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융회사 부실→생산·소비·투자 위축→미국 경기 둔화

→달러약세·유가 오름세 자극→한국 경제 영향→살림살이 빠듯해질 듯
[Focus]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내년이 더 문제라는데…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부실로 올해 내내 비틀거리던 세계 경제가 내년에 더 큰 위기를 맞을 것이란 전망이 이어지고 있다.

쓰나미(지진해일)처럼 시간이 지날수록 충격이 더 커진다는 암울한 관측이다.

위기가 한 번에 그치지 않고 파장이 커지는 이유는 뭘까.

한 국가나 기업의 부도라면 아무리 상처가 크더라도 한 번의 뒷수습이면 된다.

그러나 이번 위기는 다수가 이용하는 주택 대출에서 불거졌기 때문에 집값이 떨어질수록 부실 대출자가 더 양산되는 취약점을 안고 있다.

또 대출받은 지 2년 후부터 이자를 더 많이 내는 식으로 약정돼 내년 이자 부담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문제는 금융회사의 부실이 생산과 소비,투자 위축으로 이어져 실물 경제가 침체되는 시나리오다.

내년 서브프라임 위기가 증폭되면 적어도 미국 경제는 둔화(slowdown)가 아닌 침체(recession)를 겪을 수밖에 없다.

그러면 달러화 가치 약세와 유가 오름세를 자극하고 한국 경제,좁게는 각 가정 살림살이도 더 빠듯해질 것으로 보인다.

⊙ 암울한 미국 주택경기

미국 주택 경기는 아직 바닥이 아니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앨런 그린스펀 전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은 "이번 집값 하락은 과거 50년과 비교할 때 이례적으로 빠르다"면서도 "아직 집값이 바닥을 치진 않았다"고 말했다.

집값의 추가 하락으로 압류당하는 집이 늘어나면서 주택 경기는 더 싸늘해졌다.

지난 9월 미국 내 기존 주택 판매 실적을 연간으로 환산하면 504만채에 이른다.

내년 압류 주택 144만채가 쏟아지면 주택 경기가 살아나는 것은 더욱 기대하기 어렵다.

매물이 늘어날 뿐 아니라 집값도 더 떨어진다.

압류 주택은 시가보다 20~25% 싸게 경매에 부쳐지기 때문.말 그대로 악순환이다.

지금 상황에서 '주택경기 침체'는 바로 '신용 위기의 지속'을 뜻한다.

대부분의 서브프라임 모기지는 채권으로 만들어져 전 세계 금융회사와 연기금 등이 보유하고 있다.

모기지 부실이 늘어날수록 이들 채권의 부실도 커질 수밖에 없다.

지난 3분기(7~9월)에만 씨티그룹,메릴린치 등 금융회사들이 손실 처리한 금액은 500억달러(약 46조원)에 달한다.

도이체방크는 이 금액 규모가 내년엔 1300억달러(약 121조원)로 불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한 술 더 떠 3000억달러(약 279조원)에 이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 금리 높아지는 대출 조건이 문제

30년 만기 서브프라임 모기지를 이용할 경우 대개 대출받은 뒤 처음 2년간은 낮은 수준의 고정 금리를 적용받고 3년째부터 인상된 금리로 이자를 물어야 한다.

그래서 이를 '2~28년 대출'이라고도 부른다.

랜들 크로즈너 FRB 이사는 "최초 금리가 연 7%인 경우 3년째부터 연 9.5%로 2.5%포인트가량 오르게 된다"고 말한다.

주택 경기가 한창 좋을 때는 이런 변동금리 모기지가 인기를 끌었다.

낮은 금리로 돈을 빌려 집을 샀다가 집값이 오른 뒤 3년째 팔면 그만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제는 상황이 180도 바뀌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내년에 금리가 올라가는 변동금리 모기지가 3620억달러(약 336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했다.

더 큰 문제는 집이 팔리지 않는 상태에서 이자를 더 내야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내년에 대출 원리금을 제대로 갚지 못하는 채무 불이행자가 급속히 늘어나고 모기지를 채권 형태로 갖고 있는 금융회사들의 손실도 더욱 커질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 세계적으로 손실 가중

금융회사의 피해는 미국 회사에 국한된 게 아니다.

HSBC와 바클레이즈,스위스리 등 내로라하는 유럽 금융회사들도 이미 상당액을 손실 처리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유럽 금융회사들의 피해는 더 커질 것이란 전망도 있다.

유럽중앙은행(ECB)도 대규모 유동성을 추가 공급해야 할 상황이다.

영국 주택 소유자 수십만명이 모기지 부담으로 집을 내놓아야 할지 모를 '시한폭탄'이 작동하고 있다는 경고도 나왔다.

일본 금융회사들도 3분기에 상당 부분의 손실을 감수해야 했다.

주택경기 침체와 신용 위기는 지금도 미국 경제를 옥죄는 요인이다.

내년에 두 가지 상황이 더욱 나빠지면 미국 경제의 연착륙(경기 과열이 완만하게 진정되는 것)은 장담하기 어렵다.

미국 경제가 침체에 빠지지 않고 둔화되더라도 세계 경제는 몸살을 앓을 수밖에 없다.

당장 달러화가 더욱 약세를 보일 건 뻔하다.

달러화 자산(미국 주식,채권 등)에서 빠져 나온 돈이 원유 등 원자재로 몰리면서 유가는 상승 압력을 받게 된다.

한국은 원화 강세로 수출 경쟁력이 떨어지게 되고 유가 상승으로 물가 상승 압력도 피할 수 없다.

장규호 한국경제신문 기자 danielc@hankyung.com


--------------------------------------------------------------

고전하는 씨티그룹에 중동 국부펀드가 구세주(?)

[Focus]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내년이 더 문제라는데…
중동의 국부(國富) 펀드가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충격으로 위기를 맞은 세계 최대 금융회사 씨티그룹의 구세주로 나서 세계를 깜짝 놀라게 했다.

금융 자본의 흐름이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역류하는 새로운 세계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웅변해 주는 사례다.

씨티그룹은 75억달러(약 7조원)의 자금을 아랍에미리트(UAE)의 아부다비 투자청(ADIA)으로부터 긴급 수혈받기로 합의했다고 지난달 27일 발표했다.

ADIA는 75억달러를 투입하는 대신 씨티그룹의 지분 4.9%에 해당하는 전환사채를 받기로 했다.

시티가 지급해야할 전환사채 이자는 무려 연 11%에 달한다. 이는 쓰레기 채권이라는 정크본드(연 9%)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전환사채(CB·Convertible Bond)는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채권이어서 이를 인수하면 주식을 사들이는 것과 같은 효과가 생긴다.

로이터통신은 "ADIA가 전환사채를 모두 주식으로 바꿀 경우 알왈리드 빈 탈랄 사우디아라비아 왕자를 제치고 씨티그룹의 최대주주로 부상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씨티그룹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로 인해 최근 110억달러(약 10조원)에 달하는 자산을 손실 처리해야 했다.

자금난을 겪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증권회사들이 씨티그룹에 대한 투자 의견을 하향 조정했고 4만5000명을 감원할 것이라는 루머도 나돌았다.

경영 부실의 책임을 물어 찰스 프린스를 최고경영자 자리에서 밀어내긴 했지만 적당한 차기 수장을 찾는 데도 실패했다.

이런 점에서 ADIA의 투자는 씨티그룹에는 하늘이 내려 준 동아줄이나 다름없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은 "두바이 인터내셔널 캐피털(DIC)이 일본의 소니 지분을 인수한 데 이어 미국의 대표 기업인 씨티그룹까지 중동 지역 국부 펀드의 영향권 안에 들어갔다"며 "중동 투자자본의 세계시장 영향력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