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불안 ··· "정부, 선제 대응해야"

정부가 발표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전년 동월 대비)를 유지하고 있는 것과 달리 가계의 실제 소비구조를 반영한 물가상승률은 3%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들이 실생활에서 느끼는 체감 물가가 정부 공식 통계보다 높다는 의미다.

소비자물가지수의 품목과 가중치가 2005년을 기준으로 구성돼 있어 지난 5년간 달라진 국민의 소비 패턴을 반영하지 못한 탓이다.

한국경제신문이 4일 국가통계포털(www.kosis.kr)에 나온 품목별 물가지수와 소비지출 비중을 토대로 산출한 결과 2분기 소비자물가지수는 116.51로 통계청이 집계한 115.6보다 0.91포인트 높게 나왔다.

통계청이 소비자물가지수를 계산할 때 적용하는 품목별 가중치 대신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월 평균 소비지출 비중을 적용해 계산한 결과다.

같은 방식으로 산출한 전년 동기 대비 물가상승률은 3.02%로 통계청이 발표한 2.57%보다 0.45%포인트 높았다.

정부는 2월부터 7월까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 2%대로 안정돼 있고,올해 4분기에 가서야 3%를 넘을 것으로 보고 있지만 실제 가계의 소비구조를 반영한 물가상승률은 이미 3%를 넘었다.

이런 차이는 가계의 품목별 소비지출 비중과 소비자물가지수에 적용되는 품목별 가중치가 다른 데서 비롯됐다.

현재 가계 소비지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학교 등록금과 학원비 등 교육비다.

1분기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월 평균 교육비는 37만8000원으로 전체 소비지출의 16.1%를 차지했다.

교육비가 10% 오를 경우 전체 물가가 1.6% 오르는 것과 같다.

그러나 물가지수에서 교육비 가중치는 110.9로 전체(1000)의 11.1%밖에 안 된다.

교육비가 10% 올라도 전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1.1%포인트에 그친다.

이 · 미용 요금과 비누,샴푸 등을 포함하는 기타 잡비 항목은 소비자물가지수 내 비중이 5.38%에 불과하지만 1분기 가구 소비지출 중에서는 8.6%를 차지했다.

유승호 한국경제신문 기자 usho@hankyung.com

-정부 공식 통계보다 체감 물가가 높다니 걱정입니다.

특히 교육비가 정부 통계와 체감 물가의 차이를 만들어내는 주요 요인이라니 교육비를 부담하시는 부모님들의 노고에 감사해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