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시 모든 전형에 수능 최저학력기준 적용 안해
수시 접수 타대학보다 빨라…9월 7일부터 시작
수시 접수 타대학보다 빨라…9월 7일부터 시작
![[2018 대입 전략] KAIST 가는 길 가이드](https://img.hankyung.com/photo/201705/AA.13909860.1.jpg)
![[2018 대입 전략] KAIST 가는 길 가이드](https://img.hankyung.com/photo/201705/AA.13933358.1.jpg)
![[2018 대입 전략] KAIST 가는 길 가이드](https://img.hankyung.com/photo/201705/01.13935489.1.jpg)
학교장 추천전형 고교별 최대 2명
80명 내외를 선발하는 학교장 추천전형은 전형방법이 일반전형과 매우 유사하나 지원자격에서 고교별 학교장이 추천한 최대 2명까지만 지원할 수 있다. 1단계 모집정원의 3배수를 선발한 2단계에서 면접을 진행하는데 일반전형과 달리 ‘영어활용능력’ 영역은 포함하지 않고 서류평가와 면접 결과를 7 대 3으로 반영하여 최종합격자를 결정한다.
특기자전형만 KAIST 내 다른 수시전형과 중복지원 가능
특정분야에 영재성을 지닌 자를 선발하는 특기자전형은 20명을 선발하며, KAIST의 수시 전형 간 중복 지원은 허용되지 않지만 특기자전형은 다른 수시전형과 중복지원도 가능하다. 특정분야의 영재성은 예를 들어 △활동: 소프트웨어 개발, 발명 또는 특허, 벤처(창업) 등 △연구: 국내 또는 국외 학술지에 논문 게재 등 △교과: 특정 교과에 매우 탁월 △기타: 특수한 교육환경이나 특이한 이력을 소유한 자로 잠재능력이 우수한 자 등이 해당한다. 1단계에서 서류평가로 모집인원의 2배수를 선발한 후 2단계에서 ‘특기역량’과 ‘사회적역량’으로 나뉘어 면접을 진행한다. 제출서류인 특기입증자료는 ‘특기입증자료 목록 작성’ 최대 5개, ‘특기입증자료 파일 업로드’ 최대 5개까지 가능하며 서류평가와 면접 결과를 6 대 4로 반영하여 최종합격자를 결정한다.
수능 과학영역은 다른 교과의 Ⅰ+Ⅱ 또는 Ⅱ+Ⅱ 조합만 가능
12월29일부터 원서접수가 시작되는 정시모집은 수능우수자전형으로 20명 내외를 선발한다. 타 대학교의 수시 전형이나 정시 전형에 지원, 합격, 등록 여부와 관계없이 수능우수자전형에 지원 가능하다. 수능 반영 영역은 국어, 수학 가형, 영어, 과학탐구 2과목, 한국사이고 이 중 과학탐구 영역은 서로 다른 교과의 Ⅰ+Ⅱ 또는 Ⅱ+Ⅱ 조합만 가능하다.
수능 각 영역별 활용지표는 국어와 수학은 표준점수, 영어와 한국사는 등급별 점수, 과학탐구는 백분위를 활용한 변환표준점수를 적용한다. 동점자가 발생할 경우 수학 가형의 표준점수 고득점 순으로 선발한다는 점도 알아두자.
이동훈 < 생글 대입컨설팅 소장 cezar01@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