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나현 생글기자 (명덕여고 3년) knh63@naver.com
김나현 생글기자 (명덕여고 3년) knh63@naver.com
"어느 것이나 장단점이 있다. 이론적으로만이 아니라 여러 가지 조건들을 고려하여 우리나라에 맞는 에너지 정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새 정부가 원전제로 정책을 내세웠다. 총 70%에 달하는 화력과 원자력에너지 비율을 감소시키고 친환경 액화천연가스와 신재생에너지를 2030년 50%까지 늘리겠다는 것이다. 이를 두고 여러 전문가들이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다. 원자력은 원자로에서 핵을 분열시키면서 나오는 연쇄반응으로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한다. 미국, 영국에서 처음으로 시작되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1978년 발전을 시작했다. 당시에는 2,324GWh로 전체 에너지 생산량의 7.4%에 불과했지만 2016년 기준 161,995GWh를 생산하며 30.64%를 차지하였다(출처 한국수력원자력). 국내 에너지 생산량의 상당량을 원자력 발전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다. 기술에 있어서도 경쟁력을 갖춰 2009년 아랍에미리트에 원전을 수출하기도 했다.

원자력은 연료가 월등히 싸고 적은 양으로 많은 에너지를 생산해 낼 수 있기 때문에 발전단가가 낮다. 또한 화석연료를 태울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와 같은 유해물질이 발생하지 않는 청정에너지이다. 이러한 점 때문에 원자력을 사용하고 있지만 무엇보다 위험성이 문제이다. 체르노빌 사고나 2011년 일본에서 방사능 유출로 일어난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한순간의 사고가 재앙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독일은 2022년까지 모든 원전을 단계적으로 폐쇄하기로 하였다. 하지만 많은 어려움이 있다. 대만은 지난 5월부터 총 6기의 발전소 중 1기만 운영하기로 결정했지만 전력난 때문에 9일과 12일 재가동했다. 현재 주로 사용하고 있는 에너지원인 화석연료는 계속해서 고갈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대안이 필요한 실태이다.

어느 것이나 장단점이 있다. 이론적으로만이 아니라 여러 가지 조건들을 고려하여 우리나라에 맞는 에너지 정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