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라는 단어는 요즘사람들에게는 부정적인 단어로 인식되고 있다.
대입 실패, 취업 실패와 같이 실패가 사회에 남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불과 4개월 전에 있었던 대학 수학 능력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얻지 못해 대학 입시에 실패했다고 생각한 한 학생이 자살했다는 기사가 이슈가 되었다.
이렇게 실패가 두려워 또는 실패했다는 사실 때문에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사람들을 종종 뉴스에서 접하게 된다.
꼭 극단적인 선택이 아니더라도 주변에서 젊은 사람들이 흔히 자신을 실패자라고 생각하며 좌절하고 무기력하게 사는 사람들을 자주 접할 수 있다.
자기 스스로를 사회의 낙오자로 인식해버리는 것이다.
그래서 새로운 일에 도전하기보다는 숨으려 하고 회피하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사회적으로도 많은 손해를 불러온다.
그러면 이러한 현상을 어떻게 해야 해결할 수 있을까. 실패를 무조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회적인 인식부터 바뀌어야 한다.
실패가 실패가 아닌 인생에서의 소중한 경험으로 인식되는 순간 우리 사회는 무궁무진하게 발전할 수 있다.
베스트셀러 '스무 살에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의 저자인 스탠퍼드대 교수 티나 실리그는 실패자 이력서를 쓰라고 권한다.
또 기업에서 이력서를 받을 때 '실패 이력서'도 함께 받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실패자 이력서를 통해 자신이 지금까지 했던 실수와 실패를 되돌아보면서 반성하고 정리하는 기회를 갖게 된다는 것이다.
그로 인해 자신이 지금까지 했던 실수를 다시는 반복하지 않고 새로운 무엇인가에 도전할 수 있다고 덧붙인다.
실패는 자신의 능력을 뛰어넘는 일에 도전했음을 의미하며 그것을 통해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것은 실패가 실패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예이다.
실패가 경험이 되고, 그 경험이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 주는 지침이 되는 것이다.
실패를 부정적으로 보지 않고 격려하는 사회 분위기가 조성돼 많은 청소년들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용기를 내 '더 나은 나'를 만들기 위한 도전에 뛰어들게 해야 뛰어난 인재가 나오고 나라가 발전하기 때문이다.
허소원 생글기자(김포고 3년)jeuuy93@naver.com
대입 실패, 취업 실패와 같이 실패가 사회에 남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불과 4개월 전에 있었던 대학 수학 능력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얻지 못해 대학 입시에 실패했다고 생각한 한 학생이 자살했다는 기사가 이슈가 되었다.
이렇게 실패가 두려워 또는 실패했다는 사실 때문에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사람들을 종종 뉴스에서 접하게 된다.
꼭 극단적인 선택이 아니더라도 주변에서 젊은 사람들이 흔히 자신을 실패자라고 생각하며 좌절하고 무기력하게 사는 사람들을 자주 접할 수 있다.
자기 스스로를 사회의 낙오자로 인식해버리는 것이다.
그래서 새로운 일에 도전하기보다는 숨으려 하고 회피하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사회적으로도 많은 손해를 불러온다.
그러면 이러한 현상을 어떻게 해야 해결할 수 있을까. 실패를 무조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회적인 인식부터 바뀌어야 한다.
실패가 실패가 아닌 인생에서의 소중한 경험으로 인식되는 순간 우리 사회는 무궁무진하게 발전할 수 있다.
베스트셀러 '스무 살에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의 저자인 스탠퍼드대 교수 티나 실리그는 실패자 이력서를 쓰라고 권한다.
또 기업에서 이력서를 받을 때 '실패 이력서'도 함께 받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실패자 이력서를 통해 자신이 지금까지 했던 실수와 실패를 되돌아보면서 반성하고 정리하는 기회를 갖게 된다는 것이다.
그로 인해 자신이 지금까지 했던 실수를 다시는 반복하지 않고 새로운 무엇인가에 도전할 수 있다고 덧붙인다.
실패는 자신의 능력을 뛰어넘는 일에 도전했음을 의미하며 그것을 통해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것은 실패가 실패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예이다.
실패가 경험이 되고, 그 경험이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 주는 지침이 되는 것이다.
실패를 부정적으로 보지 않고 격려하는 사회 분위기가 조성돼 많은 청소년들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용기를 내 '더 나은 나'를 만들기 위한 도전에 뛰어들게 해야 뛰어난 인재가 나오고 나라가 발전하기 때문이다.
허소원 생글기자(김포고 3년)jeuuy93@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