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주가수익비율)로 파악하면 OK

A기업의 적정주가가 5000원인데 1만원에 거래되면 비싼 것

하지만 15만원 정도가 적정주가인데 10만원에 거래되면 싼 주식

[Make Money] 주가가 싼지 비싼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한국 증시는 이제 더 이상 '싼 시장'이 아니다."

최근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이 공격적인 매도에 나선 이유로 설명되는 말이다. 증시나 주가가 싸다는 것은 무엇일까. 5000원 하는 A기업의 주가와 10만원 하는 B기업의 주가를 단순 비교해 A기업의 주가가 싸다고 할 수 있는 걸까? 이번에는 주가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투자지표의 하나인 PER(읽을 때는 '퍼' 또는 '피이아르')에 대해 알아보자.

◆가치투자의 척도 PER(주가수익비율)

주가가 1만원이라서 싸고 10만원이라고 해서 비싸다고 말할 수 없다. 주가는 기업의 현재와 미래가치를 반영한다. 실적이나 기업가치를 감안해 한 기업의 적정주가가 5000원인데 1만원에 거래되면 비싼 것이다. 하지만 15만원 정도가 적정주가인데 10만원에 거래되면 이건 당연히 싼 주식이다.

주가는 또 상대적인 것이다. 상대적 기업가치는 기업 이익이나 매출액 등을 이용해 평가한다. 기업이 돈을 많이 벌면 주주들에게 배당을 많이 할 수 있고 회사가 사업을 접는다고 하더라도 주주들에게 돌아가는 몫이 커 그만큼 높은 주가에 거래된다. 그래서 기업 순이익이 많으면 주가는 일반적으로 높게 형성된다. 하지만 꼭 그런 것은 아니다. 기업의 기본 밑천이라 할 수 있는 주식수(자본금)를 감안해야 한다. 자본금 100억원짜리 회사가 1년에 100억원을 버는 것과 1000억원짜리 회사가 100억원을 버는 것은 다르다.

이를 감안하기 위해 주당순이익(EPS)을 쓴다. 기업이 한 해 동안 벌어들인 수익을 주식수로 나눈 것이다. 주당순이익을 활용해 주가 수준을 살펴보고 투자지표로 쓰는 게 PER다. PER는 현재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이다. 주가가 미래 기업가치를 반영하는 만큼 전문가들은 PER를 구하는 데 있어 기업의 해당 연도나 내년 실적 전망치를 기초로 하는 게 일반적이다.

PER는 기업이 벌어들이고 있는 한 단위의 이익에 대해 주식시장의 투자자들이 얼마의 가치로 평가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주당 순이익이 1000원이고 주가가 1만원이라면 PER는 10배가 된다. 이는 1단위 수익을 내는 기업에 대해 투자자들이 10배인 10단위의 가치로 평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기업이나 업종,국가마다 PER가 다르다는 것은 1단위 수익에 대한 질적 평가나 신뢰도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PER의 활용

투자자들은 개별 주식의 PER를 증시 전체의 평균 PER나 업종 평균 또는 경쟁 업체의 PER와 비교해 주가의 적정성을 평가한다. '저(低)PER주'란 기업 수익은 좋은데 상대적으로 주식시장에서 저평가된 주식을 말한다.

신세계와 롯데쇼핑은 유통 업종 내 쌍두마차이다. 신세계의 PER가 20배인데 비해 롯데쇼핑이 10배에 거래된다면 기업 간 차이가 있긴 하지만 어느 한 쪽이 고평가돼 있거나 저평가돼 있다고 할 수 있다. 또는 업종 평균 PER와 비교하기도 한다. 유통 업종 평균 PER가 15배라면 신세계는 고평가,롯데쇼핑은 저평가된 상태라고 한다. 그만큼 롯데쇼핑은 주가가 오를 가능성이 크가는 의미다.

PER는 국가 간 증시를 비교하는 데도 쓰인다. 한국 증시 PER가 13.1배라면 평균적으로 상장 기업 주당순이익의 13.1배 수준에서 주가가 형성돼 있다는 의미다. 각 국가들의 평균 PER는 서로 다르다. 선진국시장은 신흥시장이나 후진국 시장에 비해 높은 PER가 적용된다. 기업 회계의 투명성을 비롯해 기업 지배구조나 주주 중시 경영 등 주가 상승에 긍정적인 여건이 마련돼 있기 때문이다. 또 기업 실적이 한 해는 너무 좋고 그 다음 해는 너무 나쁘고 해 기업 실적의 예측이 어렵거나 변동성이 너무 크면 주가가 높게 형성되기 어렵다. 주식은 불확실성을 가장 싫어해 변동성이 높은 증시는 PER가 낮을 수밖에 없다. 다만 신흥시장에서도 성장성이 높은 중국이나 인도 증시는 '꿈을 먹고 산다'는 주식의 특성상 PER가 높은 수준에서 거래되기도 한다. 기업의 실적 급등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에 높게 반영되는 것이다.

서정환 한국경제신문 기자 ceoseo@hankyung.com

--------------------------------------------------------

외국인들 왜 "한국 주식이 더 이상 싸지 않다"고 말할까

한국을 비롯해 중국 인도 대만 등을 신흥시장(이머징마켓,emerging market)이라고 부른다. 지난 7월 말 기준 신흥시장 PER는 평균 14.1배였다. 이는 높은 성장성이 기대되는 중국이나 인도 증시가 각각 20.9배 18.7배로 상대적으로 높은 PER 수준에서 거래되면서 신흥시장의 평균 PER를 끌어올린 측면이 크다. 이들 두 나라를 제외하면 대만은 13.5배 수준이며 멕시코(13.8배),한국(13.1배),러시아(11.9배),남아프리카공화국(11.2배),브라질(9.6배) 등은 평균치 아래다.

이에 비해 선진시장 PER는 평균 14.6배로 신흥시장 평균보다 높다. 홍콩은 18.2배이며 일본은 17.2배,호주와 미국도 각각 14.8배,14.7배에 달한다. 독일(12.8배),프랑스(12.4배),영국(12.0배) 등은 한국 PER보다 낮다. 우리나라 시장이 선진국 시장 대접을 받기 시작했다는 말이 이래서 나오고 있는 것이다. 또 외국인들로부터 한국이 더 이상 저평가 시장이 아니다는 평가를 받는 이유이기도 하다.

한국의 PER는 1990년대 최저 8배에서 20배까지 폭넓게 출렁거렸다. 1990년대에는 높은 경제 성장률을 유지하면서 성장성이 부각돼 높은 PER를 적용받기도 했다. 그러나 2000년대 접어들면서 PER는 6~11배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움직였다. 올 4월에는 2000년 이후 고점인 11배를 넘어섰고 한때 14배 수준까지 높아졌다. 김성주 대우증권 투자전략파트장은 "국내 증시의 기업 지배구조 개선과 변동성 축소 등으로 선진국 수준에 육박하는 PER를 적용받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