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아버지께서 귀가 먹었는지 말을 잘 못 알아들으시네요."
이런 말을 해놓고 속으로 '버릇없는 말 아닌가'하고 뜨끔해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그래서 다음엔 이렇게 말해 본다.
"할아버지께서 귀가 잡수셨는지 말을 잘 못 알아들으시네요."
우리말은 존대법이 극도로 발달돼 있다.
그 방법도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많아,이것이 우리말을 까다롭게 하는 요인 중 하나이기도 하다.
높임의 가장 흔한 방법은 주격조사 '가/이' 대신에 '께서'를 쓰고,서술어를 '-습니다'나 '-세요'로 하는 것이다.
단어 자체를 바꾸기도 하는데,가령 '자다→주무시다,있다→계시다,아프다→편찮으시다,죽다→돌아가시다,주다→드리다,데리고→모시고,말→말씀,밥→진지,생일→생신' 따위처럼 높임말을 사용하기도 한다.
또 스스로를 낮춤으로써 상대를 높이는 방법도 있다.
'나는' 할 것을 '저는'이라 하고,'물어보다' 대신에 '여쭤보다','보았다' 대신에 '뵈었다'라고 하는 게 그런 것들이다.
'먹다(食)'를 '잡수시다'라고 하는 것은 높임말을 써서 존대를 나타내는 방법이다.
그런데 '귀가 먹다(또는 귀를 먹다)'란 말을 '귀가(를) 잡수시다'라고 하면 공손함이 지나쳐 망발이 된다.
'귀가 먹다'라고 할 때의 '먹다'는 흔히 알고 있는 '食'의 개념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때의 '먹다'는 '막히다(塞)'란 뜻의 옛말이다.
'귀나 코가 막혀서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다'란 뜻이다.
지금은 이런 뜻으로 '먹다'란 말이 단독으로 잘 쓰이지 않지만 '귀먹다' '귀머거리' 등의 합성어에서 그 쓰임새가 화석처럼 남아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웃어른에게 말한다고 '귀가 잡수셨다'라고 하는 것은 '먹다'를 '食'의 개념으로만 본 데서 온 잘못이다.
이때는 '귀가 먹으셨다'라고 하는 게 바른 존대법이다.
쓰임새가 별로 없다 보니 단어의 용법도 엄격하지 않아 앞에 오는 조사가 '-을'이나 '-가'가 혼용되기도 한다.
'귀를 먹었는지' 해도 되고,'귀가 먹었는지' 해도 된다는 얘기다.
이런 구(句)의 쓰임새는 시간이 지나면서 조사가 떨어져 나가 '귀먹다'란 단어를 만들어 냈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간 게 '가는귀먹다'이다.
작은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상태를 나타내는데 이때 '가는'은 '가늘다(細)'의 뜻이다.
이 말 역시 한 단어(합성어)이다.
따라서 모두 붙여 쓴다.
이를 구로 생각해 '가는 귀 먹다'처럼 띄어서 쓰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런 종류에는 '눈여겨보다(주의 깊게 잘 살펴보다)''큰코다치다(크게 봉변을 당하거나 무안을 당하다)' 따위가 있다.
이들은 합성어로서 한 단어가 된 말이므로 띄어 쓰지 않는다.
'(밥을)먹다'를 높이는 말에는 '들다,자시다,잡수다,잡수시다,잡숫다'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이 중 '자시다'와 '잡수다'는 '들다'보다 존대의 정도가 높은 말이며,'잡수시다'는 '잡수다'에 존칭 선어말어미 '-시'를 더한 것이다.
따라서 '잡수다'를 한 번 더 높인 말이다.
'잡숫다'는 '잡수시다'의 준말이다.
이를 정리하면 '먹다<들다<자시다<잡수다<잡수시다=잡숫다(준말)'의 순으로 존대의 정도가 높아진다.
'저희 나라'란 말도 지나치게 겸손해서 오히려 그릇된 표현이 된 경우다.
'저희'는 '우리'의 낮춤말이다.
스스로를 낮춤으로써 상대에게 존대를 나타내는 수단이다.
그런데 '나라'는 낮출 수 있는 대상이 아니므로 우리 국민끼리 어떠한 경우에도 '저희 나라'란 말을 쓰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
언제나 '우리나라'라고 해야 한다.
더구나 외국인에게 무심코 이런 말을 쓰면 자존심을 버리는 일이므로 삼가야 할 표현이다.
한국경제신문 오피니언부 기자 hymt4@hankyung.com
이런 말을 해놓고 속으로 '버릇없는 말 아닌가'하고 뜨끔해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그래서 다음엔 이렇게 말해 본다.
"할아버지께서 귀가 잡수셨는지 말을 잘 못 알아들으시네요."
우리말은 존대법이 극도로 발달돼 있다.
그 방법도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많아,이것이 우리말을 까다롭게 하는 요인 중 하나이기도 하다.
높임의 가장 흔한 방법은 주격조사 '가/이' 대신에 '께서'를 쓰고,서술어를 '-습니다'나 '-세요'로 하는 것이다.
단어 자체를 바꾸기도 하는데,가령 '자다→주무시다,있다→계시다,아프다→편찮으시다,죽다→돌아가시다,주다→드리다,데리고→모시고,말→말씀,밥→진지,생일→생신' 따위처럼 높임말을 사용하기도 한다.
또 스스로를 낮춤으로써 상대를 높이는 방법도 있다.
'나는' 할 것을 '저는'이라 하고,'물어보다' 대신에 '여쭤보다','보았다' 대신에 '뵈었다'라고 하는 게 그런 것들이다.
'먹다(食)'를 '잡수시다'라고 하는 것은 높임말을 써서 존대를 나타내는 방법이다.
그런데 '귀가 먹다(또는 귀를 먹다)'란 말을 '귀가(를) 잡수시다'라고 하면 공손함이 지나쳐 망발이 된다.
'귀가 먹다'라고 할 때의 '먹다'는 흔히 알고 있는 '食'의 개념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때의 '먹다'는 '막히다(塞)'란 뜻의 옛말이다.
'귀나 코가 막혀서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다'란 뜻이다.
지금은 이런 뜻으로 '먹다'란 말이 단독으로 잘 쓰이지 않지만 '귀먹다' '귀머거리' 등의 합성어에서 그 쓰임새가 화석처럼 남아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웃어른에게 말한다고 '귀가 잡수셨다'라고 하는 것은 '먹다'를 '食'의 개념으로만 본 데서 온 잘못이다.
이때는 '귀가 먹으셨다'라고 하는 게 바른 존대법이다.
쓰임새가 별로 없다 보니 단어의 용법도 엄격하지 않아 앞에 오는 조사가 '-을'이나 '-가'가 혼용되기도 한다.
'귀를 먹었는지' 해도 되고,'귀가 먹었는지' 해도 된다는 얘기다.
이런 구(句)의 쓰임새는 시간이 지나면서 조사가 떨어져 나가 '귀먹다'란 단어를 만들어 냈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간 게 '가는귀먹다'이다.
작은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상태를 나타내는데 이때 '가는'은 '가늘다(細)'의 뜻이다.
이 말 역시 한 단어(합성어)이다.
따라서 모두 붙여 쓴다.
이를 구로 생각해 '가는 귀 먹다'처럼 띄어서 쓰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런 종류에는 '눈여겨보다(주의 깊게 잘 살펴보다)''큰코다치다(크게 봉변을 당하거나 무안을 당하다)' 따위가 있다.
이들은 합성어로서 한 단어가 된 말이므로 띄어 쓰지 않는다.
'(밥을)먹다'를 높이는 말에는 '들다,자시다,잡수다,잡수시다,잡숫다'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이 중 '자시다'와 '잡수다'는 '들다'보다 존대의 정도가 높은 말이며,'잡수시다'는 '잡수다'에 존칭 선어말어미 '-시'를 더한 것이다.
따라서 '잡수다'를 한 번 더 높인 말이다.
'잡숫다'는 '잡수시다'의 준말이다.
이를 정리하면 '먹다<들다<자시다<잡수다<잡수시다=잡숫다(준말)'의 순으로 존대의 정도가 높아진다.
'저희 나라'란 말도 지나치게 겸손해서 오히려 그릇된 표현이 된 경우다.
'저희'는 '우리'의 낮춤말이다.
스스로를 낮춤으로써 상대에게 존대를 나타내는 수단이다.
그런데 '나라'는 낮출 수 있는 대상이 아니므로 우리 국민끼리 어떠한 경우에도 '저희 나라'란 말을 쓰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
언제나 '우리나라'라고 해야 한다.
더구나 외국인에게 무심코 이런 말을 쓰면 자존심을 버리는 일이므로 삼가야 할 표현이다.
한국경제신문 오피니언부 기자 hymt4@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