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으름'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가? 이 질문에 학생들은 '부정적'으로 답변한다.
'게으름=부정적'의 공식은 상식이기 때문이다.
우리 민족이 '부지런함'으로 경제성장을 이룩했다는 논리가 더해지면 그 상식은 더 공고해진다.
효율성만을 추구하는 사회가 '게으름'을 공공의 적으로 만들었다.
'게으름'은 사회적 가치인 합리성과 효율성 추구에 도움이 안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게으름'을 이런 의미로만 봐야 하는가?
다음의 글을 보자.
"21세기를 사는 현대인들에게 점심 식사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
서글프게도 점심은 아주 현실적인 용도의 의미로 축소되었다.
한가한 식사라는 전통은 새로운 노동 윤리에 무참히 패하고 말았다.
단시간 내에 배고픔을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수단으로써 샌드위치가 급부상했다.
그리하여 사람 사이의 사귐과 즐거움이란 점심 메뉴에서 사라져버렸다.
우리는 점심시간을 돌려달라고 요구해야 한다.
제대로 된 점심이란 육체적으로,그리고 정신적으로도 영양을 공급하는 것이어야 한다.
편안하고 유쾌하며 흥겨운 교제의 장,그런 점심시간이야말로 게으름꾼을 위한 것이다."(콤 호지킨슨,'게으름을 떳떳하게 즐기는 법')
게으름의 점심시간은 인간적인 정을 느끼는 결과를 가져다준다.
이른바 게으름의 단점을 장점으로 바꾼 창의적인 사고이다.
현대 사회구조의 핵인 '효율성'에 초점을 맞춘다면 '게으른 점심'은 용납하기 힘들다.
현대 사회의 시스템은 목적 달성을 위한 효율성이 절대 기준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관점을 바꾸어 인간의 정을 회복하는 방법은 다름 아닌 '게으름'에 있다.
여기서 게으름은 사전적 의미를 확대 재해석하고 현대 사회의 특징에 적용함으로써 얻은 긍정적 가치이다.
게으름의 본질을 더욱 확산시켜보자.요즘 재택근무를 하는 회사가 늘어나고 있다.
재택근무는 집에서 근무하기 때문에 많은 자율성이 부여된다.
자료에 의하면 정신학적으로 재택근무는 창의력을 많이 증가시킨다고 한다.
게으름은 휴식이란 이름으로 인간들에게 많은 정신적 자양분을 제공하여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다.
게으름을 통해 창의적 결과를 얻으려는 신개념의 직장이 재택근무인 셈이다.
직장인의 휴가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언론에 따르면 요즘 대기업들은 5년마다 1개월의 안식휴가를 주는 곳도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인 회사가 10년 이상 근무해야 안식휴가를 주는 것과 대조적으로 대기업은 직원의 창의성을 키우기 위해 안식휴가라는 신개념을 도입한 것이다.
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게으름을 택한 셈이다.
김정운 명지대 교수(여가경영학과)가 "휴식과 재미가 창조성의 기반"이라며 "한국인은 '일벌레 콤플렉스'에서 벗어나야 성공할 수 있다"고 강조한 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휴식과 재미는 본질적으로 게으름과 연결된다 해도 무리가 없다.
목적을 위한 효율성과 합리성의 강조는 결과에 과정을 종속하게 만든다.
효율성만을 강조하는 회사라면 회사원에게 지루함만 가중시킬 뿐이다.
그러나 게으름은 규칙과 기계적인 반복에서 우리를 탈출시켜 준다.
또한 게으름은 외부의 감시를 차단시키고 자신의 자율성을 극대화시켜 준다.
더 나아가 합리성에 가려진 우리 자신의 정체성을 찾는 요소로도 작용한다.
이른바 게으름의 미학이다.
우리는 '일벌레''근면성' 등을 성공을 위한 최고의 가치로 강요받았다.
특히 과거 산업사회에서는 더욱 그랬다.
생산량의 확대를 위해 야간근무를 수행할 일벌레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는 인간의 정신적 황폐화였다.
그러나 정보화 사회에서는 이런 가치들이 깨져야 한다.
인간의 정신적 공간 확대를 위해서는 과감한 '게으름'이 필요하다.
게으름은 직장에서 휴가로,여행으로,안식년의 이름으로 구체화된다.
수험생들은 부정적 가치를 긍정적 가치로 바꾸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은 인간 삶의 본질을 찾기 위한 좋은 방법이다.
특히 통합논술에서는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사고능력을 요구한다.
기존의 가치를 신선한 논리로 허물고 창의적 대안을 제시한다면 어떨까? 채점 교수들이 감동할 것이다.
다른 수험생들과 차별화된 답안이기 때문이다.
'게으름'을 '진정한 삶의 맛'으로 가치를 변화시켜 보듯 다른 대상들도 그 가치를 새롭게 변화시켜 보자.우리가 찾지 못했던 삶의 진실을 발견할 수 있다.
'게으름=부정적'의 공식은 상식이기 때문이다.
우리 민족이 '부지런함'으로 경제성장을 이룩했다는 논리가 더해지면 그 상식은 더 공고해진다.
효율성만을 추구하는 사회가 '게으름'을 공공의 적으로 만들었다.
'게으름'은 사회적 가치인 합리성과 효율성 추구에 도움이 안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게으름'을 이런 의미로만 봐야 하는가?
다음의 글을 보자.
"21세기를 사는 현대인들에게 점심 식사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
서글프게도 점심은 아주 현실적인 용도의 의미로 축소되었다.
한가한 식사라는 전통은 새로운 노동 윤리에 무참히 패하고 말았다.
단시간 내에 배고픔을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수단으로써 샌드위치가 급부상했다.
그리하여 사람 사이의 사귐과 즐거움이란 점심 메뉴에서 사라져버렸다.
우리는 점심시간을 돌려달라고 요구해야 한다.
제대로 된 점심이란 육체적으로,그리고 정신적으로도 영양을 공급하는 것이어야 한다.
편안하고 유쾌하며 흥겨운 교제의 장,그런 점심시간이야말로 게으름꾼을 위한 것이다."(콤 호지킨슨,'게으름을 떳떳하게 즐기는 법')
게으름의 점심시간은 인간적인 정을 느끼는 결과를 가져다준다.
이른바 게으름의 단점을 장점으로 바꾼 창의적인 사고이다.
현대 사회구조의 핵인 '효율성'에 초점을 맞춘다면 '게으른 점심'은 용납하기 힘들다.
현대 사회의 시스템은 목적 달성을 위한 효율성이 절대 기준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관점을 바꾸어 인간의 정을 회복하는 방법은 다름 아닌 '게으름'에 있다.
여기서 게으름은 사전적 의미를 확대 재해석하고 현대 사회의 특징에 적용함으로써 얻은 긍정적 가치이다.
게으름의 본질을 더욱 확산시켜보자.요즘 재택근무를 하는 회사가 늘어나고 있다.
재택근무는 집에서 근무하기 때문에 많은 자율성이 부여된다.
자료에 의하면 정신학적으로 재택근무는 창의력을 많이 증가시킨다고 한다.
게으름은 휴식이란 이름으로 인간들에게 많은 정신적 자양분을 제공하여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다.
게으름을 통해 창의적 결과를 얻으려는 신개념의 직장이 재택근무인 셈이다.
직장인의 휴가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언론에 따르면 요즘 대기업들은 5년마다 1개월의 안식휴가를 주는 곳도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인 회사가 10년 이상 근무해야 안식휴가를 주는 것과 대조적으로 대기업은 직원의 창의성을 키우기 위해 안식휴가라는 신개념을 도입한 것이다.
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게으름을 택한 셈이다.
김정운 명지대 교수(여가경영학과)가 "휴식과 재미가 창조성의 기반"이라며 "한국인은 '일벌레 콤플렉스'에서 벗어나야 성공할 수 있다"고 강조한 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휴식과 재미는 본질적으로 게으름과 연결된다 해도 무리가 없다.
목적을 위한 효율성과 합리성의 강조는 결과에 과정을 종속하게 만든다.
효율성만을 강조하는 회사라면 회사원에게 지루함만 가중시킬 뿐이다.
그러나 게으름은 규칙과 기계적인 반복에서 우리를 탈출시켜 준다.
또한 게으름은 외부의 감시를 차단시키고 자신의 자율성을 극대화시켜 준다.
더 나아가 합리성에 가려진 우리 자신의 정체성을 찾는 요소로도 작용한다.
이른바 게으름의 미학이다.
우리는 '일벌레''근면성' 등을 성공을 위한 최고의 가치로 강요받았다.
특히 과거 산업사회에서는 더욱 그랬다.
생산량의 확대를 위해 야간근무를 수행할 일벌레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는 인간의 정신적 황폐화였다.
그러나 정보화 사회에서는 이런 가치들이 깨져야 한다.
인간의 정신적 공간 확대를 위해서는 과감한 '게으름'이 필요하다.
게으름은 직장에서 휴가로,여행으로,안식년의 이름으로 구체화된다.
수험생들은 부정적 가치를 긍정적 가치로 바꾸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은 인간 삶의 본질을 찾기 위한 좋은 방법이다.
특히 통합논술에서는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사고능력을 요구한다.
기존의 가치를 신선한 논리로 허물고 창의적 대안을 제시한다면 어떨까? 채점 교수들이 감동할 것이다.
다른 수험생들과 차별화된 답안이기 때문이다.
'게으름'을 '진정한 삶의 맛'으로 가치를 변화시켜 보듯 다른 대상들도 그 가치를 새롭게 변화시켜 보자.우리가 찾지 못했던 삶의 진실을 발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