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원고 최경석 쌤의 '술술 읽히는 한국사' (26)

(24) 꿈속에서 도원을 노닐다
(25) 15세기 조선의 얼굴, 분청사기
(27) 이순신, 일본군의 기세를 꺾다
(28) 광해군의 두 얼굴
(29) 1636년 겨울, 남한산성에서 무슨 일이 있었을까
소수서원 속 학구재와 지락재
소수서원 속 학구재와 지락재
언듯 보면 맞배지붕의 정면 세 칸 한옥 건물인데, 자세히 보니 맨 끝 한 칸만 방이고 나머지는 정자처럼 텅 빈 마루입니다. 참 독특하면서도 운치있다 싶었는데 그 이름도 한 눈에 들어옵니다. ‘지락재(至樂齋)’, 즉 지극한 즐거움을 누리는 방랍니다. 이곳에서 누리는 더할 나위없는 즐거움이란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우주의 이치와 인간의 본성을 탐구하는 학문, 즉 성리학을 공부하는 것입니다. 공부하는 즐거움이 최고의 즐거움이라는 것이지요. 16세기 조선, 이제 선비들은 지방 사립대라고 할 수 있는 서원을 세우고 성현에 대한 제사와 성리학을 배우며 이를 통해 세상을 바꿔보려 합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 소수서원

소수서원 주자와 안향의 초상
소수서원 주자와 안향의 초상
지락재는 학구재(學求齎)와 함께 경북 영주의 소수서원 안에 있는 아담한 공부방입니다. 소수서원은 1541년 중종 때에 풍기군수인 주세붕이 세운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입니다. 당시 그는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성리학을 소개한 이곳 출신 안향을 기리며 소수서원에 그의 신주를 모셨습니다. 이곳은 학문 연마의 장으로 발전하였으며, 특히 퇴계 이황이 풍기군수로 부임하면서 서원을 널리 인정받고 알리려는 뜻으로 명종에게 사액서원을 건의하게 됩니다. 사액서원이란 왕이 현판과 서적 등을 내려주고, 토지와 노비 등을 지급하면서 세금도 면제해주는 특권을 하사하는 것입니다.

소수서원 현판
소수서원 현판
주세붕이 이곳에 붙인 이름은 원래 ‘백운동 서원’이었습니다. 중국에서 성리학을 집대성한 주희가 여산 아래 세운 ‘백록동 서원’과 매우 유사한 이름이지요. 그러다 이황의 건의로 명종이 ‘소수서원(紹修書院)’이라는 편액을 친필로 써 하사한 것입니다. 학문을 다시 이어 연구하는 곳이라는 뜻입니다.

이후 서원은 계속해서 생기게 됩니다. 특히 향촌에서 성리학을 가르치며 이를 향촌 사회에 뿌리내리도록 노력하였던 사림파들이 이곳에서 뭉치며 그 지역 사회를 성리학적 예법으로 교화시키려 하였지요. 오늘날과 비교해 보면 풀뿌리 민주주의, 즉 지방자치제를 당시엔 지배층이었던 양반이 서원을 중심으로 성리학적 향촌 자치를 시도한 것이지요. 물론 서원만으로는 부족하였습니다. 서원은 성현에 대한 제사와 학문 연구를 주로 담당하는 곳이니까요. 아, 이곳엔 기숙사도 있어 소수서원처럼 그 안에 일신재(日新齋)와 직방재(直方齋)라는 선비들의 숙박 공간을 두기도 했습니다.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가 강조했던 향약

소수서원의 기숙사 
직방재와 일신재
소수서원의 기숙사 직방재와 일신재
그렇다면 서원의 부족한 면을 채우며 직접적으로 향촌에 살고 있는 평민들을 유교적으로 교화해 나간 것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향약(鄕約)’입니다. 향약은 말 그대로 향촌 사회의 자치규약입니다. 그런데 유교적 가치관을 담고 있지요. 주희, 즉 주자는 북송 대에 유학자 여씨 4형제가 실시한 이른바 ‘여씨 향약’을 소개하면서 이것을 성리학적 향촌 질서를 만들어가는 실천 규범으로 간주하였습니다. 여러분도 알고 있는 ‘덕업상권’, ‘과실상규’, ‘예속상교’, ‘환난상휼’이 바로 그 여씨 향약의 4대 강목입니다. 이를 우리나라에 도입하려고 노력한 이는 기묘사화로 세상을 떠난 중종 대의 유학자 조광조입니다.

조선 중기 기득권 세력이었던 훈구파에 대항하여 성리학적 도덕정치를 주장하였던 사림파는 한때 조광조처럼 사화로 목숨을 잃기도 했지만 결국 중앙 정계는 물론 지방까지 자신들의 의도를 관철시켜 나갑니다. 특히 16세기 후반부터 사족들이 주도한 향약은 기존 전통적인 미풍양속과 자연스럽게 결합하면서 조선을 성리학적 유교 사회로 재편하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됩니다. 퇴계 이황은 향약을 어기는 사람은 하늘의 뜻을 거역하는 백성이라고 규정할 정도였지요. 실제 그는 ‘예안향약’을 시행하면서 가장 기본적인 가족의 도리를 어지럽힌 사람은 벌을 주도록 하였습니다. 율곡 이이는 오늘날 청주 지역에서 ‘서원향약’을 시행하면서 평민들도 쉽게 지킬 수 있도록 선악의 두 가지 내용을 명확하게 나누었습니다.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제간에 우애가 있으며 친구 간에 화목하고 이웃과 사이좋게 지내는 것이 곧 선행입니다. 반대의 행위는 당연히 악행이지요. 이렇게 누구나 수긍할 수 있으면서도 자연스럽게 유교적 덕목, 즉 삼강오륜의 내용이 결합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유교 윤리가 확산되는데 크게 기여한 것입니다.

성리학의 확산을 가져온 서원과 향약

[한국사 공부] 서원과 향약의 나라 조선
이렇게 서원과 향약을 통해 향촌 사회를 바꿔갔던 이들은 사림파입니다. 이들의 뿌리는 원래 고려말 조선 건국에 반대하거나 참여하지 않았던 정몽주, 길재 등이었습니다. 그 제자들이 중앙 정계로 나아가지 않고 충절을 기본으로 성리학적 학문 탐구와 수양을 하면서 향촌 사회에서 자신들이 배운대로 곧 실천하면서 향촌 자치를 이뤄냈던 것이지요. 그것이 16세기 이후 조선 자체를 바꾸는 힘이 되었던 것입니다.

물론 한계나 폐단이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사림 세력이 향약을 통해 향촌에서 재판권을 행사하는 경우가 생기며 국가 권력과 마찰을 빚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또한 서원은 17세기 이후 붕당 정치가 극단으로 치달으며 파벌 정치의 근거지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서원과 향약이 있었기에 조선은 지속적인 유교 정치와 함께 성리학적 규범을 바탕으로 한 사회를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 최경석 선생님

최경석 선생님은 현재 EBS에서 한국사, 동아시아사 강의를 하고 있다. EBS 진학담당위원도 맡고 있다. 현재 대원고 역사교사로 재직 중이다. ‘청소년을 위한 역사란 무엇인가’ ‘생각이 크는 인문학 6-역사’ 등 다수의 저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