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쓰고 또 쓰고, 고치고 또 고쳐라
“훌륭한 글을 지으려면 먼저 뜻을 얽고, 말을 다듬고, 말과 뜻이 서로 넘치지 않게 해야 한다. 글은 소리가 울려 아름다운 리듬이 있어야 한다. 또 많이 짓는 것은 많이 고치는 것만 못하고 많이 고치는 것은 많이 지워버리는 것만 못하다.”
창강 김택영, 매천 황현과 함께 구한말의 3대 문장가로 꼽히던 이건창(1852~1898)이 전하는 문장론이다. 그는 김택영이 고려, 조선시대를 걸쳐 꼽은 문장가 9인(麗韓九家·여한구가) 가운데 한 명으로, 당대의 대문장가였다.(이건창, 《조선의 마지막 문장》, 송희준 역, 글항아리)
예나 지금이나 글쓰기에 왕도는 없는 것 같다. 있다면 오로지 쓰고 또 쓰고, 고치고 또 고치는 것이다. 처음엔 대개 무엇을 어떻게 써야 할지조차 모르는 경우가 태반일 것이다.
그렇다고 낙담할 필요는 없다. 글쓰기 능력은 후천적 노력에 따라 얻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1%의 타고난 문재(文才)를 예외로 치면 대부분의 사람은 자신의 노력 여하에 따라 얼마든지 좋은 글을 쓸 수 있다.
우선 남의 글을 읽는 것에서부터 시작하는 게 좋다. 이때 남의 글을 읽되 어색하거나 잘못된 부분을 찾아내면서 읽는 게 요령이다. ‘나라면 이렇게 쓸 텐데’ 하고 바꿔보는 것이다. 그러다 보면 글쓰기의 오류들이 눈에 들어오고 그것이 체계적으로 몸에 익으면 그게 곧 자신의 글쓰기 능력이 된다.
모든 글은 ‘내용물’과 ‘형식’의 결합으로 이뤄진다. 내용물이란 글에 담길 정보(아이디어)를 말한다. 형식은 이 내용물을 담는 틀이다. 글쓰기에 앞서 ‘무엇을 담을까’를 궁리한다면 그것은 글의 내용을 생각하는 것이다. ‘어떻게 표현할까’를 고민한다면 이는 글의 형식을 찾는다는 것이다. 글의 ‘내용’과 ‘형식’은 동전의 앞뒤와 같다. 어느 하나라도 부실하면 좋은 글이 될 수 없다. 그 가운데 이 코너에서 다룰 것은 ‘형식’에 관한 얘기들이다.
형식이란 곧 어법을 뜻한다. 이건창의 말을 빌리면 ‘말 다듬기’에 해당한다. 어느 정도 뜻(글쓰기에 담을 내용, 자료들)을 얽었다면 이후에는 말을 다듬어야 한다. 지금의 눈으로 보면 ‘어법에 맞는 말’을 찾는 과정인 셈이다. 그는 ‘글을 지어놓고 반드시 열 번 써보고, 열 번 읽어보아, 하자가 없고 난 뒤에야 끝나게 된다’고 말했다. 퇴고를 철저히 해야 한다는 뜻이다. ‘형식’을 얼마나 장악하느냐에 따라 글의 완성도가 달라진다.
‘어법에 맞는 말’도 어려울 게 없다. 이는 곧 우리말다운 표현을 가리킨다. 우리말답다는 것은 ‘자연스러움’의 정도로 판별할 수 있다. 가장 자연스러운 것은 ‘말하듯이 쓰는’ 데서 나온다. 머릿속에선 맴도는데 글로 이어지지 않을 때 그것을 말로 풀어보라는 얘기는 그런 까닭이다. 물론 글쓰기는 말하기와 달라 일정한 형식 요건을 필요로 한다. 결국 좋은 문장의 요체는 ‘말하듯이 쓰되 문법적 틀을 얼마나 갖추었느냐’ 하는 데 있다.
생각을 담을 수 있는 최소 단위는 문장이다. 글을 읽을 때 자연스러운 울림과 함께 리듬을 타는 듯한 느낌을 줘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문장을 촘촘하게 짜는 게 관건이다. 잘 짜인 문장엔 긴장감이 있고 운율이 흐른다. 문장은 단어 선택의 조합이다. 따라서 적확한 단어를 찾는 능력이 좋은 문장을 쓰는 출발점이다. 누구나 이런 준비가 돼 있다면 좋은 글을 쓰기 위한 절반의 요건을 갖췄다고 할 수 있다.
홍성호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hymt4@hankyung.com
-----------------------------------------------------------------------
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 Why the long face?
Why the long face?는 무슨 일이야?란 뜻이에요. long에 ‘우울한’이란 뜻도 있답니다. 외국인 친구가 이 표현을 썼을 때 “네 얼굴이 더 길다”라고 싸우시면 절대 안 됩니다.
많은 학생이 TEPS라는 시험을 참 어렵게 느낍니다. 특히 어휘는 SAT, GRE 수준의 단어까지 나오기 때문에 900 이상의 고득점을 맞기 위해서는 엄청난 양의 어휘를 공부해야 합니다. 하지만 무엇이든지 기본기가 제일 중요한 법. 중·고등, 수능 단어만 제대로 이해해도 얼마든지 텝스의 정답들을 맞힐 수 있습니다. 오늘은 중학교 어휘로 텝스 정답들을 만나보도록 하겠습니다.
Pedestrian Speech(진부한 연설) 중학생도 Pedestrian이 ‘보행자’라는 뜻이 있다는 것은 알지만, 이 단어가 형용사로 ‘진부한’이란 뜻으로 쓰일 수도 있습니다. Why the long face?(무슨 일이야?) 일상 회화에서 자주 쓰는 표현으로 long에 ‘우울한’이란 뜻도 있습니다. 외국인 친구가 이 표현을 썼을 때, “네 얼굴이 더 길다”라고 싸우시면 절대 안 됩니다.
It was doctored(그것은 조작되었다) doctor에 ‘조작하다’라는 뜻도 있으므로, doctored pictures는 ‘뽀샵 사진’ 정도로 번역해도 됩니다. Gag the press(언론 탄압) ‘개그 콘서트’에서만 쓰일 것 같은 단어 gag에 ‘재갈을 물리다’라는 뜻도 있습니다.
I’m not buying that(뻥 치지마) buy가 ‘믿다’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답니다. My eyes are smarting(눈이 따가워요) smart에 ‘따갑다’라는 뜻도 있네요. It’s a breeze(식은 죽 먹기) breeze가 ‘산들바람’ 외에도 ‘쉬운 일’로도 쓰인다는 것 잊지 마세요.
또 give and take가 ‘주고, 받다’라는 뜻인 것은 다 아시겠지만, 놀랍게도 give or take가 되면, ‘대략 어느 정도’라는 뜻이 된답니다. 생각보다 많은 학생이 듣기나 독해에서 이 표현이 나오면 엉터리로 해석을 합니다.
끝으로 ‘남편’이라고만 생각했던 husband가 동사로 쓰면 ‘절약하다’의 뜻을 가지기도 합니다. 그래서 husband money라고 하면 ‘돈을 아껴쓰다’라고 해석할 수 있는 것이지요.
이 외에도 중학교 수준의 단어로 텝스 정답들을 해결할 수 있는 예는 수천가지가 넘습니다. 제가 늘 말씀 드리지만, 반드시 단어는 문장 속에서 누구랑 쓰이고, 또 어떻게 쓰이는지 예문을 통해서 외워야 합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는 고등학교 단어로 텝스 정답들을 만나보도록 하겠습니다.
■ 배시원 선생님
배시원 선생님은 호주 맥쿼리대 통번역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배시원 영어교실 원장을 맡고 있다. 고려대 등 대학과 김영 편입학원, YBM, ANC 승무원학원에서 토익·토플을 강의했다.
“훌륭한 글을 지으려면 먼저 뜻을 얽고, 말을 다듬고, 말과 뜻이 서로 넘치지 않게 해야 한다. 글은 소리가 울려 아름다운 리듬이 있어야 한다. 또 많이 짓는 것은 많이 고치는 것만 못하고 많이 고치는 것은 많이 지워버리는 것만 못하다.”
창강 김택영, 매천 황현과 함께 구한말의 3대 문장가로 꼽히던 이건창(1852~1898)이 전하는 문장론이다. 그는 김택영이 고려, 조선시대를 걸쳐 꼽은 문장가 9인(麗韓九家·여한구가) 가운데 한 명으로, 당대의 대문장가였다.(이건창, 《조선의 마지막 문장》, 송희준 역, 글항아리)
예나 지금이나 글쓰기에 왕도는 없는 것 같다. 있다면 오로지 쓰고 또 쓰고, 고치고 또 고치는 것이다. 처음엔 대개 무엇을 어떻게 써야 할지조차 모르는 경우가 태반일 것이다.
그렇다고 낙담할 필요는 없다. 글쓰기 능력은 후천적 노력에 따라 얻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1%의 타고난 문재(文才)를 예외로 치면 대부분의 사람은 자신의 노력 여하에 따라 얼마든지 좋은 글을 쓸 수 있다.
우선 남의 글을 읽는 것에서부터 시작하는 게 좋다. 이때 남의 글을 읽되 어색하거나 잘못된 부분을 찾아내면서 읽는 게 요령이다. ‘나라면 이렇게 쓸 텐데’ 하고 바꿔보는 것이다. 그러다 보면 글쓰기의 오류들이 눈에 들어오고 그것이 체계적으로 몸에 익으면 그게 곧 자신의 글쓰기 능력이 된다.
모든 글은 ‘내용물’과 ‘형식’의 결합으로 이뤄진다. 내용물이란 글에 담길 정보(아이디어)를 말한다. 형식은 이 내용물을 담는 틀이다. 글쓰기에 앞서 ‘무엇을 담을까’를 궁리한다면 그것은 글의 내용을 생각하는 것이다. ‘어떻게 표현할까’를 고민한다면 이는 글의 형식을 찾는다는 것이다. 글의 ‘내용’과 ‘형식’은 동전의 앞뒤와 같다. 어느 하나라도 부실하면 좋은 글이 될 수 없다. 그 가운데 이 코너에서 다룰 것은 ‘형식’에 관한 얘기들이다.
형식이란 곧 어법을 뜻한다. 이건창의 말을 빌리면 ‘말 다듬기’에 해당한다. 어느 정도 뜻(글쓰기에 담을 내용, 자료들)을 얽었다면 이후에는 말을 다듬어야 한다. 지금의 눈으로 보면 ‘어법에 맞는 말’을 찾는 과정인 셈이다. 그는 ‘글을 지어놓고 반드시 열 번 써보고, 열 번 읽어보아, 하자가 없고 난 뒤에야 끝나게 된다’고 말했다. 퇴고를 철저히 해야 한다는 뜻이다. ‘형식’을 얼마나 장악하느냐에 따라 글의 완성도가 달라진다.
‘어법에 맞는 말’도 어려울 게 없다. 이는 곧 우리말다운 표현을 가리킨다. 우리말답다는 것은 ‘자연스러움’의 정도로 판별할 수 있다. 가장 자연스러운 것은 ‘말하듯이 쓰는’ 데서 나온다. 머릿속에선 맴도는데 글로 이어지지 않을 때 그것을 말로 풀어보라는 얘기는 그런 까닭이다. 물론 글쓰기는 말하기와 달라 일정한 형식 요건을 필요로 한다. 결국 좋은 문장의 요체는 ‘말하듯이 쓰되 문법적 틀을 얼마나 갖추었느냐’ 하는 데 있다.
생각을 담을 수 있는 최소 단위는 문장이다. 글을 읽을 때 자연스러운 울림과 함께 리듬을 타는 듯한 느낌을 줘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문장을 촘촘하게 짜는 게 관건이다. 잘 짜인 문장엔 긴장감이 있고 운율이 흐른다. 문장은 단어 선택의 조합이다. 따라서 적확한 단어를 찾는 능력이 좋은 문장을 쓰는 출발점이다. 누구나 이런 준비가 돼 있다면 좋은 글을 쓰기 위한 절반의 요건을 갖췄다고 할 수 있다.
홍성호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hymt4@hankyung.com
-----------------------------------------------------------------------
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 Why the long face?
Why the long face?는 무슨 일이야?란 뜻이에요. long에 ‘우울한’이란 뜻도 있답니다. 외국인 친구가 이 표현을 썼을 때 “네 얼굴이 더 길다”라고 싸우시면 절대 안 됩니다.
많은 학생이 TEPS라는 시험을 참 어렵게 느낍니다. 특히 어휘는 SAT, GRE 수준의 단어까지 나오기 때문에 900 이상의 고득점을 맞기 위해서는 엄청난 양의 어휘를 공부해야 합니다. 하지만 무엇이든지 기본기가 제일 중요한 법. 중·고등, 수능 단어만 제대로 이해해도 얼마든지 텝스의 정답들을 맞힐 수 있습니다. 오늘은 중학교 어휘로 텝스 정답들을 만나보도록 하겠습니다.
Pedestrian Speech(진부한 연설) 중학생도 Pedestrian이 ‘보행자’라는 뜻이 있다는 것은 알지만, 이 단어가 형용사로 ‘진부한’이란 뜻으로 쓰일 수도 있습니다. Why the long face?(무슨 일이야?) 일상 회화에서 자주 쓰는 표현으로 long에 ‘우울한’이란 뜻도 있습니다. 외국인 친구가 이 표현을 썼을 때, “네 얼굴이 더 길다”라고 싸우시면 절대 안 됩니다.
It was doctored(그것은 조작되었다) doctor에 ‘조작하다’라는 뜻도 있으므로, doctored pictures는 ‘뽀샵 사진’ 정도로 번역해도 됩니다. Gag the press(언론 탄압) ‘개그 콘서트’에서만 쓰일 것 같은 단어 gag에 ‘재갈을 물리다’라는 뜻도 있습니다.
I’m not buying that(뻥 치지마) buy가 ‘믿다’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답니다. My eyes are smarting(눈이 따가워요) smart에 ‘따갑다’라는 뜻도 있네요. It’s a breeze(식은 죽 먹기) breeze가 ‘산들바람’ 외에도 ‘쉬운 일’로도 쓰인다는 것 잊지 마세요.
또 give and take가 ‘주고, 받다’라는 뜻인 것은 다 아시겠지만, 놀랍게도 give or take가 되면, ‘대략 어느 정도’라는 뜻이 된답니다. 생각보다 많은 학생이 듣기나 독해에서 이 표현이 나오면 엉터리로 해석을 합니다.
끝으로 ‘남편’이라고만 생각했던 husband가 동사로 쓰면 ‘절약하다’의 뜻을 가지기도 합니다. 그래서 husband money라고 하면 ‘돈을 아껴쓰다’라고 해석할 수 있는 것이지요.
이 외에도 중학교 수준의 단어로 텝스 정답들을 해결할 수 있는 예는 수천가지가 넘습니다. 제가 늘 말씀 드리지만, 반드시 단어는 문장 속에서 누구랑 쓰이고, 또 어떻게 쓰이는지 예문을 통해서 외워야 합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는 고등학교 단어로 텝스 정답들을 만나보도록 하겠습니다.
■ 배시원 선생님
배시원 선생님은 호주 맥쿼리대 통번역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배시원 영어교실 원장을 맡고 있다. 고려대 등 대학과 김영 편입학원, YBM, ANC 승무원학원에서 토익·토플을 강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