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리우드 스타 몸값은 뚝

명품 패션업계도 한파

[Global Issue] 허리띠 졸라매는 할리우드
"어려운 시절에 제작비를 줄여야 하는 할리우드가 스타들에게 '노(no)'라고 얘기하기 시작했다." (월스트리트저널)

영화 한 편당 수천억원의 '몸값'을 챙기며 부와 명성을 과시하던 미국 할리우드 스타들도 경기침체의 한파는 비켜가지 못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3일 불황으로 영화제작사들이 경영난에 시달리면서 영화 흥행 여부에 상관없이 배우에게 거액의 출연료를 지급하던 계약 관행이 깨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 할리우드 영화계뿐만 아니라 화려함으로 승부하던 명품 패션업계도 불황에 비용 절감을 위해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 몸값 낮아진 할리우드 스타

지금까지 할리우드에선 영화가 흥행에 실패해 손익분기점을 넘지 못해도 배우에게 일정 비율의 출연료를 주는 게 일반적이었다.

이로 인해 영화 수입보다 많은 돈을 받는 배우들도 넘쳐났다.

에디 머피는 흥행에 참패한 영화 '데이브 속 데이브(Meet Dave)'를 통해 2000만달러를 받으며 '할리우드 몸값 신기록'을 깼다.

7000만달러가 투입된 이 영화는 미 박스오피스에서 그의 출연료보다 적은 1180만달러를 벌어들이는 데 그쳤다.

하지만 이 같은 기현상은 '사라진 전설'로 변해버렸다고 WSJ는 전했다.

경기 침체로 제작사들이 영화 제작 편수를 줄이고 비용 절감에 나서면서 부르는 게 값이던 톱스타의 몸값도 타격을 받고 있는 것.

대신 영화가 본전을 뽑은 후 매출이 발생하는 순간부터 스타들이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챙기는 새로운 형태의 계약이 확산되고 있다.

파라마운트영화사는 최근 '모닝글로리'에서 주연을 맡은 해리슨 포드와 '얼간이들을 위한 만찬'에 출연한 스티브 카렐에게 이 같은 방식으로 출연료를 지불했다.

'인디애나 존스'로 스타덤에 오른 해리슨 포드는 그가 평소 받던 금액보다 수백만달러 낮은 800만달러를 받는 데 그쳤다.

유니버설 스튜디오도 내년 개봉 예정인 '로빈후드'(가제)의 주연 배우 러셀 크로에게 같은 방식을 적용했다.

이를 통해 유니버설은 1억3000만달러의 제작비를 줄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니콜라스 케이지('마술사 실습생'), 짐 캐리('예스맨') 등도 이 같은 흐름에 동참했다.

⊙ 돈 줄 마르고, DVD도 안팔려

배우 짐 캐리와 엘렌 디제너러스 등의 매니저와 제작을 담당하는 에릭 골드는 "스타가 원하는 대로 돈을 받던 시대는 지나갔다"며 "경제가 어려우면 흥행 보증수표인 할리우드 유명 배우라도 소용이 없다"고 말했다.

불황 '무풍지대'이던 할리우드도 전 세계적 경기침체를 피해갈 순 없었다.

WSJ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본격화된 6개월전부터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월가가 금융위기로 불황 직격탄을 맞으면서 매년 수십억달러에 달하던 자금줄이 마른데다, 영화사의 주 수입원인 DVD 판매가 급감하면서 매출이 줄어들기 시작한 게 가장 큰 이유로 꼽혔다.

신문은 또 "유명세를 무기로 손쉽게 과실을 따먹던 할리우드 톱스타들의 호시절이 지나갔다"며 "배우들에게 어마어마한 돈을 대느라 어깨에 큰 짐을 졌던 영화제작사들이 고통을 덜기 위해 출연료 지급 계약을 파기하는 사례도 생겨나고 있다"고 실었다.

⊙ 패션 명품업계도 몸사리기

패션 명품업계도 불황을 피해갈 수 없었다.

지난 1월 미국의 고급 의류 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27.6% 줄었다.

마스터카드 산하 스펜딩펄스에 따르면 작년 11월과 12월 명품 판매는 크리스마스 시즌임에도 불구하고 작년 같은 기간보다 34% 줄었다.

패션업계의 이 같은 분위기는 매해 3월 초 뉴욕 런던 밀라노 파리에서 개최되는 추 · 동계(가을 · 겨울) 신상품 패션쇼에서도 여실히 드러났다.

밀라노의 경우 행사장 수가 작년 99곳에서 올해 79곳으로 줄었다.

바이어 수도 급감, 카발리나 돌체앤가바나의 경우 가장 앞줄에도 곳곳에 빈자리가 생길 정도였다.

심지어 지오프랑코 페레의 경우 패션쇼 개막 이틀 전에 파산보호신청을 해 맨 앞줄에 법정관리인을 앉히고 신상품 발표를 했다.

뉴욕의 경우 모든 디자이너들이 허리띠를 졸라매는 모습이다.

마틴 제이콥스의 경우 패션쇼 초대 손님을 작년의 2000명에서 900명으로 줄이기까지 했다.

드레스로 유명한 베라 왕도 행사장을 따로 만들지 않고 기존 매장에서 조촐하게 패션쇼를 열었다.

신규 브랜드인 앨리스 템퍼레이는 한발 더 나아가 비용을 아끼기 위해 패션쇼를 없애고 인터넷에 멀티미디어 패션 전시 동영상을 올리는 것으로 대신했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올봄 4대 패션쇼가 "두 경향으로 완전히 갈렸다"고 설명했다.

고객들이 부담없이 입을 수 있도록 실용적인 옷을 출시하거나 아니면 아예 판매를 포기하는 대신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기 위해 극단적으로 화려한 옷을 내놓는다는 것이다.

미국과 파리는 '실용'을 선택했다.

캘빈 클라인, 도나 카란, 랄프 로렌 모두 유행을 타지 않는 단순하면서도 차분한 디자인의 제품을 내놓았다.

랑방과 디오르는 아예 30세 이상의 여성을 겨냥해 노출이 적은 드레스를 내놓았을 정도다.

반면 런던과 밀라노의 상당수 브랜드는 화려함을 강조했다.

런던의 유명 디자이너 자일스 디컨의 경우 딱딱한 가죽 스커트나 커다란 모피 장식을 주렁주렁 단 옷을 내놨다.

이는 패션쇼에 출시한 의상이 아닌 같은 브랜드를 쓰는 화장품과 장신구를 팔기 위해서라고 가디언은 분석했다.

패션잡지 보그 영국판 2월호는 표지모델로 정상급 모델이나 배우, 화제의 인물을 쓴다는 관례를 깨고 여성 그룹 '걸 얼라우드' 소속 가수인 셰릴 콜을 등장시켰다.

럭셔리 잡지인 보그의 이미지를 무너뜨릴 수 있는 모험을 시도한 이유는 경기침체 때문이었다.

1월호 광고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0% 이상 줄었고 발행면수도 60페이지 이상 감소해 어떻게든 판매부수를 늘릴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스티븐 콜브 전미패션디자이너위원회 위원장은 이 같은 변화에 관해 "원래 패션쇼는 작은 전시회에서 출발했지 지금처럼 유명인을 맨앞에 앉히고 큰 행사를 벌이는 식은 아니었다"며 "현재 패션업계는 전혀 새로운 세계에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고 거기에 적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한국 연예계도 불황 한파

한국 연예계는 어떨까.

얼마 전까지만 해도 한국 톱스타들의 드라마 출연료는 '한류' 붐을 타고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방송계 안팎에서 출연료 상한선을 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올 정도였다.

최근 자료에 따르면 드라마 1회 출연에 송승헌 7000만원, 이정재 5000만원, 최지우 4800만원 등으로 집계됐다.

5년 전인 2002년만 해도 이들의 회당 출연료는 500만원 수준이었다.

하지만 이 같은 출연료 거품이 경기불황을 타고 조금씩 꺼지고 있다.

2~3년 전에 비해 스타들의 몸값이 30%가량 하향 조정 됐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드라마PD협회에 따르면 큰 인기를 모은 '태왕사신기' '베토벤바이러스' 등을 제작한 김종학프로덕션마저 지난해 74억원가량의 적자를 낸 것으로 조사됐다.

올리브나인 초록뱀미디어 등 다른 제작사들도 마찬가지다.

스타 스스로 출연료를 낮추거나 계약금 없이 출연 계약을 맺는 모습도 나타났다.

경기침체의 골이 깊어지면서 인기 배우들마다 '너무 높은 몸값을 부르면 오히려 망한다'는 승자의 저주를 의식하는 모습이다.

서기열 한국경제신문 기자 phil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