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석대는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이문열, 1987년)의 ‘영웅’이다. 엄석대는 담임 교사를 대신해 아이들을 지배하고 통제한다. 엄석대가 ‘다스리는’ 학급은 겉으로 보기에 완벽하다. 그가 이끌고 나가는 운동팀은 모든 반 대항 경기에서 우승했고 학급 비품은 어느 반보다 넉넉했으며 교실은 깨끗하고 화단은 환하다. 성적도 우수할뿐더러 그가 실습 감독을 하는 실습지는 수확이 가장 많다. 학급은 일사불란하고 효율적으로 운영된다. 물론 이 완벽함의 이면에는 영웅 엄석대의 폭력적 권력이 도사리고 있다. 그의 권력은 막강해 누구도 거스를 수 없다. 그리고 직접 나서지 않고도 마음에 들지 않는 급우를 괴롭힐 수 있을 정도로 그의 통치술은 교묘하다.
석대에게 순응하지 않고 도전했던 한병태는 한 학기 내내 괴롭힘을 당한다. 시도 때도 없이 걸려 오는 주먹 싸움에서 매번 참패해 충분히 이길 수 있는 상대임에도 집단적 기세에 눌려 싸움 등수는 꼴찌로 밀려났고, 철저한 따돌림을 당해 함께 놀 친구 하나 없는 상태가 된다. 딴 아이들이 다 하는, 어쩌다 걸려도 가벼운 꾸중으로 끝날 뿐인 잘못들, 예를 들면 동네 만화 가게에서 만화를 읽은 것 따위도 엄청난 비행으로 자치회에 고발돼 처벌을 받고 학교 전체에 알려질 만큼 말썽 많은 불량 학생이 돼버린다. 이러니 공부도 제대로 될 리 없다. 상위권이던 성적은 어느새 겨우 중간을 웃돌 뿐인 정도로 내려가고 만다. 한 학기를 버틴 병태는 결국 석대에게 굴복한다. 저항을 포기한 순간 병태가 흘린 눈물은 무력함과 외로움을 온전히 노출했기에 몹시 굴욕적인 것이었지만 항복의 열매는 굴욕을 잊게 할 만큼 달콤했다. 석대는 병태에게 한없는 자비를 베풀었고 병태는 한순간 학급에서 2인자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에 등장하는 어른들은 실망스럽다. 석대를 비호하던 이전 담임 교사, 석대에게 당한 사실을 하소연하는 병태에게 석대처럼 강하게 자라기를 은근히 강요한 병태의 아버지. 그런 어른들 때문에 석대는 영웅으로 군림할 수 있었던 것이리라. 새 담임교사는 좀 다르다. 새 담임 덕에 아이들은 부당한 권위에 저항하는 기회를 얻게 되니까. 그러나 아이들의 그 저항이라는 것이 담임교사라는 더 큰 권위의 보호 아래 이뤄졌다는 점은 아쉽다. 보호받는 저항이라니, 살짝 데친 생선회 같지 않은가? 실망스러운 것은 어른들만이 아니다. 병태가 석대에게 부당한 압박을 당할 때 외면하던 아이들의 갑작스러운 정의감을 병태는 믿지 못한다. 병태에게 아이들은 ‘석대가 쓰러진 걸 보고서야 덤벼들어 등을 밟아대는 교활하고도 비열한 변절자로밖에 비쳐지지 않았다.’
30년이 지난 어느 날, 병태는 수갑이 채워진 채 경찰에게 연행되는 석대를 우연히 목격한다. 지난날의 영웅 석대가 범죄자로 전락한 것이다. 씁쓸하기 짝이 없는 해후다. 그 옛날 석대가 그 학급에서 다른 방법으로 패배했다면, 그러니까 진심으로 사과하고 참회하면서 친구들과 함께 지낼 기회를 가졌다면 그에게 다른 미래가 열릴 수도 있지 않았을까? 그 담임 교사에게는 엄석대라는 소폭군을 ‘제압’할 길이 더 큰 권위를 폭력적으로 행사하는 것 말고는 없었을까?
우상의 몰락을 그린 작품
학급의 ‘일그러진 영웅’을 다루는 또 다른 소설에 《아우를 위하여》(황석영, 1972년), 《우상의 눈물》(전상국, 1980년) 등이 있다. 각 작품 속의 영웅이 어떻게 다른지, 또 그들이 어떻게 몰락하는지 비교하며 읽으면 꽤 재미있다. 두 작품에서 영웅 또는 우상의 몰락은 상당히 다른 방식으로 이뤄진다. 일독을 권해본다.
이 글을 읽는 학생들의 학급에 혹 ‘영웅’이 있는지 궁금해진다. 일그러진 영웅이 없는 학급을 만드는 것은 학급 구성원 모두의 노력으로 가능하리라. 그러므로 ‘엄석대’가 없는 학급에 살고 있다면 모두가 영웅인 행복한 학급에서 잘살고 있는 것이라 믿어도 될 것 같다.
손은주 < 서울사대부고 교사 >
![성북동에서 건진 만해시편 연작 [고두현의 아침 시편]](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069760.3.jpg)
!["무슨 일 있어도 기죽으면 안 된대이" [고두현의 아침 시편]](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1993148.3.jpg)
![그곳 '그림자의 섬'에 가고 싶다 [고두현의 아침 시편]](https://img.hankyung.com/photo/202509/AA.41853182.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