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를 살리지 못하면 10년 안에 나라가 망한다. " 2008년 한양대학교 공과대학장이 인터뷰에서 한 발언이다. 그는 왜 이와 같은 말을 한 것일까?

이공계 기피 현상에 관한 본격적인 논의는 2001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자연계열 지원자 수가 급격하게 감소함에 따라 시작되었다.

전체 응시자 중 자연계열 지원자의 비중은 1994년 43%에서 2001년 27%로 급감하였다.

여기에 더하여 2002년 이후 전국 의과대학 경쟁률이 주요 이공계 대학의 경쟁률을 훨씬 상회하면서 소위 우수 학생의 이공계 기피로 대변되는 이공계 위기 현상이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었다.

이공계 기피 현상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지만,그 중에서도 대표적 원인을 살펴보면 △부적절한 과학교육 △고용 불안정과 저임금 △낮은 사회적 지위 및 사회의 인정 부족을 들 수 있다.

'부적절한 과학교육'의 대안은 바로 과학 콘텐츠 개발이다.

한국아마추어 천문학회 이태형(충남대학교 천문우주과학과 겸임교수) 회장은 "요즘 문제가 되는 학생들의 이공계 기피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과학자의 꿈'을 심어줄 수 있는 인프라가 필요하다"면서 "과학관,천문대 등의 시설 못지않게 과학을 쉽게 풀어줄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말했다.

국민들이 생활 속에서 과학을 즐길 수 있는 시설(인프라),프로그램,전문인력이 총체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세계 10위권의 과학기술 수준에 걸맞은 과학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고용불안정과 저임금'에 가장 필요한 과제는 이공계 인력의 다양한 경력 · 경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공계 인력의 취업에 대한 정보가 충분히 제공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진로상담센터나 취업정보센터를 설립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다.

지식기반사회의 진전과 함께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 산업이 부각되고 있는데 이공계 인력에게 초기 단계에서부터 다양한 경력 · 경로를 접하게 한다면 취업 과정에서의 혼란을 상당 부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세 번째로,낮은 사회적 지위 및 사회의 인정 부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전반적으로 정부가 과학기술자 우대 정책을 펴야 한다.

지금 일반 기업에는 엔지니어,기술자들이 최고경영자(CEO)가 된 경우가 많다.

2007년 한 언론사가 삼성 승진임원 476명의 출신대학(학부 기준) · 고교와 전공,연령 등을 분석한 결과 이공계 출신이 281명으로 59%에 달했다.

10명 중 6명이 이공계 출신인 셈이다. 그러나 정부 부처에 재직 중인 1급 이상 고위공무원 가운데 이공계 출신이 10명 중 평균 3명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을 보면 후진타오 국가 주석은 전기기술자 출신이다.

지난 10년간 지속적으로 문제가 제기돼온 '이공계 기피현상'은 분명하고 근본적인 원인을 가진 현실화된 국가적 위기다.

단기적이고 표면적인 처방이나 유인책으로는 결코 해결할 수 없으며 안일한 시각으로 바라보는 것도 경계해야 한다.

왜 이공계를 기피하게 되었는지 분석해서 그 원인을 제거하려는 고민과 노력이 필요하다.

김재운 생글기자 (경북 김천고 2년) wodns1324@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