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 늘어도 이자수익 되레 줄어

지난해 가계부채가 빠른 속도로 늘면서 가계 이자비용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조세 연금 사회보험료 등 비소비 지출도 큰 폭으로 늘어 가계에 부담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가구의 월 평균 이자비용은 6만5728원으로 전년보다 16.3% 늘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연간 이자비용은 78만8736원으로 지난해 통계청 추계 가구(1715만2277가구)를 기준으로 계산한 전체 가구의 연간 이자비용은 13조5286억원에 달한다.

통계청이 조사한 가계 이자비용은 주택 구입과 생계를 위한 대출만 포함하기 때문에 사업상 목적이나 건물 임차를 위한 가계 대출까지 합하면 실제 가계의 이자 부담은 더 컸을 것으로 추산된다.

한국은행이 각종 가계 대출과 신용카드 구매액까지 집계한 가계 신용은 지난해 말 795조3759억원으로 대출금리를 연 5%로 가정하면 가계 이자비용은 40조원에 이른다.

반면 지난해 가계 이자소득은 월 평균 1만1375원으로 전년보다 4.7% 감소했다.

가계 예금은 414조4716억원으로 전년보다 50조원가량 늘었지만 예금 금리가 낮게 유지되면서 이자소득이 줄었다.

계층별로는 소득 하위 20%인 1분위의 비소비 지출 부담이 큰 폭으로 늘었다. 지난해 1분위의 이자비용은 28.1%나 늘어 앞으로 금리 상승이 지속되면 대출 상환 부담이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1분위를 제외하고는 소득이 많을수록 이자비용도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위 20~40%인 2분위의 이자비용은 10.7% 늘었고 3분위는 13.7% 증가했다.

김신호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저소득층의 비소비 지출이 늘었지만 절대 규모는 크지 않으며 소득이 늘면서 자연스럽게 세금이 증가한 측면도 있다"고 설명했다.

유승호 한국경제신문 기자 usho@hankyung.com

-가계의 이자 부담은 결국 소비를 줄게 하고 국민 경제의 선순환구조를 만들 수 없도록 합니다.

이자와 소비의 관계를 잘 파악해야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