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창원·마산·진해시가 창원시로 통합됐다.

광역시급 기초자치단체가 탄생한 것이다.

하지만 지역갈등 해소와 지역민 화합을 통한 진정한 통합은 여전히 창원시의 과제다.

마·창·진은 마창진권이란 이름으로 통합이전부터 7대 대도시권으로 불려온 만큼 통합된 창원시의 규모 역시 광역시급이다.

108만 인구와 서울(605㎢)보다 넓은 737㎢의 면적뿐 아니라, 연간 예산 또한 2조 2천억원에 이른다.

지역내 총생산(GRDP)은 21조 7천억원으로 광역자치단체인 광주(20조 2천억원)와 대전(20조 8천억원)보다도 많다.

수출액도 2008년 기준으로 290억 달러를 기록해 부산(102억 달러), 대구(10억 달러), 광주(101억 달러), 대전(26억 달러)을 가뿐히 넘는다.

이번 통합은 역사적 의미도 지닌다.

마·창·진은 오래전부터 역사를 같이 해왔기 때문이다.

조선 태종 때 의창과 회원을 합해 창원부로 승격한 뒤로 줄곧 창원이라는 명칭을 써오다가 일제 강점기 창원부를 마산부로 개칭하면서 마산이라는 명칭을 써왔다.

이후 진해읍이 진해시로, 창원이 기계공업도시로서 성장하며 독립했다.

이번 통합으로 창원은 각 지자체의 짧은 역사를 뒤로하고 다시 합쳐졌다.

마·창·진의 통합이 지역사회나 정치권에서 수십 년 전부터 제기되어온 이유도, 생활권을 공유하며 오래도록 마·창·진이라는 용어를 써온 것도 이와 같은 역사적 이유 때문일 것이다.

기록적이고 역사적인 창원시의 통합이지만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바로 지역민의 진정한 화합이다.

창원시 통합은 오래전부터 논의돼왔지만 2008년에 이르러서야 진행이 급물살을 타며 본격적 통합 논의가 전개됐다. 이처럼 통합이 너무 빨리 추진되다보니 창원시는 통합 과정에서 많은 잡음을 냈다.

통합 지역선정에 대한 갈등, 지역별 이해득실에 따른 찬반론, 시청사 위치를 둘러싼 유치전, 통합시 명칭논쟁 등은 이와 같은 잡음의 대표적 사례다.

이들 잡음의 공통점은 지역 이기주의에 기초한 지역갈등이라는 점이다.

이젠 소규모의 지역 이기주의에 얽매인 소모적 지역갈등보다는 새로운 창원시를 위한 거시적 안목이 필요한 시점이다.

통합 창원시의 과제는 이뿐 아니다.

주민투표를 시행하지 않은 통합에 대한 반발, 시세(市勢)의 격차에서 오는 괴리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마산·진해 주민의 상대적 박탈감 등을 해결해 지역민의 화합을 이루는 것 또한 진정한 통합을 위한 선결과제다.

새로운 창원시 출범의 원년, 지금이야말로 행정통합을 바탕으로 역사를 되새겨 지역민이 하나가 되는 진정한 통합을 위해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할 때가 아닐까.

이동진 생글기자(경상고 2년) ndwor2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