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낼부터 열공모드 오링 므흣해요."

국립국어원의 캠페인에서 10대 여학생이 한 말이다. 과연 무슨 말일까? 캠페인에서 아나운서는 "내일부터는 공부 열심히 하려고요"라고 '통역'을 해준다. 우리말 사이에서도 '통역'이 필요한 때가 올지 모른다는 말과 함께 캠페인 광고는 끝난다.

이렇듯 10대 청소년들이 사용하는 언어가 갈수록 짧아지고 의미도 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안녕하세요'를 '하이루'로,'이렇게 쓴다'를 '일케 쓴다'라고 사용하는 것은 오래 전 얘기. 요즘은 자음만을 이용해 글씨를 쓰는가 하면 다른 나라의 유행문화가 10대 청소년들에게 무분별하게 받아들여져 사용되고 있는 경우도 있다.

먼저 접두사를 새로 만들어 의미를 강조하는 '신형접두사'의 등장에 대해 살펴보면 대표적인 예로 '캐-'를 앞에 붙인 '캐청순(매우 청순하다)' '캐공감(매우 공감한다)'을 들 수 있다. 또 '나이 어리자나(나이가 어리잖아)'와 같이 조사가 생략되거나 '나올 수 있는 사람 손(들어보세요)!'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과 같이 내용이 생략된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ㅇㅇ'은 긍정을 뜻하는 '응','ㄱㅅㄱㅅ'는 '감사합니다'를 뜻하는데 자음만을 이용한 경우다.

일본의 유행 문화가 10대 청소년들의 언어로 자리 잡은 경우도 적지 않다. 알파벳으로 이뤄진 단어지만 사실 단어가 아닌 'OTL'은 원래 일본 네티즌들 사이에 유행하던 이모티콘으로 'O'는 머리를,'T'는 몸과 팔을,'L'은 다리를 형상화해 만들어 졌는데 '좌절'의 의미로 널리 쓰이고 있다. '간지 나다(멋있다)' 역시 일본어 '간지(멋)'에서 나온 말이다.

이처럼 생소한 단어들이 사용됨으로써 같은 세대끼리 통하는 단어가 다른 세대에는 어렵게 느껴지기도 한다. '랭기지 디바이드(Language Divide)'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 가족 간 대화가 어려워지고 세대 간 대화가 불가능해지는 양상까지 나타나며 계층 간 분화는 물론 의사소통의 장애까지 발생하고 있다. 청소년들이란 본래 기존 질서에 순응하기보다 무언가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나가는 존재라는 점에서 신조어를 만들 수 있다고 본다.

강지혜양(순천 강남여고 1년)은 "빠르게 변하는 시대에 생성되는 언어들은 보통 10대들이 사용하는데 자신도 이런 언어들을 사용함으로써 소속감이 생긴다"고 말했다. 하지만 우리말이 가지고 있는 특성들과 예절을 지키려는 마음이 온데간데 없음은 물론 기성세대와 너무 이질적인 언어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된다. 청소년들은 언어가 점점 파괴돼 간다는 점을 인지하고 특히 '유행에 적응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글자를 파괴시킨 청소년들은 이 점에 대해 깊이 반성해야 할 것이다.

이는 어른들도 마찬가지. 특히 교육당국은 '아름다운 우리말'이 교실에서 들리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 청소년들의 언어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방송도 부적절한 언어의 사용과 무분별한 자막의 남용을 자제해야 한다. KBS 조수빈 아나운서는 "학교에서 국어 교육을 더욱 강화하는 방법이 있지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10대 스스로 아름다운 우리말에 대해 자부심을 갖고 올바른 언어를 쓰려는 노력을 하는 것"이라고 지적한다.

정민선 생글기자 (순천 강남여고1년) haraceolivi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