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은=생글생글은 사고력과 논리력을 향상시키는 데 최고였다. 논술전형으로 연세대 경제학과에 합격하는데 생글은 일등공신 역할을 했다. 고등학교에서 우리는 생글생글을 단체로 구독했다. 원하는 학생들이 모여 생글을 자유롭게 읽을 수 있었다. 매주 주말에 시간을 내어 신문을 읽었다. 학교 공부로 접하기 어려운 시사경제를 알고 이해하는 연습을 꾸준히 했다. 글의 요지를 파악하는 연습에도 초점을 맞췄다.
▶김예은=생글 기자로 활동했다. 언론인을 꿈꾸는 나에게 생글은 ‘랜덤 상자’였다. 때로는 더 넓은 세상을 알려주는 ‘확성기’였다. 때론 꿈을 향해 달리다 지친 나에게 다시 한번 열정을 지펴주는 ‘성냥’이 되었다. 중·고교 6년 동안 했던 다양한 대외 활동 중 생글 기자단이 나에겐 가장 소중하다. 학생 신분으로 내가 작성한 기사를 신문에 게재할 수 있다는 점이 나에게 큰 자긍심을 주었다.
▶김현재=생글생글이 가진 가장 큰 장점은 트렌드에 맞는 경제 지식을 쉽게 배울 수 있다는 데 있다. 생글은 경제 교과서에서 배운 내용이 현실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간단하게 풀어서 설명해주기 때문에 경제에 대한 흥미를 갖게 했다. 생글을 통해 상경계 진학 등 적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1학년 때부터 생글생글을 적극적으로 읽는다면 학교 공부 외에 더 큰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선배로서 생글 읽기를 적극 권한다.
▶이정훈=고교 2학년이던 2009년부터 생글생글을 읽기 시작해 대학교 졸업을 앞둔 지금까지도 애독하고 있다. 중·고교생에게는 조금 어려운 신문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꾸준히 읽다 보면 어느 순간 생글생글을 손쉽게 읽어낼 수 있는 순간이 올 것이다. 그 순간이 되면 대학 진학에도 자신감이 붙을 것이다.
![[경제야 놀자] 손흥민 연봉, K리그의 50배…비싼 몸값의 비밀](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08891.3.jpg)
![[수능에 나오는 경제·금융] 신용 좋은 사람일수록 대출금리가 싼 이유는?](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08924.3.jpg)
![[경제학 원론 산책] 선진국은 자본시장, 신흥국은 은행의 역할 크죠](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08907.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