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두정치체제 구축되나

[Global Issue] 42세…러시아 최연소 대통령 '메드베데프 시대' 개막
'푸틴의 정치적 양아들'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제1부총리(42)가 새 러시아 대통령으로 당선됐다.

지난해 12월 메드베데프를 자신의 후계자로 지명했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메드베데프가 당선될 경우 자신은 총리로 남겠다고 밝힌 상태여서 사상 초유의 '쌍두(雙頭) 정치 체제'가 구축될 러시아의 향후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블라디미르 추로프 러시아 중앙선거관리위원회장은 지난 3일 "메드베데프가 70% 이상을 득표해 차기 대통령으로 당선됐다"고 발표했다.

공산당의 겐나디 주가노프는 17.76%, 자유민주당의 블라디미르 지리노브스키는 9.37%를 얻는 데 그쳤다.

이로써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최연소 대통령이 되는 메드베데프는 앞으로 4년간 러시아를 이끌게 된다.

대통령 취임식은 오는 5월7일 열릴 예정이다.

메드베데프는 이날 모스크바 붉은광장에서 열린 록 콘서트에 푸틴 대통령과 나란히 참석해 "나라의 안정을 확고히 하고 푸틴 대통령의 정책을 계속 이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푸틴 대통령은 "이번 선거는 헌법에 따라 엄격히 치러졌으며 메드베데프에게 축하를 보낸다"고 화답했다.

하지만 이번 대선은 부정선거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주가노프는 이타르타스 통신과의 회견에서 "러시아 전역에서 200여 건의 선거법 위반 사례가 접수됐다"며 "법원에 이의를 제기하겠다"고 말했다.

러시아 북부 야로슬라블 등 일부 지방의 국영공장과 병원은 직원들이 메드베데프 후보를 찍도록 강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선관위로부터 등록을 거부당해 대선에 불참했던 전(前) 체스 챔피언 가리 카스파로프(Kasparov)는 "흠잡을 데 없는 관권·부정선거였다"며 모스크바 등지에서 항의 집회를 열기로 했다.

AP통신은 "메드베데프와 푸틴 대통령이 서로 '좋은 경찰,나쁜 경찰(good cop, bad cop)'의 역할을 맡을 것"이라며 "푸틴이 '강한 러시아'이미지를 밀고 나가면서 미국과 서유럽에 강공책을 쓴다면 메드베데프는 민주주의와 사유재산 보호, 중산층 육성 및 언론 독립 등을 강조하며 이미지 쇄신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메드베데프는 푸틴이 복귀를 원한다면 당연히 자신의 대통령직도 포기할 사람"이라고 평가했다.

푸틴으로서는 이번 대선에서 자신의 충복을 권좌에 앉힘으로써 권력을 계속 유지해 나갈 발판을 마련했다는 것이다.

메드베데프는 1991년 공산주의 소련의 해체와 시장경제의 태동을 경험한 세대인 '486세대(40대ㆍ1980년대 학번ㆍ1960년대생)'로 분류된다.

1965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난 메드베데프는 1982년 상트페테르부르크대 법대에 진학한 이후 당시 소련 정부가 금지했던 딥 퍼플(Deep Purple), 블랙 사바스(Black Sabbath) 등 하드록 밴드에 심취했다.

그러면서도 콤소몰(공산주의청년동맹) 활동이나 콜호즈(집단농장) 지원 활동을 거부한 적이 없다.

이처럼 자유주의 성향이 강하면서도 국가 체제엔 철저히 순응하며 성장해 온 메드베데프였기에, 대통령이 된 그가 향후 어떤 정치적 행보를 나타낼지 예측하기 힘들다는 평가가 많다.

메드베데프의 인생은 1990년 상트페테르부르크대 법대 선배인 푸틴과 만나면서 바뀌었다.

당시 상트페테르부르크 시장 보좌관이던 푸틴은 법학박사 학위를 갓 취득한 고향·대학 13년 후배인 메드베데프에게 조언을 요청했다.

이후 푸틴이 총리가 되면 메드베데프는 내각 사무실장으로,대통령이 되면 크렘린(대통령궁) 행정실장으로 따라다니며 푸틴을 가까이서 보좌했다.

2000년 러시아의 거대 국영 가스회사인 '가즈프롬'의 이사회 의장직에 임명됐으며, 2005년 11월엔 제1부총리로 발탁됐다.

다시 말해 메드베데프는 푸틴의 충성스러운 가신(家臣)이었던 셈이다.

푸틴 대통령이 메드베데프를 후계자로 낙점한 것은 안정적인 후계구도를 꾸리겠다는 계산으로 풀이된다.

2000년부터 2기를 연임해온 푸틴은 헌법의 3기 연임 금지 조항으로 올 5월 퇴임한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차기 정권에서 메드베데프가 당선되면 자신이 총리를 맡겠다고 발표했었다.

현재 러시아의 권력 체계상 총리는 대통령보다 권한이 훨씬 약하다.

하지만 러시아 국민들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고 있는 푸틴 대통령으로선 총리직을 맡으면서 국정 전반에 막강한 영향을 행사할 것이란 예상이 지배적이다.

메드베데프도 "내년 대통령 선거에 나갈 준비가 돼 있다고 푸틴 대통령에게 밝힌 뒤 총리가 돼 줄 것을 부탁했다"며 "나는 푸틴의 권력을 유지시키는 것이 조국을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러시아를 이끌게 될 메드베데프에게 장밋빛 미래가 펼쳐질 것으로 보이진 않는다.

특히 경제 고성장 속에 불거진 물가 폭등세 잡기가 최대 과제다.

지난해 러시아 GDP(국내총생산) 성장률은 8.1%로 전년보다 0.7%포인트 높았다.

하지만 물가상승률은 11.9%에 이르며 러시아 정부 목표치(8%)를 크게 웃돌았다.

알렉산더 모로조프 HSBC은행 이코노미스트는 "2008년 러시아 경제성장률은 6.7%에 그치고 2010~2012년엔 성장세가 더욱 둔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러시아의 고질병으로 지적되는 지나친 관치(官治) 경제와 부패 문제 해결도 시급하다.

자유주의 성향의 메드베데프는 시장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는 최근 한 포럼에서 "국가의 경제 개입은 극히 제한돼야 한다"면서 국영기업의 민영화 추진 방침도 천명했다.

푸틴의 그림자에 가려 독자적인 권력 기반이 약하다는 점도 메드베데프에게는 큰 약점이다.

하지만 특정 정당이나 정파를 이끌어 본 경험이 없어 결국 푸틴에게 휘둘릴 가능성도 높다는 지적이다.

특히 러시아 최대 정파인 민족주의와 반(反) 서방 성향이 강한 '실로비키(정보기관·군·검찰 출신들)'의 견제가 상당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미아 한국경제신문 기자 mi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