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니 블레어 영국 총리는 최근 캐럴린 플린트 보건부 차관을 피트니스 장관으로 임명한다고 발표했다.

보건부 차관과 피트니스 장관을 겸임하게 된 플린트는 "2012년 런던 올림픽이 열릴 때까지 모든 정부 부서를 총괄해 전 국민의 군살을 빼고 체력을 기르는 캠페인을 국가 차원에서 펼쳐나가겠다"고 선언했다.

○영국의 심각한 비만 증가

영국이 이처럼 비만과의 전쟁에서 나선 것은 영국의 비만 증가율이 심상치 않기 때문이다.

영국은 2003년 이래 성인 비만 증가율이 무려 38%나 됐다.

각종 보건 관련 보고서들은 이런 상황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2010년까지 남성의 3분의 1이 비만 상태에 놓일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또 청소년들도 약 20%가 만성 비만 상태에 빠질 것이라고 전했다.

게다가 가뜩이나 재정 부족에 허덕이는 영국 국민건강보험이 지금도 매년 수십억 파운드 이상을 비만 관련 질병에 지출하고 있는데 비만 인구가 더욱 늘면 건강보험에 미칠 부담도 상상을 초월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에 영국 정부는 피트니스 장관 신설 외에도 패스트푸드와 청량음료에 대해 비만세(fat tax)를 도입하고,정크푸드의 방송 광고 규제도 추진한다.

또 생활 속의 작은 습관을 바꿔 질병을 예방하자는 '작은 변화,큰 차이'란 구호 아래 승강기 대신 계단 이용하기,체력단련 시설 이용하기,과일과 야채 많이 섭취하기 등의 캠페인도 벌이고 있다.

○'비만 천국' 미국

비만 하면 빼놓을 수 없는 나라가 미국이다.

사실 비만과의 전쟁은 2003년 미국에서 먼저 시작됐다.

미국은 이미 2001년 국민의 61%가 과체중 상태로 성인 비만인구가 30%를 돌파한 상태였다.

미국의 최대 식품업체 크래프트는 비만을 방지하는 조리법을 개발해 과자에 적용하겠다고 선언했고,패스트푸드업체 맥도날드는 '생과일'을 새로운 메뉴로 추가하며 정크푸드의 이미지 변신을 꾀하기도 했다.

포드자동차 펩시 하니웰 등 업종을 불문하고 다양한 미국 기업들이 비만과의 전쟁에 동참했다.

미국의 대기업 로비단체인 '건강에 대한 워싱턴 비즈니스 그룹'은 포드자동차 등 175개 기업이 참여하는 '비만 비용과 건강 효과에 대한 연구소'를 설립하기도 했다.

미국의학협회(AMA)는 올 6월 연례 총회에서 청량음료 등에 첨가되는 감미료에 비만세를 부과해 국민건강 캠페인 비용으로 사용하는 방안을 연방 정부에 요구했다.

미국의학협회는 더 나아가 비만세 적용 범위를 기존 패스트푸드와 탄산음료에 한정하지 말고 감미료가 들어가는 케첩 등 모든 가공식품 제조업체에 대해서도 세금을 부과할 것을 주장했다.

○비만 전쟁엔 국적 불문

비만 퇴치를 위한 노력은 유럽 전역으로도 퍼지고 있다.

프랑스는 지난해 9월 공립학교에 청량음료와 고열량 과자를 파는 자동판매기 설치를 금지하고 소비자를 현혹하는 비만 식품의 광고까지 전면 금지했다.

지난해 7월 국가 비만관리 대책안을 낸 스웨덴 정부도 정크푸드의 TV 광고를 금지하는 등 유럽 전역에서는 자동판매기 설치가 금지되고 학교 식당의 인스턴트 식품 판매 등도 금지하는 움직임이 늘어나고 있다.

이 같은 세계적인 노력들은 비만 문제가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는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한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인구 65억명 가운데 현재 10억명이 과체중으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비만을 세계에서 가장 빨리 확산되는 질병으로 분류하고 있으며,호주와 뉴질랜드는 비만 퇴치를 국가 보건정책의 최우선 목표로 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안정락 한국경제신문 국제부 기자 jran@hankyung.com

◆비만도=자신의 몸무게(kg)를 표준체중((신장(cm)-100)×0.9)으로 나눈 뒤 100을 곱해 나온 수치(%). 90~110% 미만은 정상,110∼120% 미만은 과체중,120% 이상은 비만으로 분류.

[ 우리도 심각...국민 3명중 1명 '비만' ]

한국도 비만 문제에선 예외가 아니다.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비만 인구는 전체의 31.8%로 지난 10여년 동안 1.6배로 증가했다.

소아 비만의 경우 최근 3년간 2배나 늘어나는 등 비만 문제가 이미 심각한 상황에 이르렀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부터 비만 퇴치를 위한 움직임이 보건소 기업 대학들을 중심으로 본격화하고 있다.

인터컨티넨탈 호텔의 경우 지난해 직원들을 상대로 '비만,살을 빼 줍니다'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회사측은 먼저 비만도 125%가 넘는 직원 100여명을 대상으로 프로젝트를 실시해 좋은 호응을 얻었다.

대웅제약도 비만 관리에 적극적으로 나서 이른바 '뱃살 매니저'를 두고 직원들의 살 빼기를 독려하고 있다.

비만이 심한 직원에게는 운동과 식이요법을 권유하고 사내 비만 클럽이나 건강관리 클럽에 가입시키고 있다.

또 활동이 저조하면 하루에도 수차례 이메일을 보내기도 한다.

이 밖에도 LG전자 하나은행 등 많은 기업들이 비만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비만 정책은 아직 미미하다는 지적이다.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New Health Plan 2010)에 따라 비만관리 대책을 마련했으나 영역별 세부 목표가 마련돼 있지 않은 상태다.

또 지난해 말 '국가비만대책위원회'를 구성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위원 위촉조차 못한 상태다.

어린이와 청소년 대상 식품 광고 및 음료수 자판기 규제 등도 검토하겠다고 밝혔지만 논의가 안 되고 있다.

그나마 최근 국회의원들이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안'을 발의한 정도다.

개정안에는 학교에서 탄산음료 판매를 금지하는 내용이 담겨져 있다.

외국에서 탄산음료의 학교 시설 반입과 판매를 금지하는 추세에 맞춰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들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 이 법안의 주요 목적이다.

하지만 이것도 인스턴트 식품이나 패스트푸드의 학내 반입과 판매 규제안 등이 담겨져 있지 않다는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