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tesat.or.kr
[문제] 어느 공장에서 10명의 근로자가 1인당 평균 30개의 상품을 생산했다. 그런데 근로자 1명을 더 고용하니 1인당 평균 생산량이 28개로 줄었다. 근로자 1명을 추가 고용했을 때 한계생산은 몇 개인가?

① 2
② 8
③ 15
④ 27
⑤ 30

[해설] 한계생산이란 생산요소 한 단위를 추가로 투입했을 때, 총 생산물의 증가분이다. 문제에서 10명의 근로자가 1인당 평균 30개의 상품을 생산하므로 근로자 10명의 상품 총 생산량은 10×평균 생산량(30개)=300개다. 근로자 1명을 더 고용하면 총 11명이고, 평균 생산량은 28개다. 11×평균 생산량(28)=308개다. 따라서 근로자 1명을 추가 고용했을 때 한계생산은 (308-300)=8개다. 정답 ②

[문제] 다음 중 재정정책의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경우가 아닌 것은?

① 한계수입성향이 높은 경우
② 한계저축성향이 낮은 경우
③ 유동성 함정이 나타나는 경우
④ 시중에 유동성이 풍부한 경우
⑤ 정부가 발행한 국채를 중앙은행이 바로 인수하는 경우

[해설] 재정정책의 효과가 크게 나타나기 위해서는 승수 효과가 크게 나타나고 구축 효과는 작게 발생해야 한다. 유동성 함정이 발생해 시중에 유동성이 풍부하면 국채를 발행해도 이자율이 거의 상승하지 않으므로 구축 효과가 작아진다. 정부가 발행한 국채를 중앙은행이 바로 인수하면 국채를 발행한 만큼 통화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이자율에 거의 변동이 없게 된다. 한계수입성향이 높으면 국내에서 생산한 상품에 대한 한계소비성향이 낮아지므로 승수효과를 감소시키게 된다. 정답 ①

[문제] 루카스 비판(Lucas Critique)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계량모형을 사용할 때 경제주체의 기대 형성에 대한 가설을 포함하는 구조 모형을 사용해야 한다.
② 정책 변화가 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판단할 때에는 새로운 정책에 따라 사람들의 기대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고려해야 한다.
③ 정책이 바뀌면 경제활동에 관한 규칙이 바뀌고 그에 따라 사람들의 기대도 바뀌기 때문에 기존에 성립되었던 경제 변수 간의 관계도 바뀐다.
④ 경제주체들의 합리적 기대 형성을 포함하지 않는 계량경제모형을 이용하여 거시경제정책의 효과를 평가하는 방식은 오류를 유발할 수 있다.
⑤ 경제주체들은 과거의 경험에 기초하여 미래에 대한 기대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과거 자료가 많을수록 미래에 대한 정확한 기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축적된 자료에 대한 면밀한 통계적 분석이 중요하다.

[해설] 경제학자 로버트 루카스는 경제주체가 현재 이용 가능한 모든 정보를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정확한 방식으로 미래에 대한 기대를 형성한다고 하는 ‘합리적 기대이론’을 주장했다. 전통적 경제 분석은 각종 변수가 일정하다는 가정하에 분석한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경제 정책에 따라 민간의 기대가 변화하고 행동이 바뀐다. 루카스는 “인간은 새로운 정보에 기초해 자신의 예측을 끊임없이 재조정한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재정정책이나 통화정책이 시장에 미치는 힘은 극히 미미할 수밖에 없다. 루카스는 이에 기초하여 경제정책의 효과를 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기 5번은 과거 경험으로부터 미래에 대한 기대를 형성하는 ‘적응적 기대이론’이다. 정답 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