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기와 글쓰기
▶'불황형 상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고, 복권의 긍정·부정적 측면을 토론해보자.
올해 상반기 복권 판매액이 8년 만에 최대폭 증가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불황 속에 ‘일확천금’을 노린 사람이 많아진 탓이지만 당첨금을 크게 높인 연금복권 출시도 한몫했다. 정부가 불황을 이용해 서민의 사행심을 부추겨 이들의 돈으로 국고 수입을 늘린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불황형 상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고, 복권의 긍정·부정적 측면을 토론해보자.
지난 16일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에 따르면 올 상반기 복권 총 판매액은 2조6208억원이었다. 지난해 상반기보다 2628억원(11.1%) 늘었다. 상반기 기준으로 2017년 8.2%, 2018년 6.0%, 작년엔 8.6% 늘었던 것을 감안하면 증가율이 올해 확 뛴 것이다. 올해 증가율은 2012년 상반기(17.7%) 후 8년 만에 가장 높았다.
복권은 술·담배와 함께 대표적인 ‘불황형 상품’으로 꼽힌다. 경기가 침체될 때 더 잘 팔린다. 삶이 팍팍해질수록 요행에 따른 일확천금에 기대를 거는 사람이 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올해 복권 흥행엔 정부도 한몫했다. 복권위원회는 올 4월 ‘연금복권 720+’라는 새로운 상품을 출시했다. 1등 당첨금을 500만원에서 700만원으로 대폭 올렸다. 이 상품은 출시되자마자 큰 인기를 끌었고, 그 덕분에 올 상반기 연금복권 판매액(855억원)은 작년 동기(508억원)보다 68.2% 급증했다. 4월은 코로나19 사태가 불거진 이후다. 정부가 불황을 이용해 서민의 사행심을 자극하고 국고 수입을 불렸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가 여기 있다.
서민준 한국경제신문 기자 morand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