인트1. 국내 연봉 1위 기업이 어디인지를 본문에서 찾아보자.

2. 연봉과 우수인재 확보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자.

3. 근로자 평균 연봉과 대기업 연봉 차이를 비교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