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무상급식 주민투표
서울시가 무상급식 전면 실시 여부를 주민투표로 결정할 것을 시의회에 공식 요구하기로 했다.
이종현 서울시 대변인은 "서울시장 발의의 무상급식 주민투표 동의 요구서를 17일 시의회에 정식으로 낼 예정"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당초 12일 시의회에 주민투표 청구서를 낼 계획이었으나 정식 의안인 동의 요구서를 제출하기로 했다.
이 대변인은 "시장 발의의 동의 요구서를 제출하면 시의회는 이를 본회의에서 의결해야 하기 때문에 야당인 민주당 측의 일방 결정 차원을 넘어 검토와 의결 절차가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 올해 서울시 무상급식 예산은 695억원입니다. 이번 서울시의 결정과 주민투표 결과가 다른 시 · 도에 미치는 영향도 크겠죠.
⊙ 2013년부터 성년 나이 만 19세
2013년 7월부터 성년이 되는 나이가 현재의 만 20세에서 만 19세로 낮춰진다.
국회와 법조계에 따르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법사위)는 최근 성년이 되는 나이를 만 19세로 낮추고 금치산 · 한정치산 제도를 성년후견,한정후견,특정후견제도로 변경하는 민법 개정안을 가결했다.
법사위에서 특별한 이견 없이 가결된 만큼 개정안은 다음 달 임시국회 본회의에 상정돼 통과될 전망이다.
개정안은 법률이 시행되는 2013년 7월1일부터 성년연령이 만 19세로 바뀐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때부터 19세 이상은 부모의 동의를 받지 않고 계약 등 법률 행위를 단독으로 할수 있게 된다.
법사위 측은 "이미 공직선거법 청소년보호법 소년법 등 여러 법령에서 성인의 기준을 만 19세로 규정하고 있는 현실도 감안했다"고 설명했다.
- 성년이 되면 권리도 많이 갖지만 책임도 따르는 법입니다.
⊙ 자율고 워크아웃제도 도입
자율형 사립고(자율고)에 워크아웃제도가 도입돼 2년 연속 신입생 충원율이 낮은 학교는 지정취소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2일 이런 내용을 담은 '자율형 사립고 운영 내실화 방안'을 발표했다.
신입생 충원율이 60%를 밑돌아 정상적인 교육과정 운영이 어렵다고 판단되면 해당 학교법인이 교육감을 통해 교과부에 워크아웃을 신청할 수 있도록 했다.
워크아웃 대상으로 결정되면 교과부 내 '학교운영정상화심의위원회(가칭)'가 최소경비 등을 지원해 정상화를 도모하되 워크아웃 결정 다음 해에도 충원율이 60% 미만이면 지정을 취소할 수 있도록 했다.
- 교과부는 현재 51곳인 자율고를 올해 75곳으로,내년에는 100곳으로 늘릴 계획이었습니다. 하지만 학생 충원이 만만치 않아 계획에 차질이 예상됩니다.
서울시가 무상급식 전면 실시 여부를 주민투표로 결정할 것을 시의회에 공식 요구하기로 했다.
이종현 서울시 대변인은 "서울시장 발의의 무상급식 주민투표 동의 요구서를 17일 시의회에 정식으로 낼 예정"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당초 12일 시의회에 주민투표 청구서를 낼 계획이었으나 정식 의안인 동의 요구서를 제출하기로 했다.
이 대변인은 "시장 발의의 동의 요구서를 제출하면 시의회는 이를 본회의에서 의결해야 하기 때문에 야당인 민주당 측의 일방 결정 차원을 넘어 검토와 의결 절차가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 올해 서울시 무상급식 예산은 695억원입니다. 이번 서울시의 결정과 주민투표 결과가 다른 시 · 도에 미치는 영향도 크겠죠.
⊙ 2013년부터 성년 나이 만 19세
2013년 7월부터 성년이 되는 나이가 현재의 만 20세에서 만 19세로 낮춰진다.
국회와 법조계에 따르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법사위)는 최근 성년이 되는 나이를 만 19세로 낮추고 금치산 · 한정치산 제도를 성년후견,한정후견,특정후견제도로 변경하는 민법 개정안을 가결했다.
법사위에서 특별한 이견 없이 가결된 만큼 개정안은 다음 달 임시국회 본회의에 상정돼 통과될 전망이다.
개정안은 법률이 시행되는 2013년 7월1일부터 성년연령이 만 19세로 바뀐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때부터 19세 이상은 부모의 동의를 받지 않고 계약 등 법률 행위를 단독으로 할수 있게 된다.
법사위 측은 "이미 공직선거법 청소년보호법 소년법 등 여러 법령에서 성인의 기준을 만 19세로 규정하고 있는 현실도 감안했다"고 설명했다.
- 성년이 되면 권리도 많이 갖지만 책임도 따르는 법입니다.
⊙ 자율고 워크아웃제도 도입
자율형 사립고(자율고)에 워크아웃제도가 도입돼 2년 연속 신입생 충원율이 낮은 학교는 지정취소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2일 이런 내용을 담은 '자율형 사립고 운영 내실화 방안'을 발표했다.
신입생 충원율이 60%를 밑돌아 정상적인 교육과정 운영이 어렵다고 판단되면 해당 학교법인이 교육감을 통해 교과부에 워크아웃을 신청할 수 있도록 했다.
워크아웃 대상으로 결정되면 교과부 내 '학교운영정상화심의위원회(가칭)'가 최소경비 등을 지원해 정상화를 도모하되 워크아웃 결정 다음 해에도 충원율이 60% 미만이면 지정을 취소할 수 있도록 했다.
- 교과부는 현재 51곳인 자율고를 올해 75곳으로,내년에는 100곳으로 늘릴 계획이었습니다. 하지만 학생 충원이 만만치 않아 계획에 차질이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